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청년층 교육훈련 패널자료 구축 사업(I)

Longitudinal Survey of Education and Training for Youth in Korea
저자
김주섭 임언 이상준 김철희
분류정보
기본사업(2000-01)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00.12.31
등록일
2000.12.31
I. 개 요	1
	1. 필요성 및 목적	1
	2. 사업의 방향성	2
	3. 조사 일정 및 내용	9
	4. 국제비교의 문제	13
	5. 외국사례연구의 방향	14
	6.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	15
II. 설문서 설계 및 항목	17
	1. 기본 방향	17
	2. 설문서 종류	17
	3. 설문항목	19
III. 표본설계 방안	27
	1. 기본 방향	27
	2. 교육패널 조사시 표본설계방안	27
	3. School-to-Work 관련 패널 조사시 표본설계방안	30
	4. School-to-Work과 교육적 효과를 동시에 고려하는 패널 조사시 표본설계방안	32
	5. 표본조사의 애로점 및 기타 사항	35
Ⅳ. 미국의 청년층 종단 연구	37
	1. NLS-72	38
	2. 고등학교 졸업자 종단 연구	39
	3. NELS: 88	49
	4. 후기 중등학교 신입생 종단 연구	63
	5. 대학 졸업자 종단 연구	66
	6. NLSY	68
	7. 요약 및 시사점	75
참 고 문 헌	76
필요성 및 목적
 ■ 국내노동 및 교육통계자료 부족
     교육강국 건설과 국가의 효율적인 인적자원 개발 및 관리를 위해서는 학생들의 교육요구와 노동시장 진입 시 그들의 직업경로를 파악하는자료구축이 절대적으로 필요함.
     - 특히 교육시장에서 노동시장으로의 진입과, 노동시장내에서 교육시장으로의 피드백과 관련한 정책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패널자료 형태 의 자료구축이 필수적임.
     - 왜냐하면 패널자료를 이용하면 개인행동의 시간에 따른 동태적 변화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횡단면 자료조사보다 과거의 경험에 관한 내용이 정확함. 또한 개인의 상태간의 변화를 분석할 수 있는 유일한 자료이기 때문임.
 ■ 교육강국과 인적자원 개발을 위한 통계자료 구축
    인적자원개발 효율화를 통한 개인의 창의성 강화와 능력개발 촉진을 위해서는 개인의 교육적 요구와, 교육을 마친 후 노동시장에 진입한 개인의 고용 행태 및 노도시장 내 인력이동 추세변화를 파악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관련된 패널자료 구축이 필요함.
<표 I-1> 조사대상에 따른 장단점 비교	4
<표 I-2> 연구기간 및 사업내용	10
<표 I-3> 자료구축 시 개인에게 물어볼 중심내용	11
<표 I-4> 조사범주별 조사내용	12
<표 III-1> 1999년도를 기준으로 한 학생모집단수	28
<표 Ⅳ-1> 미국 국가 교육 통계 센터에서 실시한 종단 연구별 조사 시기	38
<표 Ⅳ-2> NELS:88의 각 조사 년도별 조사 대상	52
<표 Ⅳ-3> 조사 년도별, 대상별 자료 수집 상황 	59
<표 IV-4> 가족관계의 수와 유형: 1979 NLSY 시민 응답자 	69
<표 IV-5> NLSY 면담계획과 표본유형에 의한 보존율 	70
<표 IV-6> 성별, 표본탈락에 의한 NLSY 표본크기: 1979~1991 	71
<표 IV-7> 표본유형, 인종, 그리고 성에 따른 NLSY 응답자의 분포	72

【그림 I-1】 패널 자료 구축을 위한 PROCESSING FLOW CHART	9
【그림 II-1】 응답자 유형별 설문 종류	18
【그림 III-1】 School - to- work 조사시 부표본 형태	31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청년층 교육훈련 패널자료 구축 사업 2000.07.01~2000.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