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직업교육훈련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직무분석

Job Analysis for Development of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Programs
저자
이용순 나현미
분류정보
기본사업(2000-03)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00.12.31
등록일
2000.12.31
Ⅰ. 사업의 개요	1
  1. 사업의 필요성 및 목적	1
  2. 관련 선행 연구 및 사업 분석	2
  3. 사업의 내용 및 추진 방법	10
Ⅱ. 직무분석 대상 직종 선정	13
  1. 직무분석 대상 직종 선정 근거	13
  2. 2000년 직무분석 대상 직종	32
Ⅲ. 직무분석 지침서	41
  1. 직무분석의 목적, 방법 및 절차	41
  2. 직무분석의 적용 및 작성 방법	46
  3. 교육훈련 프로그램 개발	71
참고문헌	79
부록 	81
  본 사업은 1998년도부터 수행된 직업교육훈련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직무분석의 계속 사업으로서, 산업 사회 및 직업교육훈련기관의 프로그램 개발을 위하여 선행으로 요구되는 직종(인력 수요 증가가 예상되고 유망 산업으로 전망되는 직종, 산업 발전에 따라 직무 변화가 일어나 직업교육훈련 프로그램에 반드시 반영되어야 할 내용이 있는 직종, 여성 고용 증가 직종 및 산업 현장의 인력 수요가 많은 우선훈련직종)에 대한 직무분석을 실시하고 안내 자료를 개발·보급하는 데 목적이 있다.
<표 Ⅰ-1>  한국산업인력공단의 직무분석 절차와 내용 	3
<표 Ⅰ-2>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실시한 직무분석 현황	4
<표 Ⅰ-3>  공업계 고등학교 「2ㆍ1체제」의 직무분석 절차와 방법	5
<표 Ⅰ-4>  공업계 고등학교 「2ㆍ1체제」의 직무분석 직종 현황	6
<표 Ⅰ-5>  공업계 고등학교와 가사ㆍ실업계 고등학교 직무분석 실시 학과	7
<표 Ⅰ-6>  직업교육훈련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직종 분류의 항목 수 비교	8
<표 Ⅰ-7>  1998년~1999년에 실시한 직무분석 현황	8
<표 Ⅱ-1>  고용 전망에 따른 직업 전망	15
<표 Ⅱ-2>  신산업 분야 유망 직종	20
<표 Ⅱ-3>  직무분석과 직업훈련 기준 및 프로그램 개발 50개 직종	24
<표 Ⅱ-4>  새로운 직업	27
<표 Ⅱ-5>  여성 고용 증가 직종	31
<표 Ⅱ-6> 직무분석 대상 직종	33
<표 Ⅲ-1> ‘자동차 정비원??의 책무, 작업 및 작업 요소 작성 예	43
<표 Ⅲ-2> 직무분석의 절차	46
<표 Ⅲ-3> 직업명세서	48
<표 Ⅲ-4> 직능 수준	51
<표 Ⅲ-5> 직무별 직업기초능력	57
<표 Ⅲ-6> 직업기초능력 분석 설문지	60
<표 Ⅲ-7> 직무명세서	61
<표 Ⅲ-8> 교육훈련 적용 방법의 기준	66
<표 Ⅲ-9> 교육훈련 적용 방법 설문지	67
<표 Ⅲ-10> 작업명세서	68
<표 Ⅲ-11> 직무 작업/지식 Matrix	71
<표 Ⅲ-12> 직무 작업/기능 Matrix	72
<표 Ⅲ-13> 직무 작업/도구 Matrix	73
<표 Ⅲ-14> 직무 작업/Course Matrix	75
<표 Ⅲ-15> Course Profile	76
<표 Ⅲ-16> 교육훈련 Road Map	77

[그림 Ⅲ-1] 직무, 책무 및 작업의 관련성	42
[그림 Ⅲ-2] 직무, 책무 및 작업의 흐름도	47
[그림 Ⅲ-3] 교육훈련 우선 순위 결정 도구	65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직업교육훈련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직무분석 2000.03.01~2000.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