직업교육으로서의 고등교육단계 전문교육 발전 방안 : 단기과정 중심
Ways to Develop Vocational and Technical Education as Specialized Education at Higher Level Learning : Focusing on the Short-Term Programs
- 저자
- 신익현 강일규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00-35)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01.03.20
- 등록일
- 2001.03.20
연구 요약 I.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2. 연구의 내용과 방법 5 3. 용어 정의와 연구 범위 및 제한점 8 II. 직업교육으로서의 고등교육단계 전문교육과 단기과정 15 1. 직업교육 기반으로서의 고등교육기관의 성장 15 2. 고등교육단계 직업교육관 24 3. 고등교육단계 직업교육과 전문성 28 4. 전문직업교육장치로서의 고등교육기관 내 단기과정 37 III. 직업교육으로서의 단기과정 운영 실태 및 문제점 49 1. 설치 및 운영 관련 법제 49 2. 개설·운영 유형 52 3. 개설·운영 실태와 문제점 56 4. 단기과정 운영 실태와 문제점 분석 결과에 대한 논의 113 IV. 미국과 일본의 고등교육기관 내 단기과정 운영 사례 117 1. 분석 준거 117 2. 미국 119 3. 일본 131 4. 시사점 149 V. 단기과정 중심의 고등교육단계 전문직업교육의 발전 방안 151 1. 기본 전제 151 2. 발전 방향 154 3. 발전 방안 155 Ⅵ. 결론 및 정책 제안 165 1. 요약 및 결론 165 2. 정책 제안 168 참고문헌 175 ABSTRACT 179 부 록 187
본 연구는 고등교육이 현재 담당하고 있거나 앞으로 담당해야 할 직업교육 방향의 탐색과 관련하여 직업교육으로서의 고등교육단계 전문교육의 발전 방안을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고등교육기관 내에서 수행되고 있는 현행의 직업교육 실태와 문제점을 파악하고 그를 바탕으로 하여 고등교육단계 내 직업교육의 발전 방향을 탐색하여, 그 방향이 관련 정책의 개발에 있어 합리적인 투입요소가 될 수 있도록 정책 방안을 도출하여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좀 더 상세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고등교육단계에서 전문적 수준의 직업교육을 담당하고 있다고 판단되는 단기과정의 운영 실태의 조사 및 관련 요구의 진단 - 직업교육으로서의 고등교육단계 전문교육 개념의 정리 - 단기과정을 중심으로 하여 고등교육기관 내에서 수행되고 있는 전문적 수준의 직업교육과정 운영상의 주요문제 및 요구의 파악 미국과 일본의 단기과정 운영 사례의 분석 - 단기과정 운영 실태의 분석- 단기과정 운영 표본의 확보와 관련 시사점의 도출 고등교육기관에서 담당하는 전문적 수준의 직업교육의 발전 방향 및 발전 방안의 제시
Professionalism in higher education, especially for vocational education, has been nourished in accordance with advancements in technologies and with accumulating related knowledge in the information age. However, general understandings over vocational education are not still common and favorable to the higher education level, demands on high level human resources leads to these trends further though. Universities and colleges have contributed so impressively to education and training of high level human resources. Short-term programs in universities and colleges are considered to be flexible and effective educational delivery methods because they are adjustable in every stage enough to answer for rapid changes in industrial surroundings. To understand these trends and to verify the roles of these short-term programs in universities and colleges, further analytical stages to identify the current practices of vocational education in higher education and to search for more strategic planning were required. Based on these necessities, the study was to identify the current managemental status of short-term programs in universities and colleges which were thought to be installed to answer directly for the vocational education needs in higher education institutes, and, in the end, to propose policy suggestions for the development of vocational aspects of higher learning. ...
<표 Ⅰ-1> 서울대학교 학생의 장래 희망진로 9 <표 Ⅱ-1> 고등교육기관 현황 16 <표 Ⅱ-2> 전문대학?교육대학?대학교?대학원 현황 18 <표 Ⅱ-3> 방송통신대학?산업대학?각종학교 현황 20 <표 Ⅱ-4> 사내기술대학 및 대학원 현황 (’99년 12월 현재) 21 <표 Ⅱ-5> 사내기술대학의 전문대학과정 현황 (’99년 12월 현재) 22 <표 Ⅱ-6> 사내기술대학과정 현황 (’99년 12월 현재) 23 <표 Ⅱ-7> 사내기술대학원 현황 (’99년 12월 현재) 24 <표 Ⅱ-8> 고등교육에 있어서의 정규학위과정과 단기과정과의 비교 38 <표 Ⅱ-9> 현행 대학원의 종류와 특성 45 <표 Ⅲ-1> 사법연수원 전문분야 실무수습 대상기관 55 <표 Ⅲ-2> 고등교육단계 단기과정 운영 실태 및 요구 조사 사항 58 <표 Ⅲ-3> 단기과정 운영담당자 표집 규모 61 <표 Ⅲ-4> 단기과정 등록?수강 학생 표집 규모 62 <표 Ⅲ-5> 설문지 회수 결과 63 <표 Ⅲ-6> 응답자의 고등교육기관 유형별 분포 63 <표 Ⅲ-7> 단기과정 운영기간의 적합성 여부에 대한 과정 운영담당자 반응의 판별 분석 결과 64 <표 Ⅲ-8> 단기과정 운영기간의 적합성 여부에 대한 학생 반응의 판별분석 결과 64 <표 Ⅲ-9> 교육기관 유형별 과정 운영기간의 적합성에 대한 과정 운영 담당자의 인식의 차이 65 <표 Ⅲ-10> 교육기관 유형별 과정 운영기간의 적합성에 대한 학생의 인식의 차이 66 <표 Ⅲ-11> 개설?제공되는 과정 운영기간에 대한 과정 운영담당자의 인식 66 <표 Ⅲ-12> 학생이 수강하고 있는 과정의 운영기간 67 <표 Ⅲ-13> 과정 운영담당자의 과정 제공 시간대 인식 67 <표 Ⅲ-14> 학생이 수강하고 있는 과정의 제공 시간대 68 <표 Ⅲ-15> 과정 운영담당자가 인식하고 있는 과정의 주당 수업시간 69 <표 Ⅲ-16> 학생이 인식하고 있는 과정의 주당 수업시간 70 <표 Ⅲ-17> 단기과정 제공장소에 대한 과정 운영담당자 반응의 판별 분석 결과 71 <표 Ⅲ-18> 단기과정 제공장소에 대한 학생 반응의 판별 분석 결과 71 <표 Ⅲ-19> 과정 운영담당자가 인식하는 교육기관유형별 과정 제공장소 71 <표 Ⅲ-20> 학생이 인식하고 있는 단기과정의 바람직한 제공 장소 72 <표 Ⅲ-21> 시설?설비의 구비 정도에 대한 과정 운영담당자의 인식 72 <표 Ⅲ-22> 시설?설비의 구비 정도에 대한 학생의 인식 73 <표 Ⅲ-23> 단기과정이 주말에 운영되는 이유 73 <표 Ⅲ-24> 단기과정 학생정원 확보정도로 본 자원관리면에 대한 과정 운영담당자 반응의 판별 분석 결과 74 <표 Ⅲ-25> 단기과정 교수요원 확보 정도로 본 자원관리면에 대한 학생반응의 판별 분석 결과 74 <표 Ⅲ-26> 학생정원 확보에 대한 교육기관유형별 과정 운영담당자의 인식의 차이 75 <표 Ⅲ-27> 학생의 과정 등록 정도에 대한 인식 76 <표 Ⅲ-28> 단기과정 등록학생의 현업 76 <표 Ⅲ-29> 단기과정에 대한 홍보 방법 77 <표 Ⅲ-30> 학생의 단기과정에 대한 정보 획득 방법 78 <표 Ⅲ-31> 교수요원 확보에 대한 교육기관 유형별 학생 인식의 차이 79 <표 Ⅲ-32> 단기과정 강사진의 구성 80 <표 Ⅲ-33> 단기과정 교수요원의 학위소지여부 80 <표 Ⅲ-34> 단기과정 교수요원의 자격에 대한 요구 81 <표 Ⅲ-35> 교수요원의 자격요건 구비 정도에 대한 과정 운영담당자의 인식 81 <표 Ⅲ-36> 교수요원의 자격요건 구비 정도에 대한 학생의 인식 82 <표 Ⅲ-37> 배치된 행정요원의 규모에 대한 과정 운영담당자의 인식 82 <표 Ⅲ-38> 배치된 행정요원의 규모에 대한 학생의 인식 83 <표 Ⅲ-39> 과정 운영예산의 지원처 83 <표 Ⅲ-40> 학생의 교육비 조달 방법 84 <표 Ⅲ-41> 과정 내용의 경쟁력에 대한 과정 운영담당자의 인식 84 <표 Ⅲ-42> 과정 내용의 경쟁력 정도에 대한 학생의 인식 84 <표 Ⅲ-43> 단기과정내용의 체계화 정도에 대한 과정 운영담당자 반응의 판별 분석 결과 86 <표 Ⅲ-44> 단기과정내용의 체계화 정도에 대한 학생 반응의 판별 분석결과 86 <표 Ⅲ-45> 단기과정 교육내용의 체계화 정도에 대한 과정 운영담당자의 소속교육기관 유형별 인식의 차이 87 <표 Ⅲ-46> 단기과정 교육내용의 체계화 정도에 대한 등록학생의 등록교육기관 유형별 인식의 차이 88 <표 Ⅲ-47> 직업능력배양 요구의 교육내용에의 반영 정도에 대한 과정 운영담당자의 인식 88 <표 Ⅲ-48> 직업능력배양 요구의 교육내용에의 반영 정도에 대한 학생의 인식 89 <표 Ⅲ-49> 과정 공동개발 정도에 대한 과정 운영담당자의 인식 90 <표 Ⅲ-50> 단기과정에의 산업체의 관련 정도에 대한 학생의 인식 91 <표 Ⅲ-51> 교육내용개발에의 학생의 참여 정도에 대한 과정 운영담당자의 인식 91 <표 Ⅲ-52> 교육내용개발에의 학생의 참여 정도에 대한 학생의 인식 92 <표 Ⅲ-53> 단기과정 교육계획 방식에 대한 과정 운영담당자의 인식 92 <표 Ⅲ-54> 단기과정의 교육계획 방식에 대한 학생의 인식 93 <표 Ⅲ-55> 교육내용 수정?보완에 대한 과정 운영담당자의 인식 94 <표 Ⅲ-56> 교육내용 수정?보완 정도에 대한 학생의 인식 95 <표 Ⅲ-57> 단기과정의 운영방식에 대한 과정 운영담당자의 반응 96 <표 Ⅲ-58> 학생이 등록 수강하고 있는 과정의 운영 형태 97 <표 Ⅲ-59> 단기과정에서의 인턴십이나 현장실습의 정도에 대한 과정 과정 운영담당자의 인식 97 <표 Ⅲ-60> 단기과정에서의 인턴십이나 현장실습의 정도에 대한 학생의 인식 98 <표 Ⅲ-61> 과정의 운영방식에 대한 과정 운영담당자의 의견 98 <표 Ⅲ-62> 과정에서의 강의 방식의 활용 비율에 대한 과정 운영담당자의 의견 99 <표 Ⅲ-63> 과정의 전개형태에 대한 학생의 인식 100 <표 Ⅲ-64> 단기과정 운영특징에 대한 과정 운영담당자 반응의 판별 분석 결과 100 <표 Ⅲ-65> 단기과정 운영특징에 대한 학생 반응의 판별 분석 결과 101 <표 Ⅲ-66> 단기과정 운영담당자의 과정 운영특징에 대한 소속교육기관 유형별 인식의 차이 101 <표 Ⅲ-67> 단기과정 등록학생의 과정 운영특징에 대한 등록교육기관 유형별 인식의 차이 102 <표 Ⅲ-68> 단기과정에서 대표적으로 개설되어 있는 과정 영역 103 <표 Ⅲ-69> 단기과정에서 강조하는 사항에 대한 과정 운영담당자의인식 104 <표 Ⅲ-70> 취업지원 협조 정도에 대한 과정 운영담당자의 인식 105 <표 Ⅲ-71> 취업지원 협조 정도에 대한 학생의 인식 105 <표 Ⅲ-72> 과정을 통한 직업관련 정보의 수집 및 축적 기능에 대한 과정 운영담당자의 인식 106 <표 Ⅲ-73> 과정을 통한 직업관련 정보의 수집 및 축적 기능에 대한 학생의 인식 106 <표 Ⅲ-74> 단기과정의 직업능력개발에의 기여 정도에 대한 과정 운영 담당자 반응의 판별 분석 결과 108 <표 Ⅲ-75> 단기과정의 직업능력개발에의 기여 정도에 대한 학생 반응의 판별 분석 결과 108 <표 Ⅲ-76> 고등교육단계 교육의 직업능력개발에의 기여정도에 대한 과정 운영담당자의 인식 109 <표 Ⅲ-77> 고등교육단계 교육의 직업능력개발에의 기여정도에 대한 학생의 인식 109 <표 Ⅲ-78> 단기과정의 개설?운영 목표에 대한 과정 운영담당자의 인식 110 <표 Ⅲ-79> 과정 운영담당자가 보는 단기과정의 수강 목표 110 <표 Ⅲ-80> 학생의 단기과정에의 등록 목적 111 <표 Ⅲ-81> 과정 운영담당자가 인식하는 고등교육단계에서의 단기과정 운영의 장점 111 <표 Ⅲ-82> 학생이 수강하고 있는 과정에서 중시하는 사항 112 <표 Ⅳ-1> 북해학원대학의 일본어교원 양성과정 개강과목일람 138 [그림 Ⅱ-1] 고등교육단계 직업교육에서의 단기과정의 위치 41 [그림 Ⅱ-2] 전문직업교육의 교육 실제 47 [그림 Ⅲ-1] 버퀴스트의 교육과정 영역의 계서적 구조 56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직업교육으로서의 고등교육단계 전문교육(professional education) 발전 방안 연구 | 2000.01.01~2001.02.28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