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중학생 진로탐색을 위한 현장체험학습 프로그램 개발

A Study on the Program of Work-based Career Guidance for Junior High School Students of Korea
저자
진미석 손유미
분류정보
기본연구(2001-18)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01.10.31
등록일
2001.10.31
I.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의 내용 및 범위 5
  3. 연구 방법 8
II. 진로탐색을 위한 현장체험학습 관련 선행 프로그램 사례 분석 11
  1. 국내 사례 분석 11
  2. 외국 사례 분석 33
III. 현장체험학습프로그램 실태조사 및 요구분석 65
  1. 실태분석 65
  2. 요구분석 74
  3. 실태 및 요구분석결과가 프로그램개발에 주는 시사점 84
IV. 현장체험학습 프로그램 개발 87
  1. 개발 절차 87
  2. 현장체험학습 프로그램 모형 89
  3. 중학생 진로탐색을 위한 현장체험학습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을 위한 가이드라인 116
V. 요약 및 제언 131
  1. 요약 131
  2. 제언 133
참 고 문 헌 135
ABSTRACT 139
부 록 143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들의 직업의식을 제고하고 자신의 진로와 직업에 대한 탐색을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현장체험학습 프로그램 개발을 시도 하고자 한다. 이 프로그램의 개발은 세 가지 수준에서 시도된다.
  첫째는 진로탐색 프로그램의 한 활동요소로서 현장체험학습 프로그램의 개발을 시도하고자 한다.
  둘째는 전자에서 개발된 현장체험학습활동을 하나의 하위요소로 활용하여 학교나 그 밖의 교육기관에서 활용할 수 있는 진로탐색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한다.
  셋째는 중학생들의 진로탐색을 위한 현장체험학습 프로그램을 개발 혹은 활용하고자 하는 교육기관들을 위한 구체적인 활용지침서를 개발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program of work-based career guidance for junior high school students. Recently, previous studies related to school-to-work transition has reported work-based career guidance as one of the effective methods for enhancing the level of career awareness and for providing the opportunity to explore the real world of work. 
  In Korea, until the end of 90ties, the concept 'career guidance' has been interpreted very narrowly. Thus, it has been understood almost same as the activity to match the level of the academic achievement of students at the point to go of upper level school and the level of the prestige of the upper schools or university. So, it is natural that the career guidance system has been very weak. In addition, there has been no culture of the industry to take part in the education of youngsters. 
  Under this circumstance, it seems very difficult to implement work-based career guidance programs for students that need the cooperation from industry. However, developing and providing the programs which teachers at schools or trainers at work-sites can easily implement must play the role of incentive to provide work-based career guidance to youngsters. 
...
<표 I-1> 직업현장 및 현장전문가 협의과정 	9
<표 I-2> 연구 내용과 연구방법	10
<표 II-1> 구조화된 체험학습장을 통한 직업체험(예시)	13
<표 II-2> 2000년 청소년 직업체험활동의 현황	14
<표 II-3> 2001년도 청소년 자원봉사센터 직업체험	16
<표 II-4> 운영상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18
<표 II-5> 2001년 여름 아르바이트 캠프 프로그램(하자센터)	20
<표 II-6> 법률 체험학습 프로그램	21
<표 II-7> 법률 체험학습 세부프로그램	22
<표 II-8> 방송신문 체험학습 프로그램	22
<표 II-9> 전문직업반 체험학습 프로그램	23
<표 II-10> 애니메이션 체험학습 프로그램	23
<표 II-11> 컴퓨터 관련 체험학습 프로그램	24
<표 II-12> 우주탐구반 체험학습 프로그램	24
<표 II-13> 중학생 진로지도 프로그램 유형 II의 구성	31
<표 II-14> 현장체험 프로그램 실시상의 문제점 및 개선 방향 	33
<표 II-15> worksite 21의 진로발달과 현장학습 구조 	36
<표 II-16> 리얼게임의 구조와 활동	44
<표 II-17> EYH 워크숍의 주제	57
<표 II-18> WIST의 워크숍 주제	60
<표 III-1> 진로탐색현장체험 경험이 없는 이유(중학생)	66
<표 III-2> 진로탐색 현장체험프로그램 운영방식	66
<표 III-3> 경험한 현장체험의 시기(중학생, 교사)	67
<표 III-4> 현장체험에 대한 사후평가 방식	68
<표 III-5> 현장체험에 대한 사후평가 주체	68
<표 III-6> 현장체험의 진로탐색에 대한 도움정도	68
<표 III-7> 교사의 현장체험 프로그램 운영시 애로사항에 대한 반응	69
<표 III-8> 학교의 진로탐색 현장체험 프로그램 운영여건(교사)	70
<표 III-9> 진로탐색 현장체험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협조체제(교사)	71
<표 III-10> 현장체험 프로그램 운영형태 (산업체)	71
<표 III-11> 경험한 현장체험 참여규모	72
<표 III-12> 산업체의 현장체험 프로그램 운영시간 (산업체)	72
<표 III-13> 산업체의 현장체험 프로그램의 주요내용	73
<표 III-14> 산업체의 진로탐색 현장체험 프로그램 운영여건	73
<표 III-15> 현장체험 프로그램 운영시 산업체의 애로사항 	74
<표 III-16> 효과적인 진로탐색 방법 	75
<표 III-17> 진로탐색을 위한 현장체험프로그램 개발․보급의 필요성 	75
<표 III-18> 현장체험프로그램 개발․보급이 불필요한 이유(교사 반응)	76
<표 III-19> 학생들의 진로탐색 현장체험 프로그램 참가의사가 없는 이유	76
<표 III-20> 진로탐색 현장체험 프로그램의 내용에 대한 요구	77
<표 III-21> 현장체험 희망유형	77
<표 III-22> 정규 학교교육과정에서 현장체험 운영방법에 대한 교사들의 선호	78
<표 III-23> 현장체험 프로그램의 주도적 운영기관	78
<표 III-24> 현장체험 참여규모	79
<표 III-25> 현장체험의 시기	79
<표 III-26> 현장체험 프로그램 운영방식	80
<표 III-27> 현장체험 기간	80
<표 III-28> 진로탐색 현장체험 프로그램 활성화를 위한 선행조건	80
<표 III-29> 산업체의 현장체험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싶지 않은 이유	81
<표 III-30> 산업체가 요구하는 진로탐색 현장체험 프로그램의 내용	81
<표 III-31> 현장체험 희망유형	82
<표 III-32> 현장체험 참여규모	82
<표 III-33> 현장체험 프로그램의 바람직한 운영시기 	83
<표 III-34> 현장체험 기간	83
<표 III-35> 진로탐색 현장체험 프로그램 활성화를 위한 선행조건	84
<표 IV-1> 현장체험학습 프로그램 내용구성의 기본 모형	94
<표 IV-2> 학습현장의 유형화   	96
<표 IV-3> 현장 섭외시 제기되었던 문제점 	98
<표 IV-4> 진로탐색 프로그램 중 가장 흥미로운 프로그램 	102
<표 IV-5> 예술의 전당 현장체험학습 프로그램	104
<표 IV-6> 예술의 전당 현장체험학습 프로그램의 세부활동내용	105
<표 IV-7> 에버랜드 현장체험학습 프로그램 	106
<표 IV-8> 에버랜드 현장체험학습 프로그램의 세부활동내용	107
<표 IV-9> 한겨레신문사 현장체험학습 프로그램	109
<표 IV-10> 한겨레신문사 현장체험학습 프로그램의 세부활동내용	110
<표 IV-11> 예림미용학원 현장체험학습 프로그램	111
<표 IV-12> 예림미용학원 현장체험학습 프로그램의 세부활동내용	112
<표 IV-13> 하이닉스 반도체 현장체험학습 프로그램	113
<표 IV-14> 하이닉스 반도체 현장체험학습 프로그램의 세부활동내용	114
<표 IV-15> 현장체험학습 프로그램의 구성요소와 활동	115
<표 IV-16> 직업인 강연 내용 구성을 위한 지침  	118
<표 IV-17> 「직업안내」를 위한 지침	119
<표 IV-18> 현장체험 프로그램을 활용한 중학생 진로탐색 프로그램의 유형	121
<표 IV-19> 진로탐색 프로그램의 구성요소 및 활동	123
<표 IV-20> 현장 선정 방법	125
<표 IV-21> 현장 섭외 지침	127
<표 IV-22> 직업 질문지 예시 	129
[그림 IV-1]현장체험 프로그램 개발 절차	88
[그림 VI-2] 중학생 진로탐색을 위한 현장체험학습 프로그램 구조	93
[그림 IV-3] 직업지도의 예시	108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중학생 진로탐색을 위한 현장체험학습 프로그램 개발 2001.02.01~2001.10.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