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중·고등학생을 위한 직업적성검사 개발(Ⅱ)

Development of a vocational Aptitude Inventory for Secondary School Students (Ⅱ)
저자
임언 정윤경
분류정보
기본연구(2001-19)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01.12.31
등록일
2001.12.31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내용 3
  3. 연구 방법 7
Ⅱ. 국내 적성검사의 기술적 특징에 대한 검토 13
  1. 신뢰도의 종류 및 국내 적성검사의 신뢰도 13
  2. 타당도의 개념 및 국내 적성검사의 타당도 18
Ⅲ. 문항 개발 21
  1. 문항 시안 21
  2. 예비검사 문항 제작 22
  3. 문항의 수정·보완을 위한 예비검사 실시 25
Ⅳ. 검사의 표준화 및 특성 분석 47
  1. 규준 제작 47
  2. 검사의 신뢰도 51
  3. 검사의 타당도 52
  4. 검사 점수의 지역별·성별·학년별·계열별 차이 61
Ⅴ. 검사 결과의 해석 논리 71
  1. 직업분류 71
  2. 검사 결과 제시 논리 104
Ⅵ. 요약 및 논의 111
  1. 중·고등학생을 위한 직업적성검사의 특징 111
  2. 검사의 활용 방법 113
  3. 향후 과제 114
참 고 문 헌 117
ABSTRACT 119
【부록 1】3차 예비검사 관련 자료 123
【부록 2】기술통계 및 규준표 133
【부록 3】본 검사 요인분석 결과 165
【부록 4】직업분류 관련 자료 169
【부록 5】직업별 O*NET의 직업명 201
  본 연구는 중·고등학생을 위한 직업적성검사 개발(Ⅰ)에 이어지는 2차년도의 연구사업으로서, 1차년도에 확립된 검사 개발의 방향에 준거하여 신뢰성 있고 타당한 자기보고식 검사 개발을 완성하는 데 있었으며, 그 세부 목표는 다음과 같다. 첫째, 1차년도 연구에 의하여 개발된 문항 시안을 보완·완성하여 타당하고 신뢰성 있고 검사 문항을 개발하는 것이다. 둘째, 검사의 신뢰도 및 타당도 관련 근거를 다양한 측면에서 확보하는 것이며, 셋째, 정확한 검사 결과 해석을 위하여 대표성 있는 규준을 제작하는 것이다. 넷째, 1차년도 직무조사 결과를 반영하는 직업분류를 바탕으로 체계적이며 교육적인 검사 결과 해석의 논리를 개발하는 것이며, 마지막으로, 교사 및 상담가가 이해하기 쉬우면서도 동시에 검사의 기본 특성을 손쉽게 안내할 수 있는 검사 요강을 제작하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vocational aptitude inventory which enables secondary schoolers to evaluate their perceived abilities in various areas. In 2000, the first year of the two-year-project, the followings were performed. First, abilities the inventory should cover were selected . Second, the validity of self-reporting method was evaluated . Third, a new job classification was made based on the job survey to get the criterion for career guidance based on test scores. Finally, items were developed through the steps of the behaviorally-anchored rating scales(BARS) method. In this stud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first year study, the items were developed through three pilot studies, norms were made with 5,574
students from 80 schools, and the reliabilities and validities of the inventory were examined.
...
<표 Ⅰ- 1> 연구 내용별 연구 방법 7
<표 Ⅰ- 2> 2차 예비검사 표본의 성별·학교별 구성 9
<표 Ⅰ- 3> 3차 예비검사 표본의 성별·학교별 구성 10
<표 Ⅰ- 4> 규준집단의 지역별·학교급별 학교(학생) 수 10
<표 Ⅱ- 1> 신뢰도 계수별 포함하는 오차원 13
<표 Ⅱ- 2> 국내 적성검사에서 제시하고 있는 신뢰도 계수 17
<표 Ⅱ- 3> 국내 적성검사 요강에 제시된 타당도 근거들 20
<표 Ⅲ- 1> 문항 개발 단계별 행동 예시 및 하위 요소의 수 22
<표 Ⅲ- 2> 검사의 영역별 하위요소 23
<표 Ⅲ- 3> 2차 예비검사의 학교급별·학년별 평균 및 표준편차 26
<표 Ⅲ- 4> 2차 예비검사 문항별 하위영역 총점과의 상관계수 및 하위영역별 내적 일치도 28
<표 Ⅲ- 5> 2차 예비검사 요인 분석 결과 31
<표 Ⅲ- 6> 2차 예비검사의 각 하위영역간 상관계수 33
<표 Ⅲ- 7> 2차 예비검사에 대한 학생들의 평가 35
<표 Ⅲ- 8> 2차 예비검사에 따른 문항들에 대한 문제 진단 및 수정 내용 36
<표 Ⅲ- 9> 3차 예비검사 하위영역별 평균 및 표준편차의 범위 38
<표 Ⅲ-10> 3차 예비검사 문항별 하위영역 총점과의 상관계수 및 하위영역별 내적 일치도 38
<표 Ⅲ-11> 3차 예비검사 요인 분석 결과 41
<표 Ⅲ-12> 3차 예비검사 손재능과 공간시각능력만을 포함한 요인 분석 43
<표 Ⅲ-13> 3차 예비검사 하위영역간 상관계수 44
<표 Ⅳ- 1> 신체·운동능력 규준(전체) 48
<표 Ⅳ- 2> 신체·운동능력 규준(남자) 49
<표 Ⅳ- 3> 신체·운동능력 규준(여자) 50
<표 Ⅳ- 4> 검사의 내적 일치도 지수(알파값) 51
<표 Ⅳ- 5> 검사-재검사 신뢰도 52
<표 Ⅳ- 6> 종합진로적성검사 및 진로탐색검사의 상관 54
<표 Ⅳ- 7> 학업 성적과의 상관(학교 1) 55
<표 Ⅳ- 8> 학업 성적과의 상관(학교 2) 56
<표 Ⅳ- 9> 학업 성적과의 상관(학교 3) 56
<표 Ⅳ-10> 하위영역간 상관계수 57
<표 Ⅳ-11> 문항에 대한 요인 분석 결과(전체) 58
<표 Ⅳ-12> 검사에 대한 느낌 및 소견 60
<표 Ⅳ-13> 지역별 평균 차이 62
<표 Ⅳ-14> 성별 평균 차이 63
<표 Ⅳ-15> 학년별 평균 차이 64
<표 Ⅳ-16> 계열별 평균 차이 66
<표 Ⅳ-17> 성별·계열별 평균 차이 68
<표 Ⅳ-18> 실업계 2학년 계열별 평균 차이 69
<표 Ⅴ- 1> 1차년도 직업분류와 타 적성검사에서의 직업분류의 비교 75
<표 Ⅴ- 2> O*NET 내용 모델에 제시된 직업별 능력 수준 88
<표 Ⅴ- 3> 최종 직업분류 102
<표 Ⅴ- 4> 검사 결과 점수표 예시 106
<표 Ⅴ- 5> 직업군별 판정표 예시 108
[부표 1- 1] 제3차 예비검사 문항별 학년별 평균 및 표준편차 123
[부표 1- 2] 3차 예비검사 요인 분석 결과(중학생) 126
[부표 1- 3] 3차 예비검사 요인 분석 결과(일반계 고등학생) 128
[부표 1- 4] 3차 예비검사 요인 분석 결과(실업계 고등학생) 130
[부표 2- 1] 본 검사 문항별 학년별 평균 및 표준편차 133
[부표 2- 2] 신체·운동능력 규준(전체) 135
[부표 2- 3] 손재능 규준(전체) 136
[부표 2- 4] 공간·시각능력 규준(전체) 137
[부표 2- 5] 음악능력 규준(전체) 138
[부표 2- 6] 창의력 규준(전체) 139
[부표 2- 7] 언어능력 규준(전체) 140
[부표 2- 8] 수리·논리력 규준(전체) 141
[부표 2- 9] 자기성찰능력 규준(전체) 142
[부표 2-10] 대인관계능력 규준(전체) 143
[부표 2-11] 자연친화력 규준(전체) 144
[부표 2-12] 신체·운동능력 규준(남자) 145
[부표 2-13] 손재능 규준(남자) 146
[부표 2-14] 공간·시각능력 규준(남자) 147
[부표 2-15] 음악능력 규준(남자) 148
[부표 2-16] 창의력 규준(남자) 149
[부표 2-17] 언어능력 규준(남자) 150
[부표 2-18] 수리·논리력 규준(남자) 151
[부표 2-19] 자기성찰능력 규준(남자) 152
[부표 2-20] 대인관계능력 규준(남자) 153
[부표 2-21] 자연친화력 규준(남자) 154
[부표 2-22] 신체·운동능력 규준(여자) 155
[부표 2-23] 손재능 규준(여자) 156
[부표 2-24] 공간·시각능력 규준(여자) 157
[부표 2-25] 음악능력 규준(여자) 158
[부표 2-26] 창의력 규준(여자) 159
[부표 2-27] 언어능력 규준(여자) 160
[부표 2-28] 수리·논리력 규준(여자) 161
[부표 2-29] 자기성찰능력 규준(여자) 162
[부표 2-30] 대인관계능력 규준(여자) 163
[부표 2-31] 자연친화력 규준(여자) 164
[부표 3- 1] 중학생 요인 분석 결과 165
[부표 3- 2] 고등학생 요인 분석 결과 166
[부표 4- 1] 1차년도 직무조사 결과에 따른 직업별 적성영역과『직업정보』의 적성영역 비교 169
[부표 4-2] 한국교육개발원 적성검사의 직업 분야별 직업군 186
[부표 4-3] 일반적성검사의 직업적성분류 188
[부표 4-4] 종합진로적성검사 기초적성 관련 직업군 193
[부표 4-5] 성인용 직업적성검사 직업군의 중요 적성요인 195
[부표 4-6] 성인용 직업적성검사 직업분류표 197
[부표 5-1] 직업별 O*NET의 직업명 201
[그림 Ⅰ-1] 2년 동안의 연구 내용 및 과정 4
[그림 Ⅳ-1] 지역별 하위영역 점수 프로화일 61
[그림 Ⅳ-2] 성별 하위영역 점수 프로화일 63
[그림 Ⅳ-3] 고등학교 2학년 전체 학생 검사 점수의 계열별 프로화일 65
[그림 Ⅳ-4] 계열별 T점수 프로화일(고2 남학생) 67
[그림 Ⅳ-5] 계열별 T점수 프로화일(고2 여학생) 67
[그림 Ⅳ-6] 실업계 고등학교 계열별 프로화일 69
[그림 Ⅴ-1] 검사 결과 점수 도표 예시 106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중·고등학생을 위한 직업적성 검사 개발(Ⅱ) 2001.02.01~2001.10.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