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업계 고등학교 전문교과 교사의 직무수행 기준 개발
The Development of Job Performance Standard for Vocational Teachrs in Vocational High School
- 저자
- 장명희 변숙영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01-20)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01.12.31
- 등록일
- 2001.12.31
연구요약 Ⅰ. 서 론 1 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내용과 범위 2 3. 연구의 방법 4 Ⅱ. 실업계 고등학교 전문교과 교사의 역할과 자질 9 1. 직업교육 담당 교원의 역할 9 2. 직업교육 담당 교사의 자질 12 3. 직업교육 담당 교원의 직무수행과 사회·정책적 요구 15 Ⅲ. 실업계 고등학교 교원 현황과 관리 17 1. 실업계 고등학교 교원의 현황 17 2. 실업계 고등학교 전문교과 교사의 양성·자격·임용 관리 25 3. 전문교과 교사의 직무 관리 실태 38 Ⅳ. 실업계 고등학교 전문교과 교사의 직무 분석 41 1. 전문교과 교사의 직무 관련 규정 41 2. 학교 직업교육과정 운영과 전문교과 교사의 직무 44 3. 전문교과 교사의 직무 분석 46 Ⅴ. 실업계 고등학교 전문교과 교사의 직무수행 기준(안)에 대한 인식 및 요구 조사 71 1.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 71 2. 전문교과 교사의 담당 업무에 대한 이해 수준과 만족도 75 3. 전문교과 교사의 업무에 대한 중요도 및 수행 수준 인식 77 4. 직무수행 기준의 활용에 대한 요구 96 Ⅵ. 실업계 고등학교 전문교과 교사의 직무수행 기준(안) 개발 103 1. 외국의 직업교육 교사 직무수행 기준 사례 103 2. 실업계 고등학교 전문교과 교사 직무수행 기준 설정의 의미 121 3. 실업계 고등학교 전문교과 교사의 직무수행 기준(안) 개발 124 참고 문헌 139 ABSTRACT 141 부 록 149
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은 직업교육 환경의 사회적·정책적 변화에 따라 실업계 고등학교 전문교과 교사에게 요구되는 역할과 자질을 규명하고, 실업계 고등학교 현장에서 수행하고 있는 직무 내용을 밝혀 효율적인 직무 수행을 위해 갖추어야 하는 직무수행 기준(안)을 개발·제시하는 데 있다.
The study aims to look into the role and quality required to vocational teachers in vocational high school to keep up with the changes in society and policy in vocational education. It also aims to present and develop job performance standard through identifying job specifications in the field for more effective job performance of vocational teachers.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role and quality of vocational teachers in vocational high school have been looked into and their jobs were analyzed. The awareness and demand for the development of job performance standard, through which the direction and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job performance standard are developed and presented, were surveyed. The study made use of several research methods such as analysis of literature and documents, job analysis through structured group interviews, interview research, daily work log, and professional conferences. ...
<표 Ⅰ-1> 설문지의 응답 및 분석 현황 6 <표 Ⅰ-2> 설문지별 구성 내용 7 <표 Ⅱ-1> 직업교육 담당 교사의 역할 11 <표 Ⅲ-1> 실업계 고등학교 교원의 직위별 현황(2000년) 18 <표 Ⅲ-2> 담당 과목별 실업계 고등학교 교원의 현황 20 <표 Ⅲ-3> 자격증 과목 담당 여부에 따른 담당 과목별 실업계 고등학교 교원의 현황 21 <표 Ⅲ-4> 출신기관별 실업계 고등학교 교원의 인력구조 현황(2000년) 23 <표 Ⅲ-5> 계열별 학급당 교사 정원의 현황 및 적정 규모에 대한 시·도 교육청의 의견 25 <표 Ⅲ-6> 교직과정의 이수 과목과 학점 27 <표 Ⅲ-7> 실업계 고등학교 전문교과 교사 양성 목적 시범대학 교육과정 비교 28 <표 Ⅳ-1> 전문교과 교사 직무 관련 규정 분석 42 <표 Ⅳ-2> 제7차 교육과정의 학교 직업교육과정 운영을 위해 요구되는 전문교과 교사의 직무 45 <표 Ⅳ-3> 실업계 고등학교 전문교과 교사의 직무수행 영역 관련 선행연구 47 <표 Ⅳ-4> 학교교육 계획서에서 추출된 실업계 고등학교 전문교과 교사의 추가 직무 49 <표 Ⅳ-5> 업무 내용에 대한 수행 여부와 수행 필요도 응답 경향 50 <표 Ⅳ-6> 구조화된 집단 면접에서 추가된 업무 내용 51 <표 Ⅳ-7> 초·중등 교사의 업무 영역 및 내용 52 <표 Ⅳ-8> 수업활동 지도 영역의 업무 내용 53 <표 Ⅳ-9> 학생 지도 영역의 업무 내용 54 <표 Ⅳ-10> 학급 경영 영역의 업무 내용 55 <표 Ⅳ-11> 교육과정 편성·운영 영역의 업무 내용 56 <표 Ⅳ-12> 연구 개발 영역의 업무 내용 56 <표 Ⅳ-13> 연수활동 영역의 업무 내용 57 <표 Ⅳ-14> 학교 운영 영역의 업무 내용 57 <표 Ⅳ-15> 교내·외 행사 참여 및 지역사회 협력 영역의 업무 내용 59 <표 Ⅳ-16> 행정 사무 영역의 업무 내용 59 <표 Ⅳ-17> 직업교육 프로그램의 계획·개발 및 운영 영역의 업무 내용 60 <표 Ⅳ-18> 현장실습 및 산학협동 교류 교육 영역의 업무 내용 61 <표 Ⅳ-19> 근무일지 작성 참여 교사 특성 62 <표 Ⅳ-20> 영역별 근무시간 우선도 64 <표 Ⅳ-21> 담임과 보직 여부에 따른 주당 근무시간 65 <표 Ⅴ-1> 개인별·학교별 특성 73 <표 Ⅴ-2> 학부모의 일반적 특성 74 <표 Ⅴ-3> 전문교과 교사의 담당 업무에 대한 이해 수준 75 <표 Ⅴ-4> 전문교과 교사의 업무 분장 결과에 대한 만족도 76 <표 Ⅴ-5> 전문교과 교사의 직무수행 능력에 대한 인식 76 <표 Ⅴ-6> 전문교과 교사 업무 영역에 대한 중요도 및 교사의 수행 수준 인식 정도 77 <표 Ⅴ-7> 전문교과 교사들의 개인·재직학교·업무 특성 변인별 직무수행의 중요도에 대한 인식 80 <표 Ⅴ-8> 전문교과 교사들의 개인·재직학교·업무 특성 변인별 직무수행 수준에 대한 인식 82 <표 Ⅴ-9> 수업활동 업무 영역 84 <표 Ⅴ-10> 학생 지도 업무 영역 86 <표 Ⅴ-11> 학급 경영 업무 영역 87 <표 Ⅴ-12> 교육과정 편성·운영 업무 영역 88 <표 Ⅴ-13> 연구 개발 업무 영역 89 <표 Ⅴ-14> 연수활동 업무 영역 90 <표 Ⅴ-15> 학교 운영 업무 영역 91 <표 Ⅴ-16> 지역사회 협력 업무 영역 92 <표 Ⅴ-17> 행정 사무 업무 영역 93 <표 Ⅴ-18> 직업교육 프로그램의 계획·개발 및 운영 업무 영역 94 <표 Ⅴ-19> 현장실습 및 산학협동 교류 업무 영역 95 <표 Ⅴ-20> 직무 기준을 업무분장 기준으로 활용하는 방안에 대한 조사 대상별 견해 96 <표 Ⅴ-21> 직무 기준을 정원 배치 기준으로 활용하는 방안에 대한 조사 대상별 견해 97 <표 Ⅴ-22> 직무 기준을 근무 평가 기준으로 활용하는 방안에 대한 조사 대상별 견해 97 <표 Ⅴ-23> 직무 기준을 보수 결정 기준으로 활용하는 방안에 대한 조사 대상별 견해 98 <표 Ⅴ-24> 직무 기준을 연수 대상자 선정 기준으로 활용하는 방안에 대한 조사 대상별 견해 98 <표 Ⅴ-25> 직무 기준을 계약 임용 기준으로 활용하는 방안에 대한 조사 대상별 견해 99 <표 Ⅴ-26> 교사 직무수행 기준 적용방식(중복 응답) 100 <표 Ⅴ-27> 실업계 고교 교사의 적정 주당 수업시수 100 <표 Ⅵ-1> 국가 교사 자격 심사 기준 104 <표 Ⅵ-2> 오클라호마 직업기술교육부의 직업 마스터 교사 자격부여를 위한 의무 사항 106 <표 Ⅵ-3> 직업교육 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최상의 실천방안 106 <표 Ⅵ-4> 대만의 고급직업학교 전업교사 기준 109 <표 Ⅵ-5> 직업교육 교사 기준 내용 114 <표 Ⅵ-6> 직업교육 교사의 직무활동 기준 115 <표 Ⅵ-7> 직무수행 기준(안)의 구성 특징 128 <표 Ⅵ-8> 실업계 고등학교 전문교과 교사의 직무수행 기준(안) 131 [그림 Ⅵ-1] 실업계 고등학교 전문교과 교사의 직무수행 기준(안) 개발 방법 및 절차 126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실업계 고등학교 전문교과 교사의 직무수행 직무수행 기준개발 | 2001.02.01~2001.10.31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