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세기 직업전망에 따른 전문대학의 전공 개편방안
Restructuring Junior College Programs based on the Employment Outlook for the 21st Century
- 저자
- 최지희 정완섭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01-22)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01.11.30
- 등록일
- 2001.11.30
연구요약 I.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3 3. 연구의 제한점 및 한계 7 II. 21세기 유망직업 전망과 전문대학 학위자를 위한 유망 직종 9 1. 21세기 직업전망에 따른 유망직종 9 2. 전문대학 학위자를 위한 유망직종 32 Ⅲ. 전문대학의 교육적 특성 및 교육 수요 고찰 49 1. 전문대학의 교육적 특성 49 2. 전문대학의 취업 실태 및 문제점 66 3. 향후 전문대학의 교육 수요 전망 75 IV. 전문대학 유망학과에 대한 요구조사 85 1. 조사의 개요 85 2. 설문조사 결과 89 3. 요약 및 주요 시사점 110 Ⅴ. 외국 전문대학 신설학과 사례 분석 113 1. 서 론 113 2. 외국 전문대학 교육과정 변화의 사회경제적 배경 115 3. 외국 전문대학의 신설학과 사례 분석 119 4. 한국 전문대학에의 시사점 138 VI. 21세기 직업전망에 따른 전공 개편방안 143 1. 21세기 유망직업 전망의 시사점 143 2. 국내·외 학과 개편 동향 145 3. 전공 개편방안 및 신설학과 제안 156 참 고 문 헌 167 ABSTRACT 173 부 표 175 부 록 183
1990년대 이후 양적 성장을 거듭해 온 전문대학은 90년대 후반에 들어서면서 신기술의 발달과 이에 따른 노동시장의 변화를 교육과정에 반영하여야 하는 과제와 대학 정원의 자율화, 실고 졸업생의 감소로 인한 전문대학 교육 대상의 감소라는 두 가지 문제를 동시에 해결해야 하는 과제를 안게 되었다. 본 연구는 전문대학이 이러한 경제·사회적 그리고 교육적 환경변화에 대응하여 향후 어떠한 학과 들을 개설해 나가는 것이 가능하고 필요한가를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그리고 이와 같은 환경변화에 대처하여 학과들을 개설해 나가는데 있어서 함께 해결해야 할 문제들과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전공개편 방안으로 제시하였다.
The need for a closer link between what they learn in school and what they practice at work is ever increasing in the 21st century. Junior colleges in Korea, as the major vocational educational institution at the higher education level, have increased their importance both in terms of quantity and quality since the beginning of 1990s. Now, with the changes in the industrial and occupational structure and the changes in the educational settings, junior colleges are in great need for restructuring their programs according to the job markets more than ever. This study is an attempt to reflect the changes in the labor market on the programs in junior colleges. It aims to analyse the employment outlook for the 21st century, both domestic and foreign, and utilize the result on how to establish new programs and restructure existing programs. ...
<표 Ⅱ- 1> 21세기 주요 산업 트랜드와 특징 11 <표 Ⅱ- 2>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1999) 13 <표 Ⅱ- 3> 성장률로 본 유망산업 20종 14 <표 Ⅱ- 4> 유망산업 분야별 유망직종 17 <표 Ⅱ- 5> 산업별 취업자수 증가 및 증가율(대·중분류) (1998~2008) 20 <표 Ⅱ- 6> 직종별 취업자수 증가 및 증가율(대·중분류) (1998~2008) 24 <표 Ⅱ- 7> 직업(대분류)별 취업자수 추이 및 전망(1988~1998~2008) 28 <표 Ⅱ- 8> 미 노동부 통계청(BLS) 발표 유망직종 30 : 1998~2008 31 <표 Ⅱ- 9> 교육훈련수준별 직종 및 취업자수 분포 35 <표 Ⅱ-10> 성장률로 본 교육훈련수준별 유망직종(1996~2006) 37 <표 Ⅱ-11> 고성장, 고임금, 저실업률 기준으로 본 교육훈련수준별 유망직종 39 <표 Ⅱ-12> 교육수준(학력)별 경제활동인구 분포추이(한국) 41 <표 Ⅱ-13> 교육훈련수준별로 본 취업자수 성장전망(미국) :1996~2006 42 <표 Ⅱ-14> 교육훈련수준별로 본 취업자수 성장전망(미국) :1998~2008 42 <표 Ⅱ-15> 21세기 유망직업 50종 (고성장, 고소득, 저실업률 기준) 45 <표 Ⅱ-16> 전문학사 학위소지자를 위한 유망직종 (1999~2000) 47 <표 Ⅱ-17> 연령집단별·기준별 전문학사 학위소지자를 위한 유망직종 48 <표 Ⅲ- 1> 전문대학의 역사와 변천과정 51 <표 Ⅲ- 2> 설립별 전문대학수 및 학생정원(2001학년도) 52 <표 Ⅲ- 3> 4년제 대학과의 주요 교육적 특성 비교 54 <표 Ⅲ- 4> 전문대학과 4년제 대학과의 교육과정 비교 56 <표 Ⅲ- 5> 계열별 개설학과수 분석 58 <표 Ⅲ- 6> 계열별 학생정원 분석(입학정원 기준) 60 <표 Ⅲ- 7> 전문대학의 계열별 교사 기준면적 61 <표 Ⅲ- 8> 전문대학의 계열별 교지 기준면적 61 <표 Ⅲ- 9> 전문대학 교원산출 기준 62 <표 Ⅲ-10> 실험 실습설비 계열별 기준단가 63 <표 Ⅲ-11> 실험 실습비 계열별 교육비 계수 63 <표 Ⅲ-12> 특정 기술분야의 학과명칭 사례 65 <표 Ⅲ-13> 전문대학 졸업생의 연도별 취업률 66 <표 Ⅲ-14> 전문대학의 계열별 취업률 67 <표 Ⅲ-15> 전문대학의 취업률 상위학과 현황 68 <표 Ⅲ-16> 전문대학 졸업생의 취업 산업체 규모 69 <표 Ⅲ-17> 산업체 규모별 취업현황 69 <표 Ⅲ-18> 전문대학 졸업자의 전공분야별 취업인원 현황 70 <표 Ⅲ-19> 졸업생 취업 산업체의 성격 - 전공과의 관련성 70 <표 Ⅲ-20> 우리 나라의 학력별 임금 격차 71 <표 Ⅲ-21> 기업의 전문대학 졸업자에 대한 인사제도상의 대우정도 72 <표 Ⅲ-22> 전문대학과 대학의 전공별 입학생 분포 (2000년) 75 <표 Ⅲ-23> 최근 5년간 전문대학 및 대학 입학자의 전공분포 추이 77 <표 Ⅲ-24> 고교 졸업자의 진로 현황 (1996~2000) 79 <표 Ⅲ-25> 일반계 및 실업고 졸업예정자 추이(1981~2000) 81 <표 Ⅲ-26> 일반계 및 실업계 졸업자수 전망(2000~2010) 82 <표 Ⅲ-27> 입학정원 및 주야간 비중변화 83 <표 Ⅳ- 1> 설문 응답자의 소속부서 89 <표 Ⅳ- 2> 설문조사 응답자 직위 90 <표 Ⅳ- 3> 기관 유형 91 <표 Ⅳ- 4> 대학별 소재지 분포 91 <표 IV- 5> 전문대학 및 학생정원의 지역별 분포 92 <표 Ⅳ- 6> 전국 전문대학 개설학과의 계열 분포 93 <표 Ⅳ- 7> 전문대학의 주력계열 및 인기계열과 학과 분포 95 <표 Ⅳ- 8> 대학별 지역사회의 규모 98 <표 Ⅳ- 9> 졸업생 고용업체의 규모 99 <표 Ⅳ-10> 전문대학 인접 지역 사회의 주요 산업분야 100 <표 Ⅳ-11> 졸업생 취업업체의 전공과의 관련성 100 <표 Ⅳ-12> 졸업생 주요 취업업체의 거리 및 규모 101 <표 Ⅳ-13> 학생모집 현황 102 <표 Ⅳ-14> 학생모집 관련 문제점의 특성 103 <표 Ⅳ-15> 학생모집 문제점의 주요 원인 103 <표 Ⅳ-16> 학생모집 문제의 해결방안 104 <표 Ⅳ-17> 신설·설치 희망·확대 및 축소 희망 학과의 계열별 분포 106 <표 Ⅳ-18> 학과의 개설을 희망하는 이유 108 <표 Ⅴ- 1> 미국의 성장직업 25선 118 <표 Ⅴ- 2> NSW주 TAFE의 학과 계열 121 <표 Ⅴ- 3> 2001년도 TAFE 신설학과(Course) 123 <표 Ⅴ- 4> 시드니 기술전문대학의 신설학과 및 교육과정 125 <표 Ⅴ- 5> Lansing Community College의 신설 및 유망학과 128 <표 Ⅴ- 6> Austin Community College의 신설 및 유망학과 129 <표 Ⅴ- 7> kingsborough community college의 신설 및 유망학과 130 <표 Ⅴ- 8> Cabrillo Community College의 신설 및 유망학과 130 <표 Ⅵ- 1> 계열-세부 분야별 국내 인기·신설 및 설치 희망학과 148 <표 Ⅵ- 2> 분야별 해외 신설학과 및 유망학과(호주·미국·일본) 152 <표 Ⅵ- 3> 전문대학 전공 개설을 위한 향후 신설학과(안) 164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21세기 직업 전망에 따른 전문대학의 전공 개편 방안 | 2001.02.01~2001.11.30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