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졸자 후진학 계속교육 지원 방안
Measures to Support High School Graduate Employees with &
- 저자
- 최동선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12-41)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12.09.30
- 등록일
- 2013.02.12
빈도높은 키워드
전문(Full-text) 내 키워드를 추출하고 사용 빈도를 분석하여 제공합니다.
재직자사내대학고졸자 후진학
요 약 제1장 서 론_1 제2장 후진학의 의미 및 정책동향_7 제1절 후진학 활성화의 필요성 9 제2절 후진학의 의미 17 제3절 후진학의 정책동향 21 제3장 후진학 유형별 현황 및 문제점_27 제1절 재직자 특별전형 29 제2절 계약학과 39 제3절 사내대학 45 제4장 주요 쟁점 및 과제_53 제1절 주요 쟁점 57 제2절 과제 68 SUMMARY_77 참고문헌_81 부 록_85 1. 재직자 특별전형 운영 학교 목록 : 4년제 대학교 87 2. 재직자 특별전형 운영 학교 목록 : 전문대학 93
본 연구는 고졸자 후진학과 관련한 현안을 점검하고 정책대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후진학 및 평생학습과 관련한 정책관계자, 후진학 프로그램 운영자, 연구자 등과의 인터뷰를 통해 주요 쟁점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고 다양한 대안을 검토하였다.
Recently, the high school educational policies have strengthened several “Employment First, Education Later” pathways for fostering vocational high school graduates to get a job, instead of going to the college. This study has the goal to examine the issues and suggest several policy measures related to “education later” policies for high school graduates. The term, “education later”, that secondary education policies have strengthened, has not been defined clearly. In several newspapers or papers, the term of “education later” has been used as the learning pathway that employees can take a college degree while keeping employment status after graduating high school. Although this meaning has not been academically defined, the term of “education later” implies the alternative pathway for dealing with the biased path that many vocational high school graduates have tried to enroll in an university. In other words, “education later” is one of the pathways for vocational high school graduates who wish to get a job. ...
<표 2-1> 고졸자 후진학 관련 정책동향 요약 24 <표 3-1> 재직자 특별전형 제도 도입시와 현재의 변화 36 <표 3-2> 2011년 재직자 특별전형 운영 현황 37 <표 3-3> 계약학과 제도의 주요내용 41 <표 3-4> 2012년 전국 계약학과 운영현황 42 <표 3-5> 사내대학 운영현황 48 <표 3-6> 사내대학의 학생수 및 교직원수 현황(2011년) 49 <표 4-1> 주요 후진학 제도별 개요 및 모집인원 57 [그림 1-1] 특성화고․마이스터고졸 재직자가 활용할 수 있는후진학 경로 5 [그림 2-1] 특성화고 졸업생의 진학률․취업률 변화 추이 10 [그림 2-2] 현 MB 정부의 고교 직업교육 정책(요약) 12 [그림 2-3] 연령대별 생산가능인구 변화 전망(1960~2060) 13 [그림 2-4] 연령대별 경제활동인구 변화 전망 14 [그림 2-5] 학교교육 이수연령과 일-학습 병행비율에 따른 집단 구분 15 [그림 2-6] 연령대별 고용률 : OECD와의 비교 16 [그림 2-7] 특성화고졸 진로경로와 후진학 경로 18 [그림 2-8] 선취업-후진학 관련 WTS(Work-to-School) 제도 개념도 20 [그림 3-1] 기회균형선발제 개편 경과 및 향후 계획 31 [그림 3-2] 재직자 특별전형 모집대학 및 모집인원 추이 33 [그림 3-3] 연도별 계약학과 설치현황 42 [그림 4-1] 희소과정의 재직자 특별전형 운영을 위한 후진학Hub 대학 지정 체계(안) 62 [그림 4-2] 성인의 고등교육 참여 장애요소 63 [그림 4-3] 성인의 형식 및 비형식 학습 참여율의 국제비교 65 [그림 4-4] 성인 취업자의 형식 및 비형식학습 참여율 국제비교 66 [그림 4-5] 학력별 평생학습 참여율 국제비교 66 [그림 4-6] 비형식학습 참여율 및 참여시간 국제비교 67 [그림 4-7] 한국기술교육대학교 W3[CUBE] 프로젝트 개요도 72 [그림 4-8] 기술분야 사이버대학 특성화 운영방안 74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수시 | (수시)고졸자 후진학 계속교육 지원 방안 | 2012.05.15~2012.09.30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