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기반사회의 여성의 직업교육훈련 발전 방안
An Approach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for Women in the Knowledge - Based Society
- 저자
- 김미숙 최지희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01-07)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01.07.31
- 등록일
- 2001.07.31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방법 및 구성 5 Ⅱ. 지식기반사회에서 여성직업능력개발의 의의 9 1. 지식, 지식사회, 그리고 지식기반경제 9 2. 지식기반사회에서 여성 직업능력개발의 의의 18 Ⅲ. 여성 직업교육훈련 제도 및 정책 분석 25 1. 여성 직업능력개발을 위한 제도 25 2. 여성 인력개발 관련 정책 방향 34 Ⅳ. 지식기반사회의 여성 인력수급 현황 61 1. 지식기반사회의 여성인력 활용 현황 및 전망 61 2. 여성의 직업교육훈련 공급 현황 74 3. 인력수급에 따른 여성 유망 직종 88 Ⅴ. 지식기반사회 여성의 직업교육훈련 실태 조사 103 1. 조사 개요 103 2. 여성 직업교육훈련 실태 분석 107 3. 여성 직업교육훈련기관 유형별 의견 분석 148 Ⅵ. 지식기반사회에서 여성 직업교육훈련 발전 방안 151 1. 지식기반사회 여성 직업교육훈련 기본 방향 151 2. 지식기반사회 여성 직업교육훈련의 발전 전략 158 Ⅶ. 결론 175 참 고 문 헌 181 <부표 Ⅰ-1> 남녀평등지수(GDI) 국가별 순위 185 <부표 Ⅰ-2> 여성권한척도(GEM) 국가별 순위 186 <부표 Ⅳ-1> 1998-2010 중분류 산업별 취업자 증가와 증가율 187 <부표 Ⅳ-2> 1998-2010 중분류 직종별 여성 취업자수 증가 및 증가율 189 <부표 Ⅳ-3> 지식기반사회 여성 유망 산업 190 <부표 Ⅳ-4> 최근 인기직종과 구인직종 및 향후개설 계획직종 192 <부록 1> 지식기반사회의 여성 직업교육훈련 면담조사지 195 abstract 209
본 연구는 지식기반사회에서의 여성 직업교육훈련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두 가지 측면으로 접근하였다. 하나는 지식사회로의 패러다임 변화와 함께 지식기반경제 속에서 여성의 직업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직업교육훈련의 기본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그리고 두번째는 이러한 방향을 전제로 여성의 삶의 질 향상과 국가 경쟁력 강화를 위해 여성 직업교육훈련을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전략을 마련하는 것이다.
The paradigm shift toward a knowledge-based society has underlined the importance of knowledge and has ushered in the knowledge-based economy, which in turn emphasized the significance of an active utilization of the female labor force. Recently, the development of women's vocational potential to fully realize the potential of female employment has emerged as a key issue in improving the quality of women's lives and strengthening the competitiveness of the nation In Korea, raising the utilization level of the female labor force to that of advanced countries has become not an 'optional' or 'supplementary' alternative in expanding the scope of labor force utilization but an indispensible initiative for the sustained development of the national economy. To become a substantially advanced nation by 2010, Korea needs to achieve a demanding annual economic growth of 6.1% every year which would require three million new entries into the labor force in the process. However, as it would be impossible to fill such labor requirements with only males whose utilization has already reached the level of saturation, the female labor force must be actively cultivated. Without leveraging the contribution of highly educated women whose capabilities are being grossly underutilized, it would be next to impossible for Korea to take its [;ace among the world's advanced countries. It has become imperative to alter the perception regarding female employment and, specifically, to improve women's vocational capacities in order that their position in the general as well as the knowledge society can be enhanced. It is particularly required that women develop their own agenda to actively enter the workforce and seek specific ways to implement such an agenda. Acknowledging the increasing necessity of leveraging the female labor force in a more effective and active way both in Korea and abroad in response to the emergence of the knowledge-based society, this study examines various aspects of the directions and implementation strategies of Korea's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which are intended to develop Korean women's vocational capability. It also provides answers, based on analysis, on how to implement women's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appropriate to the knowledge-based society. To achieve these objectives, the study analyzes national systems and policies on women's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assesses supply and demand of female labor force, analyzes collected field opinions regarding the operation of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facilities to further develop women's vocational capabilities, and suggests policy directions and development strategies for women's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to boost women's vocational capabilities in the knowledge-based society. ...
<표 Ⅱ- 1> 기업의 생산요소 비율의 변화 10 <표 Ⅱ- 2> 정보와 지식의 차이 12 <표 Ⅱ- 3> 지식국가 실현을 위한 부문간 상호작용 13 <표 Ⅱ- 4> 영역별 역동적인 전문지식 분야 23 <표 Ⅱ- 5> 일반지식의 주요 분야 24 <표 Ⅲ- 1> 여성직업훈련기관 및 과정 현황 27 <표 Ⅲ- 2> 일하는 여성의 집의 직업훈련 현황 29 <표 Ⅲ- 3> 남녀 정보화 수준 비교 41 <표 Ⅲ- 4> 1999년도 여성정보화교육 지원사업 42 <표 Ⅲ- 5> 한국의 주요 실업교육 정책 48 <표 Ⅳ- 1> 주요 OECD 국가들의 연령별 경제활동참가 현황(1997) 62 <표 Ⅳ- 2> 교육정도별․성별 경제활동참가율 비교 (25~64세 인구) 64 <표 Ⅳ- 3> 연령집단별 경제활동참가율 전망 (1998-2000) 66 <표 Ⅳ- 4> 남녀 취업자 산업별 분포(1999) 68 <표 Ⅳ- 5> 취업자의 직종별 분포: 성별비교 (1998) 69 <표 Ⅳ- 6> 남녀 학력별 직종별 취업자 분포 (1998) 71 <표 Ⅳ- 7> 1998-2010 산업별 취업자수 증가 및 증가율 (대분류) 72 <표 Ⅳ- 8> 1998-2010 직종별 취업자수 증가 및 증가율(대분류) 73 <표 Ⅳ- 9> 계열별 고등학교 졸업생 추이 74 <표 Ⅳ-10> 고등교육기관 졸업자수 및 증가율 추이 76 <표 Ⅳ-11> 고등교육기관 졸업자수 전망 77 <표 Ⅳ-12> 고등학교 졸업자 계열별 분포: 성별비교(1999) 79 <표 Ⅳ-13> 전문대학 졸업자 전공별 분포 : 성별비교 (1999) 80 <표 Ⅳ-14> 대학 졸업자 전공별 분포: 성별비교(2000) 81 <표 Ⅳ-15> 직업훈련기관유형별 여성인력 양성실적 82 <표 Ⅳ-16> 직업훈련기관별 여성훈련생의 양성 현황 82 <표 Ⅳ-17> 기술분야, 등급 및 성별 국가기술 자격 등록자수 83 <표 Ⅳ-18> 여성회관의 직업훈련 사업실적 84 <표 Ⅳ-19> 여성회관의 직업훈련프로그램 85 <표 Ⅳ-20> 일하는 여성의 집의 개설 훈련직종(1998) 86 <표 Ⅳ-21> 1998년 1/4분기 「일하는 여성의 집」 취업실적 87 <표 Ⅳ-22> 노동부 발표 여성유망직업 (1998) 89 <표 Ⅳ-23> 여성 유망직종 70선 90 <표 Ⅳ-24> 여성비율이 높은 직종 20 92 <표 Ⅳ-25> 여성비가 높은 유망직종 93 <표 Ⅳ-26> 지식기반사회에서의 여성 유망직종 97 <표 Ⅴ- 1> 설문지 회수현황 106 <표 Ⅴ- 2> 직업훈련기관의 유형 107 <표 Ⅴ- 3> 지역별 분포 108 <표 Ⅴ- 4> 지역과 직업유형별의 분포 108 <표 Ⅴ- 5> 연간 교육훈련생의 규모 109 <표 Ⅴ- 6> 직업교육훈련기관의 연간 교육훈련생의 규모 110 <표 Ⅴ- 7> 기관 설립연도의 분포 111 <표 Ⅴ- 8> 교육훈련과정의 수 분포 111 <표 Ⅴ- 9> 기관유형별 교육훈련과정 수 112 <표 Ⅴ-10> 주요 교육훈련분야의 분포(복수응답) 113 <표 Ⅴ-11> 주요 교육훈련분야 113 <표 Ⅴ-12> 여성의 직업교육훈련을 위한 구체적인 목적 114 <표 Ⅴ-13> 유형별 여성의 직업교육훈련을 위한 구체적인 목적 115 <표 Ⅴ-14> 직업교육훈련 기관의 목적 성취정도 116 <표 Ⅴ-15> 유형별 직업교육훈련 기관의 목적 성취정도 117 <표 Ⅴ-16> 목적달성의 원동력 118 <표 Ⅴ-17> 유형별 목적달성의 원동력 118 <표 Ⅴ-18> 목적을 달성하기 어려운 점 119 <표 Ⅴ-19> 유형별 목적 달성 어려움 120 <표 Ⅴ-20> 기관의 역할과 기능 121 <표 Ⅴ-21> 유형별 기관의 역할과 기능 121 <표 Ⅴ-22> 운영하는 교육훈련분야 프로그램 및 적합성 122 <표 Ⅴ-23> 훈련내용 및 과정의 향후 적합성 123 <표 Ⅴ-24> 유형별 훈련내용 및 과정 발전 방향의 적합성 124 <표 Ⅴ-25> 향후 사회의 발전에 따른 교육 내용 및 과정의 변경성 124 <표 Ⅴ-26> 유형별 사회 발전에 따른 교육 내용 및 과정의 변경성 125 <표 Ⅴ-27> 향후 교육훈련 과정을 변경시 문제점 126 <표 Ⅴ-28> 유형별 향후 교육훈련 과정 변경시 문제점 127 <표 Ⅴ-29> 향후 지식기반사회에 적합한 분야 127 <표 Ⅴ-30> 향후 개설하고자하는 직종 129 <표 Ⅴ-31> 지식기반사회에 적합한 분야 신설 유무 129 <표 Ⅴ-32> 유형별 지식기반사회에 적합 분야 신설 유무 130 <표 Ⅴ-33> 사회적 또는 환경적 문제 130 <표 Ⅴ-34> 유형별 사회적 또는 환경적 문제 131 <표 Ⅴ-35> 기관 자체의 문제 132 <표 Ⅴ-36> 유형별 기관 자체의 문제 132 <표 Ⅴ-37> 과정별 혹은 직종별 문제 133 <표 Ⅴ-38> 유형별 과정별 혹은 직종별 문제 134 <표 Ⅴ-39> 필요한 지원사항 134 <표 Ⅴ-40> 유형별 필요한 지원사항 135 <표 Ⅴ-41> 기관의 목표나 운영을 위한 중요 요소 136 <표 Ⅴ-42> 기관의 목표나 운영방향 전환을 위한 활동이나 방법 137 <표 Ⅴ-43> 지식기반사회에서 여성 직업능력 고취 필요성 정도 137 <표 Ⅴ-44> 제도적 정비 139 <표 Ⅴ-45> 유형별 제도적 정비 139 <표 Ⅴ-46> 재정적 정비 140 <표 Ⅴ-47> 유형별 재정적 정비 140 <표 Ⅴ-48> 행정적 정비 141 <표 Ⅴ-49> 유형별 행정적 정비 141 <표 Ⅴ-50> 타부처와의 협력 체계구축 142 <표 Ⅴ-51> 유형별 타부처와의 협력 체계구축 142 <표 Ⅴ-52> 교육훈련기관 운영 지침 제공 143 <표 Ⅴ-53> 유형별 교육훈련기관 운영 지침 제공 144 <표 Ⅴ-54> 여성의 직업교육훈련시 문제점 145 <표 Ⅴ-55> 취업시 가장 큰 장애요인 145 <표 Ⅴ-56> 여성의 직업교육훈련의 활성화 기대 146 <표 Ⅴ-57> 유형별 여성의 직업교육훈련의 활성화 146 <표 Ⅴ-58> 여성 직업교육훈련의 활성화를 응답한 이유 146 <표 Ⅴ-59> 활성화에 대한 여성부 역할 147 <표 Ⅵ- 1> 지식기반사회 여성 직업교육훈련 발전 방안 152 <표 Ⅵ- 2> 수준별 정보화교육내용(예시) 166 <표 Ⅵ- 3> 교육주체(기관)별 여성 정보화교육 계획 168 [그림 Ⅰ- 1] 연구분석 틀 8 [그림 Ⅱ- 1] 기업의 생산요소 비율 변화 10 [그림 Ⅱ- 2] 지식의 범주 11 [그림 Ⅱ- 3] 산업별 취업자수 변화 추이: 1985~1995 17 [그림 Ⅱ- 4] 우리나라의 직종별 고용구조 변화 추이 18 [그림 Ⅲ- 1] 여성 직업능력개발 관련 정부 조직 33 [그림 Ⅲ- 2] 기존의 여성 직업교육훈련 정책 분석 35 [그림 Ⅳ- 1] 연령계층별 경제활동참가율 (1980, 1998) 61 [그림 Ⅳ- 2] 교육정도별․연령계층별 여성 경제활동참가율(1998) 65 [그림 Ⅳ- 3] 고등교육기관 졸업자의 여성 구성비 변화 77 [그림 Ⅳ- 4] 교육단계별 졸업자 중 여성 구성비(1998, 2010) 78 [그림 Ⅳ- 5] 여성취업 유망직업: 산업별 분류 96 [그림 Ⅳ- 6] 지식기반사회 여성 유망 직종 점수분포 101 [그림 Ⅴ- 1] 자료수집 진행단계 105 [그림 Ⅴ- 2] 직업교육훈련기관의 연간 교육훈련생의 규모 110 [그림 Ⅴ- 3] 기관 유형별의 필요성 정도 138 [그림 Ⅵ- 1] 지식기반사회 여성 직업교육훈련 전개 방향 151 [그림 Ⅵ- 2] 직업능력개발을 위한 관련 부처 협력관계 174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지식기반사회의 여성 직업교육훈련 발전 방안 | 2001.02.01~2001.08.10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