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학생의 진로선택에 관한 조사
The Study on the Career Plan of High School Students
- 저자
- 한상근 진미석 이영대 임언 이지연 이양구 정윤경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01-25)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01.12.30
- 등록일
- 2001.12.30
I. 서론 1 1. 조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조사 내용 및 방법 2 Ⅱ. 선행연구에 대한 분석 9 1. 고등학생의 일반적 현황 9 2. 대학수학능력시험의 계열별 지원자 및 응시자 추이 12 3. 대학 계열별 학생 추이 13 4. 진로선택 관련 선행연구 15 5. 발견점 25 Ⅲ. 고등학생의 현재 계열 27 1. 계열 선택과 관련된 변인 27 2. 현재 계열을 선택한 이유 31 3. 계열 선택시의 의논 상대 44 Ⅳ. 고등학생의 대학 진학계획 47 1. 진학 희망학과 47 2. 학과 선택 이유 51 3. 희망학과 선택에 영향을 미친 사람 57 4. 진학 관련 정보 수집처 62 5. 희망학과에 대한 정보 숙지 정도 63 6. 희망학과의 준비 유형 66 7. 자격증 취득 준비 유형 67 8. 경시대회 참가 68 9. 논술/면접 준비 70 10. 대학 지원 결정 71 11. 교차 지원의 유형별 현황 및 특징 74 V. 고등학생의 진로 계획 85 1. 고교 졸업 후 계획 85 2. 외국유학 계획 89 3. 고등학생 선호직업 97 4. 선호하는 직업계열 108 5. 직업 선택 이유 115 Ⅵ. 요약 및 제언 119 1. 요약 119 2. 정책 제언 123 참고문헌 129 ABSTRACT 131 부록 1. 부표 134 부록 2.「고등학생의 진로선택에 관한 조사」설문지 147 부록 2.「고등학생의 진로 선택에 관한 조사」설문결과 156
본 조사에서는 전국의 일반계 고교와 특수목적고 학생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선호 학과와 선호 직업을 비롯한 진로선택 전반적인 실태조사를 수행하였다. 이 조사는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연구 목적을 가지고 있다. 첫째, 고등학생들이 현재 계열을 선택한 이유와 그 선택에 영향을 미친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수학능력시험과 대학 입시에서 현재의 계열을 뒤바꾸어 지원하는 학생들의 실태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이공계 기피현상의 실태와 이유를 분석하여 인력수급 정책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둘째, 고등학생들의 대학 진학 계획을 분석하여, 성별·학년별·지역별·부모 학력별로 진학 계획의 특성을 찾아내었다. 셋째, 졸업 후 고등학생들의 진로를 분석하였다. 졸업 후 진학과 직업선택, 유학 등의 계획을 알아보고, 관련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본 조사 결과는 고등학생들의 직업세계에 대한 인식 수준을 판단하여 향후 진로지도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이러한 고등학생들의 선호 학과 및 직업을 비롯한 진로선택에 대한 조사 분석은 직업세계 현장에서의 인력수요에 보다 적극적으로 부응할 수 있는 진로지도를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areer plan of high school students in order to find policy suggestions for career guidance. Current major field of study, the reason for choosing current major field of study, plan after high school graduation were surveyed. The sample of this study includes 11,082 students from 141 schools, 9,923 from general high schools and 1,159 from special high schools. Students of vocational high schools were excluded in this study. The survey was done by mail through July 5, to July 18, 2001. ...
<표 Ⅰ- 1> 설문지 주요 문항구조 3 <표 Ⅰ- 2> 일반계 고등학교 표집 현황 5 <표 Ⅰ- 3> 특수목적고 표집 현황 6 <표 Ⅰ- 4> 학년별․학교종류별 설문지 응답자 현황 6 <표 Ⅰ- 5> 성별․학교종류별 설문지 응답자 현황 7 <표 Ⅱ- 1> 일반계 고교 및 특목고 학교 수 추이 10 <표 Ⅱ- 2> 고등학생 추이 11 <표 Ⅱ- 3> 일반계 고교 졸업생의 진로 추이 11 <표 Ⅱ- 4> 수능시험 계열별 지원자 및 응시자 현황 12 <표 Ⅱ- 5> 계열별 입학 추이 14 <표 Ⅱ- 6> 선행연구 자료 15 <표 Ⅱ- 7> 대학, 학과 결정할 시기 22 <표 Ⅱ- 8> 가장 중요한 직업의 기능 25 <표 Ⅲ- 1> 설문지 응답자의 현재 계열 27 <표 Ⅲ- 2> 설문지 응답자중 2․3학년 문과․이과 학생 비율 28 <표 Ⅲ- 3> 일반계 고등학교 2․3학년 문과․이과 학생 비율 28 <표 Ⅲ- 4> 계열 선택과 관련된 변인들에 대한 단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 모형 요약 29 <표 Ⅲ- 5> 단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마지막 단계(8단계) 결과 30 <표 Ⅲ- 6> 계열선택이유 31 <표 Ⅲ- 7> 현재 계열별 선택 이유 32 <표 Ⅲ- 8> 현재 계열별 관련 과목이 싫어서 계열을 선택한 정도 33 <표 Ⅲ- 9> 현재 계열별 관련 과목이 좋아서 계열을 선택한 정도 33 <표 Ⅲ-10> 학교 유형별로 계열 관련 과목이 싫어서 계열을 선택한 정도 34 <표 Ⅲ-11> 학교 유형별 계열 관련과목이 싫어서 계열을 선택한 정도 35 <표 Ⅲ-12> 학교 유형별 계열 관련 과목이 좋아서 계열을 선택한 정도 36 <표 Ⅲ-13> 현재 학년별 계열 선택 이유 37 <표 Ⅲ-14> 학년별 계열 관련 과목이 싫어서 계열을 선택한 정도 37 <표 Ⅲ-15> 학년별 계열 관련 과목이 좋아서 계열을 선택한 정도 38 <표 Ⅲ-16> 성별 고교생의 계열 선택 이유 39 <표 Ⅲ-17> 성별 계열 관련과목이 싫어서 계열을 선택한 정도 39 <표 Ⅲ-18> 성별 계열 관련 과목이 좋아서 계열을 선택한 정도 40 <표 Ⅲ-19> 현재 지역별 계열 선택 이유 41 <표 Ⅲ-20> 지역별 계열 관련 과목이 싫어서 계열을 선택한 정도 42 <표 Ⅲ-21> 지역별 계열 관련 과목이 좋아서 계열을 선택한 정도 42 <표 Ⅲ-22> 현재 계열별 종합 성적 43 <표 Ⅲ-23> 현재 계열별 영어 성적 43 <표 Ⅲ-24> 현재 계열별 수학 성적 44 <표 Ⅲ-25> 고교생들의 계열 선택시 상의자 45 <표 Ⅳ- 1> 집단별 학생들이 희망하는 학과의 수 49 <표 Ⅳ- 2> 전체 고등학교 학생의 진학 희망학과 순위 50 <표 Ⅳ- 3> 학교 종류별 학과 선택 이유 51 <표 Ⅳ- 4> 학교 종류별 학과 선택 53 <표 Ⅳ- 5> 지역별 희망학과(계열)의 선택 이유 54 <표 Ⅳ- 6> 성별에 따른 희망학과(계열)의 선택 이유 55 <표 Ⅳ- 7> 현재 계열별 희망학과 선택 이유 56 <표 Ⅳ- 8> 희망학과(계열) 선택에 영향을 미친 사람 57 <표 Ⅳ -9> 예술고 학생들의 희망학과(계열) 선택에 영향을 미친 사람 58 <표 Ⅳ-10> 지역별 희망학과(계열) 선택에 영향을 미친 사람 59 <표 Ⅳ-11> 학년별 희망학과(계열)의 영향인 60 <표 Ⅳ-12> 학교 성적으로 인한 학과 선택 영향인 61 <표 Ⅳ-13> 진학정보 관련 수집 정보원 62 <표 Ⅳ-14> 지역별 졸업 후 직업정보 숙지 정도 63 <표 Ⅳ-15> 지역별 희망학과 내용 64 <표 Ⅳ-16> 지역별 소질과 적성 65 <표 Ⅳ-17> 학년별 소질과 적성 65 <표 Ⅳ-18> 지역별 과외수강 66 <표 Ⅳ-19> 성적별 과외/학원 수강 67 <표 Ⅳ-20> 지역별 자격증 취득 준비 68 <표 Ⅳ-21> 성적별 자격증 취득 준비 68 <표 Ⅳ-22> 지역별 경시대회 참가 유형 69 <표 Ⅳ-23> 학교 종류별 경시대회 참가 69 <표 Ⅳ-24> 성적별 경시대회 참가 70 <표 Ⅳ-25> 지역별 논술/면접 준비 70 <표 Ⅳ-26> 학년별 논술/면접 준비 71 <표 Ⅳ-27> 성적별 논술/면접 준비 71 <표 Ⅳ-28> 대학 지원시 고등학생들의 지원 경향 72 <표 Ⅳ-29> 고등학생들의 대학 지원 결정 유형 74 <표 Ⅳ-30> 고3 일반계 학생들의 계획에 따른 현재 계열․수능 응시 계열․대학 응시계열 빈도 75 <표 Ⅳ-31> 교차 지원 유형별 학생 수 77 <표 Ⅳ-32> 교차 지원 유형별 학업 성적 78 <표 Ⅳ-33> 집단 유형별 가정 배경 및 계열 선택시 고려한 정도 평균 81 <표 Ⅴ- 1> 고등학생들의 졸업 후 계획 86 <표 Ⅴ- 2> 변인별 졸업 후 계획 비교표 87 <표 Ⅴ- 3> 고등학생들의 유학 희망 정도 90 <표 Ⅴ- 4> 변인별 유학 희망 비교표 91 <표 Ⅴ- 5> 고등학생들이 유학 희망 시기 94 <표 Ⅴ- 6> 변인별 유학 시기 비교표 96 <표 Ⅴ- 7> 일반계 고등학생 선호직업의 순위 99 <표 Ⅴ- 8> 현직자 수를 비교하여 조정한 선호직업의 순위 99 <표 Ⅴ- 9> 문과생 선호직업 102 <표 Ⅴ-10> 이과생 선호직업 103 <표 Ⅴ-11> 중․고등학교 교사 희망자의 선호학과 104 <표 Ⅴ-12> 컴퓨터 프로그래머 희망자의 선호학과 105 <표 Ⅴ-13> 공무원 희망자의 선호학과 105 <표 Ⅴ-14> 경영학과 희망자의 선호직업 106 <표 Ⅴ-15> 컴퓨터 공학과 희망자의 선호학과 106 <표 Ⅴ-16> 호텔경영학과 희망자의 선호직업 107 <표 Ⅴ-17> 선호직업의 전체 숫자 108 <표 Ⅴ-18> 선호직업계열 109 <표 Ⅴ-19> 아버지 학력별 선호직업계열 110 <표 Ⅴ-20> 어머니 학력별 선호직업계열 111 <표 Ⅴ-21> 성별 선호직업계열 112 <표 Ⅴ-22> 성적별 선호직업계열 113 <표 Ⅴ-23> 학교종류별 선호직업계열 114 <표 Ⅴ-24> 직업에 종사하고자 하는 이유 1순위 115 <표 Ⅴ-25> 직업에 종사하고자 하는 이유 2순위 116 <표 Ⅴ-26> 직업계열별 직업에 종사하고자 하는 이유 1순위 117 <표 Ⅴ-27> 성별 직업에 종사하고자 하는 이유 1순위 118 [그림 Ⅲ-1] 현재 학년별 선택 이유 32 [그림 Ⅲ-2] 학교 유형별 계열 선택 이유 35 [그림 Ⅲ-3] 성별 고교생의 계열 선택 이유 39 [그림 Ⅲ-4] 현재 지역별 계열 선택 이유 41 [그림 Ⅲ-5] 고교생들의 계열 선택시 의논 대상 45 [그림 Ⅳ-1] 학과 선택 이유 1순위 52 [그림 Ⅳ-2] 대학 지원 경향 73 [그림 Ⅴ-1] 일반계 고교생의 고교 졸업 후 계획 85 [그림 Ⅴ-2] 일반계 고교생의 유학에 대한 관심 91 [그림 Ⅴ-3] 일반계 고교생의 유학 희망 시기 95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고등학생의 진로선택에 관한 조사 | 2001.06.01~2001.11.30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