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일반대학 졸업자의 전문대학 및 기능대학으로의 재입학 실태 분석

Analysis on University Graduates’ Reentrance into Junior Colleges or Polytechnic Colleges
저자
장원섭 김철희
분류정보
기본연구(2001-21)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01.12.31
등록일
2001.12.31
I.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방법 및 절차 3
  3. 연구 범위 및 한계 6
Ⅱ. 재입학 현상에 대한 이론적 논의 9
  1. 경제 및 사회문화적 환경 변화 9
  2. 선행 연구 분석 31
Ⅲ. 재입학 실태 조사 결과 37
  1. 대학 조사 결과 37
  2. 재입학자 설문조사 결과 46
IV. 결론 및 제언 71
  1. 결론 71
  2. 제언 72
참고문헌 77
Abstract 81
부록 87
  본 연구에서는 대학을 졸업하고 전문대학 및 기능대학으로 재입학하는 현상에 대한 실태를 정확히 파악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인적자원의 효과적인 활용과 평생교육의 관점에서 이 문제에 대한 대응 방안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is to analyze overall realities of reverse transfer: reentrance into junior colleges or polytechnic colleges after graduation from universities or junior colleges.    University graduates in our country keep reentering into junior colleges or polytechnic colleges. This can be said to be back current (reverse transfer) in contrast to one of the traditional functions of two-year colleges: transfer to four-year universities.
  In this study with the purpose of understanding the general conditions of reentrance, preceeding studies made at home and abroad are examined, junior colleges and polytechnic colleges are investigated, and reentrance students and graduates are questioned and interviewed.
...
<표 Ⅰ- 1> 대학 조사 및 재입학자 설문조사의 학력별 표본 구성	6
<표 Ⅱ- 1> 향후 5년간(2001~2005) 고용창출 및 삭감 규모	10
<표 Ⅱ- 2> 산업별 취업자 수 및 구성비 추이	11
<표 Ⅱ- 3> 전문대학 졸업생의 산업별 취업자 수 및 구성비 추이	12
<표 Ⅱ- 4> 직업별 취업자 수 및 구성비 추이	13
<표 Ⅱ- 5> 전문대학 졸업생의 직업별 취업자 수 및 구성비 추이	14
<표 Ⅱ- 6> 학력별 취업자 수의 변화	14
<표 Ⅱ- 7> 25~64세 노동인력 중 고등교육 이수자 비율(1998)	15
<표 Ⅱ- 8> 학력별 실업자 수 및 실업률	15
<표 Ⅱ- 9> 주요국의 인적자원 현황 비교	16
<표 Ⅱ-10> 미국의 최고 직업	17
<표 Ⅱ-11> 고용 증가가 예상되는 직업의 학력분포	18
<표 Ⅱ-12> 유망산업 및 주요 기술 분야	19
<표 Ⅱ-13> 교육훈련 수준에 따른 유망직업의 평균소득, 평균성장률, 창출 일자리 수	22
<표 Ⅱ-14> 전문대학 계열별 졸업자 수	23
<표 Ⅱ-15> 취업률 변화 추이(1980~2001)	24
<표 Ⅱ-16> 전문대학 졸업자의 진로 및 취업 상황(1998~2001)	24
<표 Ⅱ-17> 전공과 직업의 일치도	25
<표 Ⅱ-18> 전문대학 졸업생의 전공 일치 여부별 취업 현황	26
<표 Ⅱ-19> 산업기술인력의 부족 현황	27
<표 Ⅱ-20> 산업기술인력 전공의 증감 필요성	28
<표 Ⅱ-21> 전문대학 졸업자의 진학률	29
<표 Ⅱ-22> 전문대학의 변화	30
<표 Ⅱ-23> 기업의 교육훈련방식의 변화 추세	30
<표 Ⅲ- 1> 대학 특성별 재입학자 분포	37
<표 Ⅲ- 2> 대학 소재지별 재입학자 분포	39
<표 Ⅲ- 3> 특별전형 재입학자의 입학 인기학과 현황	42
<표 Ⅲ- 4> 현재 재학하고 있는 재입학 대학 선택 이유	48
<표 Ⅲ- 5> 비취업 재입학자 중 취업 경력자의 이직 사유	55
<표 Ⅲ- 6> 재입학 재학생 중 비취업자의 졸업 후 계획	58
<표 Ⅲ- 7> 재입학이 구직 또는 직무수행에 미칠 도움을 주는 정도에 대한 평가(현재 취업자)	59
<표 Ⅲ- 8> 재입학이 구직 또는 직무수행에 미칠 도움을 주는 정도에 대한 평가(현재 비취업자)	60
<표 Ⅲ- 9> 재입학 졸업자의 현 취업 상태	61
<표 Ⅲ-10> 재입학 졸업자의 월 평균임금	63
<표 Ⅲ-11> 재입학 졸업자 중 미취업자의 향후 계획	67
[그림 Ⅲ- 1] 재입학자의 성 및 연령대별 분포	40
[그림 Ⅲ- 2] 전문대 재학생과 비교한 재입학자 전공계열 분포	41
[그림 Ⅲ- 3] 재입학자의 전공 변경 현황	43
[그림 Ⅲ- 4] 대학 졸업 후 재입학하기까지의 기간	44
[그림 Ⅲ- 5] 재입학자의 집-학교 소재지 비교	44
[그림 Ⅲ- 6] 재입학자의 휴학 및 탈락 현황	45
[그림 Ⅲ- 7] 재입학 이전 활동	46
[그림 Ⅲ- 8] 주야간별 재입학 이유	47
[그림 Ⅲ- 9] 재입학 대학에서의 자신의 학업생활 평가	49
[그림 Ⅲ-10] 이전 대학 교육만족도와 현 대학 교육만족도	50
[그림 Ⅲ-11] 재입학자의 학비 조달	51
[그림 Ⅲ-12] 재입학자 중 취업자 비율	52
[그림 Ⅲ-13] 재입학자 취업자 중 전일제 고용 비율	52
[그림 Ⅲ-14] 재입학자의 이전 대학 전공과 현 직무 일치 정도	53
[그림 Ⅲ-15] 취업 중인 재입학자의 현 직업 만족도	54
[그림 Ⅲ-16] 비취업자 중 취업 경험이 있는 재입학자의 비율	55
[그림 Ⅲ-17] 재입학 재학생 중 취업자의 졸업 후 계획	56
[그림 Ⅲ-18] 재입학이 직무수행 또는 구직에 도움을 주는 정도에 대한 평가	59
[그림 Ⅲ-19] 재입학 졸업자의 전일제 고용 비율	62
[그림 Ⅲ-20] 재입학 졸업생의 현 직무와 이전 대학 및 재입학 대학 전공 일치도	64
[그림 Ⅲ-21] 재입학 졸업자 및 취업 중인 재학생의 현 직업 만족도 비교	66
[그림 Ⅲ-22] 재입학이 하고자 하는 일에 얼마나 도움을 주었는가에 대한 재입학 졸업자의 평가	68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일반대학 졸업자의 전문대학 및 기능 대학으로의 재입학 실태 분석 2001.06.01~2001.10.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