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일반계 고등학교 직업과정 운영의 실태분석 및 개선방안

A Study on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 Developing Strategies for the General High School's Vocational Course
저자
강종훈 김수원
분류정보
기본연구(2001-09)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01.08.31
등록일
2001.08.31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의 내용 3
  3. 연구의 방법 4
  4. 연구의 제한점 5
Ⅱ. 일반계 고등학교 직업과정 운영의 개요 및 현황 7
  1. 일반계 고등학교 직업과정의 도입 배경 7
  2. 일반계 고등학교 직업과정의 유형 및 필요성 8
  3. 일반계 고등학교 직업과정 운영의 개요 13
  4. 일반계 고등학교 직업과정 운영의 실태 21
  5. 일반계 고등학교 직업과정의 문제점 27
  6. 시사점 29
Ⅲ. 일반계 고등학교 직업과정 운영에 대한 실태 및 요구 31
  1. 조사의 개요 31
  2. 응답자의 일반적인 사항 35
  3. 교육계획 수립 및 학생 모집에 관한 사항 40
  4. 교과 편성 및 운영에 관한 사항 62
  5. 교육시설 및 설비에 관한 사항 84
  6. 생활 및 진로지도에 관한 사항 93
  7. 행 재정에 관한 사항 108
  8. 기타 사항 113
  9. 결과 분석 및 논의 119
Ⅳ. 일반계 고등학교 직업과정 운영의 개선방안 131
  1. 교육계획 수립 및 학생 모집 131
  2. 교과 편성 및 운영 133
  3. 교육시설 및 설비 137
  4. 생활지도 및 진로지도 138
  5. 행정 및 재정 140
참고문헌 143
ABSTRACT 147
부    록 151

  본 연구는 일반계 고등학교 직업과정의 실태 및 요구를 파악하고 분석함으로써 일반계 고등학교 직업과정을 보다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구체적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계 고등학교 직업과정의 전반적인 개요와 현황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직업과정 운영에 필요한 시사점을 도출한다.
  둘째, 일반계 고등학교 직업과정을 위탁하거나 실시하고 있는 교육훈련기관의 기관장, 교원, 학생 등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요구사항을 조사하고 실태를 파악한다.
  셋째, 일반계 고등학교 직업과정 운영의 개선방안을 제시한다.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raise the current status of vocational education in general high schools and present strategies for its further development.  
  First, to accomplish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the overview, the current operational status, and problems inherent in vocational courses in general high schools were explored by reviewing related literature and analyzing related statistical data.  Second, meetings were held with parties that have expertise in the field to determine the details of the study contents and validate the survey methodology.  Third, a mail survey and field interviews were conducted among principals, teachers, and students in those general high schools which offered vocational courses.  The survey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in order to ascertain the problems, perceptional differences, and needs for improvement in the various operating areas and items.  Finally, a seminar was held to present the study results as well as to invite comments and open discussions.  Through this process, the strategies for further development of vocational education in general high schools are presented as the study conclusions. 
...
<표 Ⅱ-1> 일반계 고등학교 직업과정별 운영 실태	22
<표 Ⅱ-2> 일반계 고등학교 직업과정별 예산지원실태	22
<표 Ⅱ-3> 2000학년도 일반계 고등학교 직업과정 추진 현황	25
<표 Ⅱ-4> 2000학년도 일반계 고등학교 직업과정 설치학과 현황	26
<표 Ⅱ-5> 2001학년도 일반계 고등학교 직업과정 운영 현황	27
<표 Ⅲ-1> 설문지 조사내용	32
<표 Ⅲ-2> 설문지의 배포 및 회수 현황	35
<표 Ⅲ-3> 기관장의 일반적인 사항	36
<표 Ⅲ-4> 교원의 일반적인 사항	37
<표 Ⅲ-5> 재학생의 일반적인 사항	39
<표 Ⅲ-6> 기관유형별 직업과정의 교육목표에 대한 기관장의 인식	41
<표 Ⅲ-7> 기관유형별 직업과정의 설치 목적에 대한 재학생의 인식	41
<표 Ⅲ-8> 기관유형별 직업과정 업무 전담교원의 수	42
<표 Ⅲ-9> 직업과정의 입학 동기에 대한 기관장, 교원, 재학생의 인식	43
<표 Ⅲ-10> 직업과정의 사회적 인식에 대한 기관장, 교원, 학생의 인식	45
<표 Ⅲ-11> 사회적 인식이 부정적인 이유에 대한 기관장, 교원, 학생의 인식	46
<표 Ⅲ-12> 직업과정의 필요성에 대한 기관장, 교원의 인식	47
<표 Ⅲ-13> 직업과정이 필요하지 않는 이유에 대한 기관장, 교원의 인식	48
<표 Ⅲ-14> 직업과정에 필요한 전공학과에 대한 기관장, 교원의 인식	49
<표 Ⅲ-15> 바람직한 교육훈련 실시시기에 대한 기관장, 교원, 재학생의 인식	51
<표 Ⅲ-16> 직업과정 학생 선발방법에 대한 기관장, 교원, 재학생의 인식	53
<표 Ⅲ-17> 직업과정 학생 모집 유인방안에 대한 기관장, 교원, 재학생의 인식	55
<표 Ⅲ-18> 재학생의 직업과정 입학에 영향을 준 사람	56
<표 Ⅲ-19> 재학생이 현 학과(또는 전공)를 선택한 이유  	57
<표 Ⅲ-20> 기관유형별 직업과정 선택의 만족도에 대한 재학생의 인식	58
<표 Ⅲ-21> 기관유형별 재학생이 직업과정 선택에 만족하는 이유	59
<표 Ⅲ-22> 기관유형별 재학생이 직업과정 선택에 불만족하는 이유	60
<표 Ⅲ-23> 기관유형별 비진학자의 바람직한 진로방안에 대한 재학생의 인식	62
<표 Ⅲ-24> 기관유형별 현재 교양교과 대 전공교과의 비율	63
<표 Ⅲ-25> 적절한 교양교과 대 전공교과의 비율에 대한 기관장, 교원, 재학생의 인식	64
<표 Ⅲ-26> 기관유형별 현재 전공 이론교과 대 실습교과의 비율	65
<표 Ⅲ-27> 적절한 전공 이론교과 대 실습교과의 비율에 대한 기관장, 교원, 재학생의 인식	66
<표 Ⅲ-28> 기관유형별 현재 전공 이론수업시 한 반의 학생수	67
<표 Ⅲ-29> 전공 이론수업시 적절한 한 반의 학생수에 대한 기관장, 교원, 재학생의 인식	68
<표 Ⅲ-30> 기관유형별 현재 전공 실습수업시 한 반의 학생수	69
<표 Ⅲ-31> 전공 실습수업시 적절한 한 반의 학생수에 대한 기관장, 교원, 재학생의 인식	71
<표 Ⅲ-32> 적절한 교육기간에 대한 기관장, 교원, 재학생의 인식	72
<표 Ⅲ-33> 현행 교과목의 수에 대한 기관장, 교원, 재학생의 인식	73
<표 Ⅲ-34> 학생들의 교양 및 기초교과 이해수준에 대한 기관장, 교원, 재학생의 인식	74
<표 Ⅲ-35> 학생들의 전문교과 이해수준에 대한 기관장, 교원, 재학생의 인식	75
<표 Ⅲ-36> 출석수업에 대한 기관장, 교원, 재학생의 인식	77
<표 Ⅲ-37> 적당한 출석수업 일수에 대한 기관장, 교원, 재학생의 인식	78
<표 Ⅲ-38> 진학을 위한 별도반 편성에 대한 기관장, 교원, 재학생의 인식	79
<표 Ⅲ-39> 기관유형별 교원들이 사용하는 전공 이론교과 교재	80
<표 Ⅲ-40> 기관유형별 교원들이 사용하는 전공 실습교과 교재	81
<표 Ⅲ-41> 효과적인 교수학습방법에 대한 기관장, 교원, 재학생의 견해	82
<표 Ⅲ-42> 기관유형별 자체평가 실시 여부	83
<표 Ⅲ-43> 기관유형별 자체평가 결과의 활용정도	84
<표 Ⅲ-44> 교육시설 및 환경에 대한 기관장, 교원, 재학생의 인식	85
<표 Ⅲ-45> 불량한 교육시설에 대한 기관장, 교원, 재학생의 인식	86
<표 Ⅲ-46> 교육정보화시설에 대한 기관장, 교원, 재학생의 인식	88
<표 Ⅲ-47> 교육보조자료에 대한 기관장, 교원, 재학생의 인식	89
<표 Ⅲ-48> 실험․실습 장비에 대한 기관장, 교원, 재학생의 인식	91
<표 Ⅲ-49> 실험․실습 재료에 대한 기관장, 교원, 재학생의 인식	92
<표 Ⅲ-50> 기관유형별 진학한 학생의 비율	93
<표 Ⅲ-51> 기관유형별 취업한 학생의 비율	94
<표 Ⅲ-52> 기관유형별 전공 관련 취업률	94
<표 Ⅲ-53> 기관유형별 중도 탈락한 학생의 비율	95
<표 Ⅲ-54> 중도탈락의 원인에 대한 기관장, 교원, 재학생의 인식	96
<표 Ⅲ-55> 직업과정 지원 학생의 감소 원인에 대한 기관장, 교원, 재학생의 인식	97
<표 Ⅲ-56> 수료 후 취업이 안 되는 이유에 대한 기관장, 교원, 재학생의 인식	99
<표 Ⅲ-57> 기관유형별 3개월간 재학생에 대한 진로 및 취업지도 횟수	100
<표 Ⅲ-58> 진로 및 취업지도 횟수에 대한 재학생의 인식	101
<표 Ⅲ-59> 진로 및 취업지도의 유익성에 대한 교원, 재학생의 인식	102
<표 Ⅲ-60> 진로 및 취업지도의 문제점에 대한 교원의 인식	103
<표 Ⅲ-61> 재학생의 고민사항	104
<표 Ⅲ-62> 재학생의 역점사항	105
<표 Ⅲ-63> 재학생의 동료 및 집단 간 갈등	106
<표 Ⅲ-64> 재학생의 수업 후 활동	107
<표 Ⅲ-65> 현재 학생들의 복지수준 및 소속감의 향상 방법	108
<표 Ⅲ-66> 학생들의 복지수준 및 소속감의 향상 방법에 대한 기관장, 교원, 재학생의 견해	109
<표 Ⅲ-67> 예산 지원에 대한 기관장, 교원의 인식	110
<표 Ⅲ-68> 예산 지원이 필요한 부분에 대한 기관장, 교원의 인식	111
<표 Ⅲ-69> 재정 지원 현황 및 형태에 대한 개선 요구사항	112
<표 Ⅲ-70> 직업과정의 개선에 대한 기관장과 교원의 인식	114
<표 Ⅲ-71> 직업과정 위탁기관 평가에 대한 기관장과 교원의 인식	115
<표 Ⅲ-72> 기관유형별 실업계 고교 전학에 대한 재학생의 인식	116
<표 Ⅲ-73> 실업계 고교 전학시 선택 계열에 대한 재학생의 인식	117
<표 Ⅲ-74> 기관유형별 직업을 가져야 하는 이유에 대한 재학생의 인식	118
<표 Ⅳ-75> 기관유형별 재학생이 희망하는 직업	119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일반계 고등학교 직업과정 운영의 실태 분석 및 개선 방안 2001.02.01~2001.07.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