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실업계 고등학생 취업지도 개선방안 연구

Study on Method of Effective Employment Education in Vocational High Schools
저자
이영대
분류정보
기본연구(2001-15)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01.10.31
등록일
2001.10.31
연구요약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의 내용 3
  3. 연구의 방법과 절차 3
  4. 용어의 정의 9
  5. 연구의 제한 10
Ⅱ. 실업계 고교 취업지도 관련문헌고찰 11
  1. 취업지도의 개념과 내용 11
  2. 취업지도에서 고려하여야 할 요인 13
  3. 실업계 고교의 취업지도 16
  4. 실업계 고교의 취업지도 관련선행연구 23
  5. 시사점 28
Ⅲ. 실업계 고교 취업지도의 현황과 문제 31
  1. 실업계 고교 졸업생의 취업추이 31
  2. 실업계 고교생의 진로미결정과 취업의지 미약 36
  3. 프로그램 측면 39
  4. 산학협동 측면 40
  5. 직업정보 측면 43
  6. 교원 측면 48
Ⅳ. 실업계 고교의 취업지도 개선을 위한 정책 과제의 기대효과에 대한 의견 51
  1. 실업계 고교 취업지도 개선을 위한 정부 및 사회의 여건조성 51
  2. 실업계 고교생의 자기 이해 측면 60
  3. 프로그램 측면 61
  4. 현장실습개선을 위한 산학협력강화 70
  5. 취업정보 제공 측면 72
  6. 교원 측면 80
  7. 정책의 우선 순위 83
Ⅴ. 실업계 고교의 취업지도 개선방안 85
  1. 실업계 고교 취업지도 개선을 위한 정부 및 사회의 여건조성 85
  2. 실업계 고교생의 자기 이해와 취업의지개발 91
  3. 프로그램 측면 94
  4. 산학협력측면 103
  5. 취업정보 제공 측면 105
  6. 교원 측면 110
  7. 각 기관별 추진과제 115
Ⅵ. 요약 및 제언 117
  1. 요약 117
  2. 제언 119
참고 문헌 123
ABSTRACT 127
부 록 133
  본 연구의 목적은 실업계 고교의 취업지도 개선방안을 마련하여 실업계 고교교육에서 중요한 기능인 취업지도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기반을 조성하며 나아가 실업계 고교 교육의 정상화에 기여함에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첫째, 취업지도 관련 이론과 실업계 고교의 취업지도 연구동향을 파악한다. 
  둘째, 실업계 고교 취업지도의 현황을 살펴보고 그 문제점을 정리하였는데 그 내용으로는 ①실업계 고교생의 진로 미결정과 취업의지 측면, ②프로그램 측면, ③현장실습 운영 측면, ④직업정보제공 측면, ⑤교원 측면에서이다.
  셋째, 실업계 고교의 취업지도 개선에 대한 요구를 파악하였으며,
  넷째, 실업계 고교의 취업지도 개선방안을 마련한다.
 Announcing plans on the development of vocational high schools in Feb. 2000,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MOE) presented a new overall direction for vocational high school education of Korea. As a follow-up,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KRIVET) has been conducting researches in several areas to develop specific policies.
 Though the employment education has been one of key areas of vocational high school education for decades, it is getting less attention recently due to several reasons. Since the financial bailout program of IMF in 1997, deteriorating economic conditions have made it difficult for the graduates of vocational high schools to find a job, and revised college admission system for 2002 has made less number of graduates of vocational high schools to seek for a job.
 Nevertheless, as there are still many students who can not afford to enter a college due to economic reasons or who want to get a job instead of entering a college, employment education is still an important area for vocational high schools.
 This study intends to assess current conditions and identify issues regarding employment education of existing vocational high schools. It also seeks to develop improvement measures by conducting surveys on related people to analyze the needs.
...
<표 Ⅰ- 1> 질문지의 구성 5
<표 Ⅰ- 2> 응답자의 일반현황 6
<표 Ⅰ- 3> 관련전문가협의회 참석자 7
<표 Ⅰ- 4> 실업계 고교 취업지도 관련 연구 학교 협의내용 8
<표 Ⅰ- 5> 연구의 내용과 연구방법과의 관계 9
<표 Ⅱ- 1> 취업지도의 내용 12
<표 Ⅱ- 2> 현장실습 학습인정 단위기준 20
<표 Ⅱ- 3> 실업계 고교의 취업지도 관련 연구동향 24
<표 Ⅱ- 4> 서울특별시의 실업계 고교 교육 활성화 대책 중 실업계 고교생 취업지도 관련 내용 25
<표 Ⅱ- 5> 인천광역시의 실업계 고등학교 내실화 방안 중 취업지도 관련 내용 26
<표 Ⅱ- 6> 실업계 각급 학교별 취업관련 문제 및 개선방안에 대한 의견 27
<표 Ⅱ- 7> 실업계 고교 취업관련 개선방안에 대한 정책집행기관 및 전문연구기관 담당자의 의견 28
<표 Ⅱ- 8> 선행연구와 실업계 고교 취업지도 개선방안에 대한 질문지항목 비교 30
<표 Ⅲ- 1> 실업계 고교 유형별 졸업생 추이 32
<표 Ⅲ- 2> 실업계 고교 졸업생의 진로추이 33
<표 Ⅲ- 3> 실업계 고교 졸업생의 계열별 취업률 및 진학률 변화추이 33
<표 Ⅲ- 4> 실업계 고교 졸업생의 전공분야 취업률 34
<표 Ⅲ- 5> 2000년도 실업계 고등학교 졸업생의 계열별·성별 취업현황 35
<표 Ⅲ- 6> 실업계 고등학교 졸업생의 계열별 전공분야 취업비중 추이 36
<표 Ⅲ- 7> 상업계 고교생의 졸업후 희망진로 37
<표 Ⅲ- 8> 학교 유형별 학생의 아르바이트 경험 정도 38
<표 Ⅲ- 9> 취업정보 제공을 위한 시간의 충분 정도 40
<표 Ⅲ-10> 실업계 고교 졸업생의 구인정보 취득원 44
<표 Ⅲ-11> 실업계 고교의 유형별 인터넷 홈페이지 구축 여부 45
<표 Ⅲ-12> 진로정보 제공을 위한 인터넷 시스템 구비 정도 45
<표 Ⅲ-13> 진로상담실 방문 학생수 47
<표 Ⅲ-14> 진로정보실 운영예산의 충분 여부 47
<표 Ⅲ-15> 진로정보실 및 진로상담실 공간확보 실태 48
<표 Ⅳ- 1> 실업계 고교의 취업지도 개선을 위한 정부 및 사회의 여건 조성에 대한 의견 51
<표 Ⅳ- 2> 학교유형별 실업계 고교의 취업지도 개선을 위한 사회적인 조건에 대한 교원의 의견 52
<표 Ⅳ- 3> 해당 부서별 실업계 고교의 취업지도 개선을 위한 사회적인 조건에 대한 교원의 의견 53
<표 Ⅳ- 4> 거주지역별 실업계 고교 취업지도 개선을 위한 사회적인 조건에 대한 교원의 의견 53
<표 Ⅳ- 5> 담당교과별 실업계 고교 취업지도 개선을 위한 사회적인 조건에 대한 교원의 의견 54
<표 Ⅳ- 6> 학교설립형태별 실업계 고교 취업지도의 개선을 위한 사회적인 조건에 대한 교원의 의견 54
<표 Ⅳ- 7> 특별채용의 제도화에 대한 의견 55
<표 Ⅳ- 8> 관행이나 법제도의 개선에 대한 의견 55
<표 Ⅳ- 9> 실업계 고교의 사회적 인식제고에 대한 의견 56
<표 Ⅳ-10> 병역혜택부여에 대한 의견 57
<표 Ⅳ-11> 산업체 근무자에 대한 계속교육 기회 확대에 대한 의견 57
<표 Ⅳ-12> 국가자격소유자에 대한 우대책 강구에 대한 의견 58
<표 Ⅳ-13> 고교교육과 자격제도의 연계강화에 대한 의견 59
<표 Ⅳ-14> 실업계 고교에 대한 재정지원강화에 대한 의견 59
<표 Ⅳ-15> 적성 및 흥미 검사 강화에 대한 의견 60
<표 Ⅳ-16> 교원의 특성별 적성 및 흥미 검사 강화에 대한 의견 61
<표 Ⅳ-17> 실업계 고교의 취업지도 프로그램 관련 시책의 효과에 대한 의견 62
<표 Ⅳ-18> 학교유형별 실업계 고교의 취업지도 프로그램 관련 시책의 효과에 대한 교원의 의견 63
<표 Ⅳ-19> 해당 부서별 실업계 고교의 취업지도 프로그램 관련 시책의 효과에 대한 교원의 의견 64
<표 Ⅳ-20> 학교위치별 실업계 고교의 취업지도 프로그램 관련 시책의 효과에 대한 교원의 의견 64
<표 Ⅳ-21> 담당과목별 실업계 고교의 취업지도 프로그램 관련 시책의 효과에 대한 교원의 의견 65
<표 Ⅳ-22> 학교설치 주체별 실업계 고교의 취업지도 프로그램 관련 시책의 효과에 대한 교원의 의견 65
<표 Ⅳ-23> 인성지도 프로그램 강화에 대한 의견 66
<표 Ⅳ-24> 취업지도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의견 66
<표 Ⅳ-25> 진로탐색 과정운영에 대한 의견 67
<표 Ⅳ-26> 체험중심 취업교육 활성화에 대한 의견 67
<표 Ⅳ-27> 취업교육을 독립교과로 설정에 대한 의견 68
<표 Ⅳ-28> 직업기초능력 개발 교육강화에 대한 의견 68
<표 Ⅳ-29> 진학과정과 취업과정 이원화 운영에 대한 의견 69
<표 Ⅳ-30> 졸업생과의 만남 및 특강기회 증대에 대한 의견 70
<표 Ⅳ-31> 산학협력강화에 대한 의견 70
<표 Ⅳ-32> 교원의 특성별 산학협력 강화에 대한 의견 71
<표 Ⅳ-33> 실업계 고교의 취업지도 관련 정보측면 개선방안에 대한 의견 72
<표 Ⅳ-34> 학교유형별 취업지도 개선을 위한 정보분야 취업지도 개선방안에 대한 교원들의 의견 73
<표 Ⅳ-35> 소속 부서별 취업지도 개선을 위한 정보분야 취업지도 개선방안에 대한 교원들의 의견 73
<표 Ⅳ-36> 학교위치별 취업지도 개선을 위한 정보분야 취업지도 개선방안에 대한 교원들의 의견 73
<표 Ⅳ-37> 담당교과별 취업지도 개선을 위한 정보분야 취업지도 개선방안에 대한 교원들의 의견 74
<표 Ⅳ-38> 학교설립주체별 취업지도 개선을 위한 정보분야 취업지도 개선방안에 대한 교원들의 의견 74
<표 Ⅳ-39> 국가 및 시·도 단위의 취업정보센터 설치운영에 대한 의견 75
<표 Ⅳ-40> 학교단위 진로정보센터 설치·운영에 대한 의견 76
<표 Ⅳ-41> 취업정보 확충에 대한 의견 76
<표 Ⅳ-42> 학교 홈페이지를 활용한 취업지도 강화에 대한 의견 77
<표 Ⅳ-43> 취업정보 제공 강화에 대한 의견 78
<표 Ⅳ-44> 직업정보의 데이터베이스화에 대한 의견 78
<표 Ⅳ-45> 취업상담 강화에 대한 의견 79
<표 Ⅳ-46> 상담체제 구축에 대한 의견 79
<표 Ⅳ-47> 학교유형별 실업계 고교 취업지도 개선을 위한 교원측면 항목에 대한 교원들의 의견 80
<표 Ⅳ-48> 소속 부서별 실업계 고교 취업지도 개선을 위한 교원측면 항목에 대한 교원들의 의견 80
<표 Ⅳ-49> 학교위치별 실업계 고교 취업지도 개선을 위한 교원측면 항목에 대한 교원들의 의견 81
<표 Ⅳ-50> 담당교과별 실업계 고교 취업지도 개선을 위한 교원측면 항목에 대한 교원들의 의견 81
<표 Ⅳ-51> 학교설립주체별 실업계 고교 취업지도 개선을 위한 교원측면 항목에 대한 교원들의 의견 81
<표 Ⅳ-52> 전교원의 진로상담 교원화를 위한 연수에 대한 의견 82
<표 Ⅳ-53> 취업상담 인력관리 체제수립에 대한 의견 82
<표 Ⅳ-54> 전문상담교사 확보에 대한 의견 83
<표 Ⅳ-55> 실업계 고교 취업지도 개선방안(안)에 대한 관련자의 의견 84
<표 Ⅴ- 1> 실업계 고교 졸업생의 취업기업 규모 86
<표 Ⅴ- 2> 실업계 고교생의 자기 이해측면에서의 현황과 개선방안 92
<표 Ⅴ- 3> 실업계 고교생의 취업지도 관련 프로그램의 현황과 개선방안 95
<표 Ⅴ- 4> 인사담당자들이 실업계 고교 졸업생 채용시 중요하게 여기는 기준 96
<표 Ⅴ- 5> 실업계 고교 계열별 졸업생의 취업시 가장 중요한 기준(교원) 99
<표 Ⅴ- 6> 실업계 고교생의 취업지도 개선을 위한 산학협동 측면의 현황과 개선방안 103
<표 Ⅴ- 7> 실업계 고교생의 취업정보 관련 현황과 개선방안 105
<표 Ⅴ- 8> 교원측면의 현황과 개선방안 110
<표 Ⅴ- 9> 각 기관별 취업지도 관련 담당과제 116
[그림 Ⅱ-1]직업선택시 고려해야 할 개인특성 13
[그림 Ⅱ-2]직업선택시 고려해야 할 직업특성 15
[그림 Ⅱ-3]실업계 고교생의 진로결정 과정 17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실업계 고등학생 취업지도 개선방안 연구 2001.02.01~2001.10.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