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지역 전통문화 산업 육성을 위한 인력 양성 방안 : 기록문화유산과 옻칠산업을 중심으로

The research on human resource development for promoting industry of regional tradition and culture
저자
조은상 이장섭
분류정보
기본연구(2001-13)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01.08.31
등록일
2001.08.31
I. 들어가는 말 1
  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방법 2
II. 지역전통문화산업의 범주와 연구대상 5
  1. 전통문화 및 지역문화의 개념 5
  2. 문화산업의 개념과 범주 11
  3. 전통공예산업 17
  4. 지역전통문화산업으로서의 기록문화유산과 옻칠산업 20
Ⅲ. 한국의 기록문화유산과 옻칠산업의 현황 및 발전방향 23
  1. 기록 문화의 관리 및 개선방향 23
  2. 옻칠 산업의 현황, 문제점 및 발전 방향 58
Ⅳ. 외국의 기록문화유산 관리 및 옻칠산업 사례 93
  1. 일본의 기록문화 관리 및 인력양성 93
  2. 일본의 옻칠 공예 산업과 인력개발 111
Ⅴ. 지역 전통 문화를 산업화하기 위한 인적자원개발 방안 135
  1. 기록 문화 유산의 인력개발방안 135
  2. 옻칠산업의 인력개발 방안 152
Ⅵ.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 167
  1. 기록문화유산관리의 정책적 시사점 및 인력개발방안 167
  2. 옻칠 산업의 정책적 시사점 및 인력개발 방안 170
  3. 지역 전통문화산업 육성을 위한 인력개발에 대한 일반적 논의 및 추후 연구과제 172
참고문헌 175
Abstract 181
부 록 189
  본 연구는 지역의 전통 문화 산업으로서 육성이 가능한 분야에 대한 타당성 조사 및 경쟁력이 약하지만 지역의 전통문화 분야에 대한 대표적인 영역에 대한 현황조사를 통하여 현재의 지역전통 문화를 산업화 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 이를 지속적으로 뒷받침할 수 있는 인적자원개발 대안을 제시하는 데 연구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하여 심층적이고 실현 가능한 정책방안을 개발하고 그것을 다른 분야에 응용할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다양한 지역 전통 문화 분야 중 전통사상이 담겨 있는 문화의 보고라 할 수 있는 기록문화유산, 전통 예술공예 중 옻칠산업에 한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In an attempt to promote industries of regional traditional culture, this paper proposes some ways to cultivate human resources, focusing on two major areas: managing recorded cultural heritage and industrializing traditional lacquering ("ot-chil" in Korean). As for the former, this study tries, first, to identify, and suggest solutions to, various problems in dealing with heritage of archives and holdings, especially those occurring in such processes as digging out, preserving, managing, organizing, translating, and developing databases and cultural contents for the internet, and second, to propose ways to cultivate human resources. As for the latter, this study tries, first, to identify, and suggest an alternative solution to, current problems with lacquering technique and lacquering industry, and second, to propose some problem-solving methods for cultivating human resources which may arise in each developing stage of lacquering industry. As for the methodology, this study adopts various tactics, such as analyzing literature and its related materials, undertaking field studies, taking interviews, and holding focus group meeting by the expert.
...
<표 Ⅱ- 1> 전통공예산업 분야 18
<표 Ⅲ- 1> 규장각의 자료 소장 현황(2001년 현재) 27
<표 Ⅲ- 2> 4부 분류에 의한 규장각 도서 현황(2001년 현재) 28
<표 Ⅲ- 3> 국사편찬위원회의 자료 수집 현황 28
<표 Ⅲ- 4> 국립중앙도서관 자료 수집현황 29
<표 Ⅲ- 5> 개인문고 설치현황 30
<표 Ⅲ- 6> 문집총간 연도별 실적 32
<표 Ⅲ- 7> 장서각에 의한 고전 한적 편집, 간행(도서간행) 33
<표 Ⅲ- 8> 각 기관의 국역실적 36
<표 Ⅲ- 9> 국고 지원 국역 기관간 한적 국역 실적 비율 38
<표 Ⅲ- 10> 대표적 출판사의 한적 국역 실적 39
<표 Ⅲ- 11> 한적 국역 실적의 연도별 추이 40
<표 Ⅲ- 12> 한적 국역 실적의 5년 단위별 추이 41
<표 Ⅲ- 13> 2000년도 기관별 DB 구축 자료량 46
<표 Ⅲ- 14> 기관별 데이터베이스 구축 현황 47
<표 Ⅲ- 15> 국사편찬위원회 의 DB 구축 자료 목록 49
<표 Ⅲ- 16> 2000년도 기관별 서비스 현황 50
<표 Ⅲ- 17> 원주지역 옻나무 식재현황 71
<표 Ⅲ- 18> 원주지역 옻나무 재배현황 71
<표 Ⅲ- 19> 칠기공예업체의 현황 및 칠 소비량(단위: kg ) 79
<표 Ⅳ- 1> 교과목 소개 - 복원기술기초연습 125
<표 Ⅳ- 2A> 기초교육과목 128
<표 Ⅳ- 2B> 기초교육과목 129
<표 Ⅳ- 3A> 전문교육과목 130
<표 Ⅳ- 3B> 전문교육과목 131
<표 Ⅳ- 3C> 전문교육과목 132
<표 Ⅳ- 4> 일본전통공예품 생산액 추이 139
<표 Ⅴ- 1> 국역연수원의 연도별 연수실적 139
<표 Ⅴ- 2> 국역연수원 교과 과정 140
<표 Ⅴ- 3> 국역 고전 문고 편찬 실적 142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지역 전통문화산업 육성을 위한 인력 양성 방안 2001.02.01~2001.08.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