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전문대학 교육과정 모형 개발과 운영 방안

A Study on the Development Model and Implementation for Junior Colleges Curriculum in Korea
저자
강경종 김종우
분류정보
기본연구(2001-08)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01.08.31
등록일
2001.08.31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3
  3. 연구의 범위 5
  4. 용어의 정의 6
Ⅱ. 교육과정 모형 개발을 위한 이론적 고찰 7
  1. 교육과정과 교육과정 개발의 개념 7
  2. 직업교육과정의 특성 9
  3. 직업교육에서의 교육과정 모형 10
  4. 교육과정 모형에서의 구성 요소 21
Ⅲ. 전문대학 교육과정 모형 개발 33
  1. 교육과정 모형 개발의 방향 33
  2. 교육과정 모형 개발 35
  3. 교육과정 모형 개발에 따른 방법 및 절차 37
Ⅳ. 전문대학 교육과정 개발의 실제 45
  1. 인문사회계열 세무회계과(전공)의 교육과정 개발 45
  2. 공업계열 네트워크과(전공)의 교육과정 개발 55
  3. LAN 운용 직무의 교육과정 개발 63
  4. WAN 운용 직무의 교육과정 개발 72
  5. 전문대학 교육과정 개발의 시사점 81
Ⅴ. 외국의 전문대학 교육과정 운영 사례 85
  1. 미국 85
  2. 영국 100
  3. 호주 107
  4. 싱가포르 121
  5. 시사점 131
Ⅵ. 전문대학 교육과정 운영 방안 133
  1.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고려 사항 134
  2. 전문대학 교육과정 운영 전략 137
참 고 문 헌 141
ABSTRACT 145
부 록 151
부록  1. 세무회계과 작업/지식, 기능, 도구 매트릭스 151
부록  2. 세무회계과 작업/교과목 매트릭스 160
부록  3. 세무회계과 교과목 프로파일 161
부록  4. 네트워크과 교과목 프로파일 174
부록  5. LAN 운용 직무의 작업/지식, 기능, 도구 매트릭스 183
부록  6. LAN 운용 직무의 작업/교과목 매트릭스 185
부록  7. LAN 운용 직무 교과목 프로파일 186
부록  8. WAN 운용 직무의 작업/지식, 기능, 도구 매트릭스 200
부록  9. WAN 운용 직무의 작업/교과목 매트릭스 202
부록 10. WAN 운용 직무의 교과목 프로파일 203
  본 연구는 직업교육기관으로서 전문대학이 인력 양성을 위해서 체계적인 분석을 통해 교육과정 모형을 개발하고, 이에 따른 교육과정 개발 방법 및 절차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전문대학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적합한 모형을 개발하여, 개발된 교육과정 모형에 따라 교양교과, 인문사회계열의 세무회계과(전공), 공업계열 네트워크과(전공)를 대상으로 전문대학 교육과정을 실제 개발하며, 개발된 교육과정(안)을 바탕으로 전문대학의 교육과정 운영 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과정의 개념, 교육과정 모형, 교육과정 개발 방법 및 절차를 고찰한다.
  둘째, 전문대학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모형을 개발한다.
  셋째, 전문대학 세무회계과(전공) 및 네트워크과(전공)의 교육과정을 개발한다.
  넷째, 외국의 전문대학 교육과정을 분석한다.
  다섯째, 전문대학 교육과정의 운영 방안을 제시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model of curriculum development through systematic analysis and, based on the model, to design methods and processes of curriculum development for a college as a vocational education institute.
   To accomplish this purpose, an appropriate model of curriculum development was developed, based on this model, practical curriculums of the liberal arts course, tax accounting major, and networking major were developed, and, based on the curriculum, plans of curriculum implementation for a college were presented.
...
<표 Ⅱ-1> 의사결정을 위한 자료의 출처	23
<표 Ⅴ-1> 회계 전공의 교육과정 개설 영역 	89
<표 Ⅴ-2> 회계 전문직 보조 영역의 교육과정	89
<표 Ⅴ-3> 회계 기술자 영역의 교육과정	91
<표 Ⅴ-4> 회계원 자격증 영역의 교육과정	92
<표 Ⅴ-5> 부기원 자격증 영역의 교육과정	92
<표 Ⅴ-6> Computer Information Systems 분야의 준학사학위 교육과정	93
<표 Ⅴ-7> Computer Information Systems 분야의 자격증 교육과정	97
<표 Ⅴ-8> Business & Secretarial의 교육과정	103
<표 Ⅴ-9> Administration 분야의 교육과정	104
<표 Ⅴ-10> Events 분야의 교육과정	104
<표 Ⅴ-11> Management Studies의 교육과정	105
<표 Ⅴ-12> Business & IT의 교육과정	106
<표 Ⅴ-13> Advanced Diploma of Business (Accounting)의 교육과정	114
<표 Ⅴ-14> Diploma of Business (Accounting)의 교육과정	115
<표 Ⅴ-15> Certificate Ⅲ in Accounting의 교육과정	116
<표 Ⅴ-16> Diploma of IT (Network Engineering)의 교육과정	119
<표 Ⅴ-17> Certificate Ⅳ in IT (Network Management)의 교육과정	120
<표 Ⅴ-18> Certificate Ⅲ in IT (Network Administration)의 교육과정	121
<표 Ⅴ-19> 싱가포르 폴리테크닉의 학위과정	123
<표 Ⅴ-20> 싱가포르 폴리테크닉 세무회계 전공의 교육과정 	126
<표 Ⅴ-21> 싱가포르 폴리테크닉 세무회계 전공의 심화 교육과정	127
<표 Ⅴ-22> 싱가포르 폴리테크닉 컴퓨터 네트워크 공학 전공의 필수교과	129
<표 Ⅴ-23> 싱가포르 폴리테크닉 컴퓨터 네트워크 공학 전공의 선택교과	130
[그림 Ⅱ-1] 김호권 외 2인의 교육과정 개념 모형	7
[그림 Ⅱ-2] 캠벨의 교육과정 개발 모형 	12
[그림 Ⅱ-3] 켄네케 외의 교육과정 개발 모형	14
[그림 Ⅱ-4] 이무근의 교육과정 개발 모형	15
[그림 Ⅱ-5] 스완슨의 교육과정 개발 모형	17
[그림 Ⅱ-6] 보글러의 교육과정 개발 모형	18
[그림 Ⅱ-7] 핀치 외의 교육과정 개발 모형	20
[그림 Ⅱ-8] 교육과정 계획에 있어서의 의사결정 과정	22
[그림 Ⅱ-9] 카우프만과 잉글리쉬의 요구 분석 방법	27
[그림 Ⅱ-10] 고페이드의 직무 분석 과정	28
[그림 Ⅱ-11] 학습경험 조직의 원칙 	31
[그림 Ⅲ-1] 비순환적 교육과정 개발 모형	36
[그림 Ⅲ-2] 순환적 교육과정 개발 모형	37
[그림 Ⅲ-3]  전문대학 교육과정 개발 방법 및 절차	38
[그림 Ⅲ-4] 전문대학 교육과정 개발시 유의사항	38
[그림 Ⅴ-1] AQF 경로의 다이어그램	109
[그림 Ⅴ-2] Training Packages의 구성 요소들	112
[그림 Ⅴ-3] Training Package의 운영 절차	112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전문대학 교육과정 모형 개발과 운영 방안 2001.02.01~2001.07.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