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의 학습조직화 촉진 방안
A Scheme to Incorporate a Concept of Learning Organization into an Enterprise
- 저자
- 이영현 정택수 이의규 김수원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01-17)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01.10.31
- 등록일
- 2001.10.31
연구 요약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내용 3 3. 연구 방법 3 Ⅱ. 경영환경 변화와 학습조직의 필요성 5 1. 경영환경의 변화 5 2. 학습조직의 필요성 11 Ⅲ. 학습조직에 대한 이해 15 1. 학습조직의 개념과 특징 15 2. 학습조직의 구축 요인 29 3. 학습조직 분석 틀 34 Ⅳ. 기업의 학습조직화 사례 39 1. 미국 기업의 학습조직화 사례 39 2. 일본 기업(C사)의 학습조직화 사례 54 3. 우리 나라 기업의 학습조직화 사례 62 4. 요약 및 시사점 89 Ⅴ. 기업의 학습조직화 실태 분석 93 1. 조사 개요 93 2. 학습조직 시스템 96 3. 학습 수준 및 학습 프로세스 103 4. 교육훈련 105 5. 학습조직 시스템과 학습과의 관계 107 6. 기업의 학습조직화 저해요인 108 Ⅵ. 기업의 학습조직화 촉진 방안 119 1. 기업의 학습조직 구축 방안 120 2. 정부의 행·재정 지원 방안 126 3. 기업의 학습조직화 촉진을 위한 정책과제 128 참고문헌 135 Abstract 141 <부록 1> Senge의 5가지 원칙 149 <부록 2> Pedler, Burgoyne, & Boydell의 학습기업 151 <부록 3> 설문지 153
본 연구는 학습조직 구축을 위한 종합적인 분석 틀을 설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선진 기업의 학습조직화 사례와 우리 나라 기업의 학습조직화 실태를 분석하여, 기업의 학습조직화를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다양한 상황에 처해 있는 기업들의 학습조직화를 촉진하기 위한 정책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learning organization, analyze the current level of development of corporate leaning organization, and present a scheme to incorporate a concept of learning organization into an enterprise. Key procedure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we observed the background from which learning organizations emerged, specifically the environmental changes that affected the corporate sector. Second, through a prior study we presented the concepts behind and characteristics of learning organizations. We also defined a framework for analysis based on the six elements of learning organization systems, vision/strategy, leadership, organizational culture, organizational structure, information system, and compensation systems. Third, we analyzed the best practices in the US, Japan, and Korea, and have presented the implications for other Korean companies. Fourth, in order to develop comprehensive measures for incorporating a concept of learning organization into an enterprise, we analyzed the current level of development of learning organizations and determined the issues involved by conducting a survey and interviews with executives, staff in charge of education/training or knowledge management, and employees of the companies. Finally, we have presented comprehensive measures that can promote corporate learning organizations. This study was based on a review of relevant literature, prior analysis, interviews, a survey, case analyses, consultation with expert organizations, and seminars. ...
<표 Ⅱ- 1> 조직의 변화 10 <표 Ⅱ- 2> 기존 경영혁신기법과 학습조직의 비교 12 <표 Ⅲ- 1> 전통적 조직과 학습조직의 특성 비교 18 <표 Ⅲ- 2> 훈련과 학습의 비교 29 <표 Ⅲ- 3> ASTD의 학습조직 측정 요인 32 <표 Ⅲ- 4> 게파르트 등의 학습조직 요인 32 <표 Ⅲ- 5> 레딩의 학습조직 측정 범주 33 <표 Ⅳ- 1> B사의 각종 지표 추이 47 <표 Ⅳ- 2> 자기계발 기록카드 61 <표 Ⅳ- 3> D사의 이벤트와 보상제도 67 <표 Ⅳ- 4> OASIS 운영방향 69 <표 Ⅳ- 5> 1:1 코칭 시스템(One on One Coaching) 운영체계 70 <표 Ⅳ- 6> 조직학습 운영절차 75 <표 Ⅳ- 7> 학습과정에 따른 E사의 조직학습 방법 76 <표 Ⅳ- 8> 사례기업의 학습조직 시스템 비교 90 <표 Ⅴ- 1> 조사 대상 근로자의 특성 94 <표 Ⅴ- 2> 해당 업종 분포 94 <표 Ⅴ- 3 > 설문조사지 조사항목, 조사내용 및 문항구성 95 <표 Ⅴ- 4> 기업 규모별, 업종별 학습조직 시스템 수준 97 <표 Ⅴ- 5> 비전과 전략 97 <표 Ⅴ- 6> 리더십-최고경영층 98 <표 Ⅴ- 7> 리더십-중간관리층 98 <표 Ⅴ- 8> 조직문화 99 <표 Ⅴ- 9> 조직구조 100 <표 Ⅴ-10> 정보시스템 101 <표 Ⅴ-11> 보상시스템 102 <표 Ⅴ-12> 학습활동 및 교육훈련에 대한 보상 내용 102 <표 Ⅴ-13> 학습의 유형 103 <표 Ⅴ-14> 학습 프로세스 105 <표 Ⅴ-15> 교육훈련 106 <표 Ⅴ-16> 상관관계 108 <표 Ⅵ- 1> 학습 패러다임의 전환 125 [그림 Ⅲ-1] 학습수준화의 기본체계 28 [그림 Ⅲ-2] 학습조직의 분석 틀 34 [그림 Ⅳ-1] C사 능력개발의 발상 60 [그림 Ⅳ-2] CBHRS와 조직학습 77 [그림 Ⅴ-1] 기업의 학습조직 시스템 수준 96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기업의 학습조직화 촉진 방안 | 2001.02.01~2001.10.31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