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교육단계에서의 효율적인 진로지도 방안 연구 : 4년제 일반대학을 중심으로
Career Guidance at Higher Education Level in Korea
- 저자
- 이지연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01-11)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01.08.10
- 등록일
- 2001.08.10
연구요약 I.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9 3. 용어 정의 15 II. 대학의 진로지도 17 1. 4년제 일반대학의 진로지도 유형화 17 2. On-line 진로지도 20 3. Off-line 진로지도 24 III. 대학 내 진로지도 요구 분석 33 1. 대학생의 진로지도 요구 33 2. 대학 및 기업의 진로지도 요구 56 IV . 미국 대학의 진로지도 사례 61 1. 대학 내 진로지도 유형 63 2. 대학 내 진로지도 주요 내용 69 3. 역량중심의 진로개발전략 및 활용 81 4. 우리나라 진로지도에 주는 시사점 90 V . 대학의 효율적인 진로지도 방안 93 1. 대학 내 진로지도의 최종 성과 94 2. 대학 내 진로지도의 내용체계 96 3. 대학 내 진로지도 전달을 위한 체제 103 4. 대학 내 효율적인 진로지도의 성공 조건 108 참 고 문 헌 117 ABSTRA CT 121 부 록 125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내 지도서비스의 1차 수혜자인 대학생의 진로개발역량이 함양될 수 있는 진로지도 방안을 모색하고, 궁극적으로는 최종수혜자인 기업과 국가가 대학에서 양성된 인적자원을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그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대학 내 진로지도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The Research aims at presenting a new career guidance service that could systematically support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among all university students from freshmen all the way up to seniors. It has been pointed out that career guidance services provided by 161 universities in Korea are too focused on "recruitment" rather than "holistic student's career development". This problem causes the lack of continuity and professionalism in the area of career guidance service at higher educational level. However, fundamentally, those problems are integrated such as failures of career guidance at the levels of elementary to high schools, lack of communications and coordination between universities and companies, and undue emphasis on short term performances in the process of career guidance service in reality. The case has also been made for the strong need for university students to raise career competency that would allow them to effectively cope with possible unemployment after graduation . The experience of the "unemployment" comes on the heels of graduation can decisively weaken a sense of economic independence and a positive role they could play in society. Therefore, the role of career guidance service has been noted that it needs to help harmonize students' career plans with the human resources needs of companies the ultimate beneficiaries of such service. ...
<표 Ⅰ-1> 주요국의 대학재정 비교 4 <표 Ⅰ-2> OECD 주요 국가의 25∼64세 인구 중 대졸 이상자 비중 7 <표 Ⅰ-3> 연구내용 및 방법 10 <표 Ⅰ-4> 표집 모형 11 <표 Ⅰ-5> 진로개발 역량 측정변인들의 신뢰도(chronbach- 값) 12 <표 Ⅰ-6> 대학생대상 설문조사 도구 문항구조 13 <표 Ⅱ-1> 4년제 일반대학의 진로지도 유형 구분 18 <표 Ⅱ-2> 이화여대 취업정보센터의 특강 및 세미나 27 <표 Ⅱ-3> 지방 국립대학교 취업정보실 실태조사 28 <표 Ⅱ-4> 4년제 대학들의 진로과목 개설 현황 29 <표 Ⅱ-5> 서울·경기지역 6개 대학 졸준위 현황 32 <표 Ⅲ-1> 설문 회수율 33 <표 Ⅲ-2> 지역별과 설립 유형별 설문응답 구성 34 <표 Ⅲ-3> 응답자의 성별분포 34 <표 Ⅲ-4> 응답자의 학년별 분포 35 <표 Ⅲ-5> 응답자의 전공계열별 분포 36 <표 Ⅲ-6> 진로개발 역량(성별, 학년별, 유형별) 37 <표 Ⅲ-7> 진로개발 역량(계열별, 지역별) 38 <표 Ⅲ-8> 대학생들의 졸업 후 진로결정 여부 40 <표 Ⅲ-9> 대학생들의 진로결정 시기 41 <표 Ⅲ-10> 대학생들의 진로와 전공의 일치도 42 <표 Ⅲ-11> 대학생들의 진로선택 기준 43 <표 Ⅲ-12> 진로선택에 영향을 주는 사람 (학년별, 계열별) 44 <표 Ⅲ-13> 진로선택에 영향을 주는 사람 (성별, 지역별) 45 <표 Ⅲ-14> 대학생들의 진로정보 출처 46 <표 Ⅲ-15> 대학생들의 진로준비 활동 47 <표 Ⅲ-16> 대학생들의 구직효능감 (학년별, 계열별) 49 <표 Ⅲ-17> 대학생들의 구직효능감 (성별, 지역별, 유형별) 50 <표 Ⅲ-18> 대학생들의 진로지도 이용경험(계열별, 학년별) 51 <표 Ⅲ-19> 대학생들의 진로지도 이용경험(성/ 지역/ 유형별) 52 <표 Ⅲ-20> 진로지도별 경험 횟수 53 <표 Ⅲ-21> 진로지도별 만족도 53 <표 Ⅲ-22> 대학에서 제공하는 진로지도의 문제점 54 <표 Ⅲ-23> 대학기관의 진로지도 개선방안 55 <표 Ⅲ-24> 대학의 진로지도 및 취업관련 수업/ 특강의 문제점 56 <표 Ⅲ-25> 대학에서 진로지도 및 취업관련 수업의 효율적 운영 56 <표 Ⅲ-26> 대학내 진로지도 담당 인력의 요구 57 <표 Ⅲ-27> 기업측의 대학내 진로지도 요구 58 <표 Ⅳ-1> 절충형 진로지도 체계 운영의 장단점 67 <표 Ⅳ-2> 미네소타 대학의 학생대상 진로지도 71 <표 Ⅳ-3> 콜로라도 주립대학의 학년별 진로서비스 : 1학년 75 <표 Ⅳ-4> 콜로라도 주립대학의 학년별 진로서비스 : 2학년 76 <표 Ⅳ-5> 콜로라도 주립대학의 학년별 진로서비스 : 3학년 77 <표 Ⅳ-6> 콜로라도 주립대학의 학년별 진로서비스 : 4학년 78 <표 Ⅳ-7> JOB TRACK의 진로정보 서비스 80 <표 Ⅳ-8> NCDG의 영역과 수준별 진로발달 역량 84 <표 Ⅳ-9> 성인단계의 진로발달 역량과 지표(I) 85 <표 Ⅳ-10> 성인단계의 진로발달 역량과 지표(II) 86 <표 Ⅳ-11> Howard & Amy(1990)에서 제시된 진로관련 연구들의 빈도분포 87 <표 Ⅳ-12> 4년제 대학의 빈도 분포 89 <표 Ⅴ-1> 대학생 진로개발과정에 따른 진로지도 내용 체계화 예시 100 <표 Ⅴ-2> 미주리 대학의 직업발달프로그램 유형 102 <표 Ⅴ-3> 진로지도 기관의 장단점 비교 104 <표 Ⅴ-4> 대학종합평가에서의 진로지도관련 항목 112 <표 Ⅴ-5> 학문분야평가에서의 진로지도관련 점수 113 [그림 Ⅰ-1] 고등교육단계에서의 효과적 진로지도방안 연구틀 모형 9 [그림 Ⅱ-1] 4년제 일반대학의 진로지도 19 [그림 Ⅱ-2] 진로지도 체제의 유형화 분포 18 [그림 Ⅱ-3] 경남대학교의 학생생활상담연구소 22 [그림 Ⅱ-4] 학생생활연구소의 활동 25 [그림 Ⅱ-5] 동국대학교 졸업준비위원회의 조직 및 기능 30 [그림 Ⅳ-1] 미시간 주립대학의 진로지도 체제 64 [그림 Ⅳ-2] 미주리 대학의 진로지도 체제 66 [그림 Ⅳ-3] 콜로라도 주립대학의 진로정보 센터 체제 69 [그림 Ⅳ-4] 역량과 직무의 비교 82 [그림 Ⅴ-1] 대학 내 진로지도의 최종성과 95 [그림 Ⅴ-2] 포괄적인 대학생 진로지도의 주요 내용 틀 97 [그림 Ⅴ-3] 대학생의 진로개발 과정 99 [그림 Ⅴ-4 대학생 진로개발과정에 따른 진로지도기관과의 연계 모형 105 [그림 Ⅴ-5] 중앙의 대학생 진로개발센터 체제 예시 108 [그림 Ⅴ-6] 대학졸업 인적자원의 경쟁력 하락 구도 110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고등교육단계에서의 효율적인 진로지도 방안 연구 | 2001.02.01~2001.08.10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