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력인정 학교형태 평생교육시설의 직업교육강화방안 연구
A study on the reinforcement strategies of vocational education at acknowledged schools for life-long education
- 저자
- 박태준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01-04)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01.08.31
- 등록일
- 2001.08.31
연구요약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내용 2 3. 연구방법 3 Ⅱ. 학력인정 학교형태 평생교육시설 9 1. 학력인정 학교형태 평생교육시설의 개요 9 2. 학력인정 학교형태 평생교육시설의 의의 15 3. 학력인정 학교형태 평생교육시설에서 직업교육의 필요성 25 Ⅲ. 학력인정 학교형태 평생교육시설의 현황과 문제점 29 1. 학교운영현황 29 2. 학생현황 31 3. 교직원현황 33 4. 직업교육 현황 34 5. 학교시설현황 35 6. 학력인정 학교형태 평생교육시설의 문제점 37 Ⅳ. 운영자, 교사, 학습자의 요구분석 45 1. 운영자 요구 45 2. 교사 요구 50 3. 학습자 요구 60 4. 분석결과 요약 67 Ⅴ. 학력인정 학교형태 평생교육시설의 직업교육 강화방안 69 1. 직업교육 운영형태 69 2. 형태의 운영방안 84 3. 재정적 지원방안 90 참 고 문 헌 99 Abstract 101 부 록 107
본 연구는 학력인정 학교형태 평생교육시설에서 실시하고 있는 직업교육의 효율적 운영을 위하여 필요한 지원 및 개선 방안이 무엇인지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그럼으로써 교육적 소외계층에게 양질의 교육경험을 가지게 하는 동시에 직업교육의 결과 개인의 삶을 꾸려갈 수 있는 직업기술능력을 확보케 함으로써 원활한 사회생활을 영위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들 시설의 전반적인 교육운영상황을 제고할 수 있는 가능성도 검토하고자 하였다.
This study recognizes the necessity of vocational education for students in accredited schools for lifelong education, and proposes ways to strengthen vocational education for students. For this, vocational education and overall operational conditions of the accredited schools for lifelong education were examined, interviews and surveys were conducted, and experts were consulted needs of school administrators, teachers and students. In the process, related issues were identified and improvement measures were developed.
<표 Ⅰ- 1> 설문지 및 실태조사지 회수현황 4 <표 Ⅰ- 2> 교사용 응답자 인구통계학적 배경 5 <표 Ⅰ- 3> 학생용 응답자 인구통계학적 배경 6 <표 Ⅱ- 1> 평생교육시설의 유형 10 <표 Ⅱ- 2> 학력인정 평생교육시설의 유형 11 <표 Ⅱ- 3> 학력인정 학교형태 평생교육시설의 역사적 변천 13 <표 Ⅱ- 4> 우리나라 초등학교 최종학력 인구현황(1999년도) 21 <표 Ⅱ- 5> 우리나라 중학교 최종학력 인구현황(1999년도) 22 <표 Ⅲ- 1> 학력인정 학교형태 평생교육시설 현황 30 <표 Ⅲ- 2> 학력인정 학교형태 평생교육시설의 학생 현황 31 <표 Ⅲ- 3> 학력인정 학교형태 평생교육시설의 졸업생 진로현황(2000년도) 32 <표 Ⅲ- 4> 학력인정 학교형태 평생교육시설의 교직원 현황 33 <표 Ⅲ- 5> 학력인정 학교형태 평생교육시설의 직업교육전공 개설 현황 34 <표 Ⅲ- 6> 학력인정 학교형태 평생교육시설의 학교 건물·부지 보유 현황 35 <표 Ⅲ- 7> 학력인정 학교형태 평생교육시설의 재원구성(17개 학교 종합) 36 <표 Ⅲ- 8> 학력인정 학교형태 평생교육시설의 재원중 학습비 비율 37 <표 Ⅲ- 9> 국가보조수준에 대한 만족도 45 <표 Ⅲ-10> 국가보조수준의 지역에 따른 차이에 대한 의견 46 <표 Ⅲ-11> 평생교육시설에 대한 외부지원 및 연계된 기관의 유무 47 <표 Ⅲ-12> 학교운영에 있어서 보완해야 할 가장 시급한 문제점 48 <표 Ⅲ-13> 문제점을 해결하는 데 가장 어려운 부분 48 <표 Ⅲ-14> 학력인정 학교형태 평생교육시설의 법인화에 대한 의견 49 <표 Ⅲ-15> 교사들의 주당 수업 시수 50 <표 Ⅲ-16> 현재 교사 급여수준에 대한 인식 51 <표 Ⅲ-17> 교사들의 희망 급여 수준(월 평균) 52 <표 Ⅲ-18> 현재 후생복지제도에 대한 인식 53 <표 Ⅲ-19> 청소년 학습자에게 필요한 교육내용 순위 54 <표 Ⅲ-20> 성인 학습자에게 필요한 교육내용 순위 55 <표 Ⅲ-21> 학습자들의 수업에 대한 열의 56 <표 Ⅲ-22> 직업교육훈련 수업의 문제점 57 <표 Ⅲ-23> 직업교육훈련을 강화하기 위해 보완할 점 58 <표 Ⅲ-24> 학교수업의 가장 큰 문제점 58 <표 Ⅲ-25> 직업관련 교과 개설 필요성 59 <표 Ⅲ-26> 학력인정 학교형태 평생교육시설 등록동기 61 <표 Ⅲ-27> 학습비 부담주체 62 <표 Ⅲ-28> 학습비 지각수준 63 <표 Ⅲ-29> 현재 다니는 학교에 대한 만족도 64 <표 Ⅲ-30> 학교교육을 마치고 난 후의 희망진로 65 <표 Ⅲ-31> 직업교육내용과 개인의 기대간의 일치도 66 <표 Ⅲ-32> 직업교육의 난이도 인식수준 67 <표 Ⅴ- 1> 학력인정 학교형태 평생교육시설의 직업교육 4가지 형태 비교 82 <표 Ⅴ- 2> 일반계 고교생 직업기술 위탁교육 학교운영(서울) 91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학력인정 학교형태 평생교육 시설의 직업교육 강화 방안 연구 | 2001.01.01~2001.07.31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