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적자원개발지표 및 지수
Indexes and Indicators in Human Resource Developments
- 저자
- 김해동 박병진 김상호 김병우 이상준 최지희 한성덕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01-30)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01.12.31
- 등록일
- 2001.12.31
연구 요약 Ⅰ .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2. 연구내용 및 한계 3 3. 연구의 방법 및 절차 4 Ⅱ . 인적자원개발 개념 및 범위 7 1. 인적자원개발의 정의 7 2. 인적자원개발에 관한 이론적 접근들 14 3. 선진국의 인적자원개발 동향 23 Ⅲ . 인적자원개발지표 및 지수 43 1. 인적자원개발지표 및 지수 논의 43 2. 인적자원개발지표 및 지수개발 국내외 현황 48 Ⅳ . 인적자원개발지표의 모형과 목표 영역 77 1. 인적자원개발 순환모형 구성의 필요성 77 2. 인적자원개발의 순환과정 79 3. 순환모형과 목표영역의 설정 90 Ⅴ . 국가인적자원개발지표 및 지수 95 1. 체계구조의 설정 95 2. 국가인적자원개발지표 선정의 기준과 전략 100 3. 국가인적자원개발지표 체계 103 4. 국가인적자원개발지수 104 Ⅵ . 인적자원개발지표 및 지수의 개발방향 및 제언 113 1. 인적자원개발지표 및 지수의 개발방향 113 2. 제언 116 3. 국가인적자원개발지표 2002(안) 118 참고문헌 129 ABSTRACT 139 부 록 141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금까지 여러 가지 개별지표 자료에서 부분적으로 제시되고 있는 인적자원에 관련된 지표들을 종합하여 인적자원개발지표 및 지수를 개발·제시하기 위한 기초연구의 일환으로 인적자원개발지표의 체계를 개발한다. 둘째, 인적자원과 관련이 있는 기존의 교육지표·통계와 노동지표·통계가 교육과 노동의 이행과정의 흐름을 파악하고 실태를 제시하는 데에 한계가 있다. 그러므로 이 한계를 극복하고, 교육 및 노동 관련 지표 및 통계치(교육 통계, 노동통계, 기타)를 재구성하기 위한 각 부문별 영역을 설정하고 이 영역에 따른 세부지표항목을 개발한다. 셋째, 인적자원의 정보원 및 새로운 자료구성을 위해 관련 통계치를 주기적, 누적적으로 수집·가공하고, 이를 체계적으로 제시하기 위한 항목의 개념과 산식을 제시한다. 넷째, 이 연구에서 제시되는 인적자원개발지표 및 지수 개발단계에 맞추어, 현재 개발 가능한 지표들부터 시작하여 장래 개발할 수 있는 항목들을 추가하고 보완할 수 있는 형태의 인적자원개발지표 항목들을 제시한다. 장래에 보다 질 좋은 인적자원개발지표를 발간하기 위해 새롭게 조사되어야 하거나 주기적인 조사가 필요한 항목들을 단계적으로 제시한다. 다섯째, 본 기초연구는 향후 『인적자원개발지표 및 지수』라는 자료집 제시를 위해 인적자원개발 지표의 데이터 베이스(database) 구축과정 및 인적 자원지수개발을 위한 기초연구자료를 제공하여 후속 인적자원개발 연구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In this study on developing "Indexes and Indicators in Human Resource Developments", we proceeded in the order the chapters are layed out. In Chapter Ⅰ, the introduction part, we discussed the backgrounds and rationale for this study. In Chapter Ⅱ, we reviewed previous national and international studies on the subject of indicators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HRD) and surveyed different theoretical approaches to the subject. This was done to clarify the concepts of "human resources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s", which are often used in confusion and without clear definitions in such diverse contexts. At the same time, we also reviewed diverse human resource development policies implemented in developed countries, in order to search for the specific areas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In Chapter Ⅲ, we defined the concepts of "indexes" and "indicators" in general, and overlooked the major indicators and indexes, domestic and international, that are being generated. This was done as a preparatory step before defining the concepts of indexes and indicators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In Chapter Ⅳ, building on what we learned in Chapter Ⅱ and Ⅲ, we developed a model as a foundation to develop indicators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Based on the model, we set up the target areas and defined concepts of each area. In Chapter Ⅴ, we tried to develop a system of "National Human Resource Development indicators". Thus, we established a structure for the system, and defined the main interest areas for each target area, and more detailed interest areas for each interest area. Then, we set the criteria to select the individual indicator items, and finally selected the key individual indicators in National Human Resource Development. In Chapter Ⅵ, drawing on the work done in Chapter Ⅰ through Chapter Ⅴ, we made policy recommendations for the further developments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indexes and indicators. Then, we proposed the draft of "Natonal Human Resource Development Indicators 2002" which we developed based the results from previous chapters. Through this process, we developed indicators and indexes in such important and diverse areas of "National Human Resource Development (NHRD)" as national supply and demand of manpower, employment information, education and training opportunities, diverse programs of education and training and information thereon, and qualification systems.
<표 Ⅱ-1> 학문분야별 HRD관련 용어 비교 11 <표 Ⅱ-2> 학제간 인적자원개발에 대한 관심영역 12 <표 Ⅱ-3> 대상·영역별 인적자원개발의 범위 및 중요도 13 <표 Ⅱ-4> 인적자원개발 이론의 요약 22 <표 Ⅱ-5> 미국 인적자원개발 담당 정부조직 및 업무내용 25 <표 Ⅱ-6> 인적자원개발 담당 조직의 활동 35 <표 Ⅲ-1> 통계청 발간 인구통계관련 자료 49 <표 Ⅲ-2> 인적자원 관련 주요 인구통계 및 개별지표 50 <표 Ⅲ-3> 통계청 발간 한국의 사회지표-인구부문 51 <표 Ⅲ-4> 통계청 발간 한국의 사회지표-소득과 소비부문 52 <표 Ⅲ-5> 통계청 발간 한국의 사회지표-노동부문 52 <표 Ⅲ-6> 통계청 발간 한국의 사회지표-교육부문 53 <표 Ⅲ-8> 통계청 발간 한국의 사회지표-정보와 통신부문 54 <표 Ⅲ-9> 교육관련 통계자료 현황 54 <표 Ⅲ-10> 한국의 교육 지표 의 항목 56 <표 Ⅲ-11> 노동관련 통계자료 목록 57 <표 Ⅲ-12> 사회복지관련 지표 및 통계자료 현황 57 <표 Ⅲ-13> 보건복지통계연보 의 인적자원 관련 개별 지표항목 58 <표 Ⅲ-14> 한국의 청소년 지표 의 인적자원 관련 지표항목 60 <표 Ⅲ-15> 여성통계연보 의 인적자원 관련 지표항목 61 <표 Ⅲ-16> 정보화관련 지표 및 통계자료 현황 62 <표 Ⅲ-17> 교육의 성과를 측정하는 개발지표영역- 비경제적 지표 70 <표 Ⅲ-18> UNDP의 인간개발지수 (HDI) 71 <표 Ⅲ-19> 인간개발지수 (HDI) 계산과정 71 <표 Ⅲ-20> ILO World Labor Report 1997-98 Industrial relations, democracy and social stability 73 <표 Ⅲ-21> ILO Yearbook of Labor Statistics 73 <표 Ⅲ-22> IMD의 국가경쟁력지수 74 <표 Ⅲ-23> UN ESCO 통계연감 75 <표 Ⅲ-24> UN ESCO World Ed u cation In dicator s 75 <표 Ⅴ-1> 인적자원개발지표 체계 98 <표 Ⅴ-2> 지표 영역별 대비 주요지표 비율 101 <표 Ⅵ-1> 국가인적자원개발지표 2002(안) 118 [그림 Ⅱ-1] N etw ork B 의 지표영역 63 [그림 Ⅳ-1] 인적자원형성의 주체, 인적자본투자의 수요자, 대상, 공급조직 86 [그림 Ⅳ-2] 개발·형성된 인적자원의 이행과정 88 [그림 Ⅳ-3] 인적자원의 축적 활용, 결과 89 [그림 Ⅳ-4] 인적자원개발의 순환모형 91 [그림 Ⅵ-5] 인적자원개발 순환모형과 목표영역의 구성 93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인적자원지표 및 지수개발 | 2001.02.01~2001.12.31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