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직업교육훈련과정 개발을 위한 직무분석(2001)

Job Analysis for Developing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Course
저자
서창교 김종우 김현수 주인중 한상근
분류정보
기본연구(2001-34)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01.12.30
등록일
2001.12.30
연구요약
제1부  직무분석 방법 및 절차 모형 개발 연구 1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의 내용 3
    3. 연구의 방법 6
    4. 연구의 분석틀 및 관련 용어의 정의 9
    5. 보고서 구성 및 연구의 제한 13
Ⅱ. 직무분석의 이론적 고찰 15
    1. 직무분석의 발달과정 및 정의 15
    2. 직무분석의 필요성 및 목적 19
    3. 직무분석의 기법 21
    4. 직무분석 관련 용어의 개념 31
Ⅲ. 직무분석의 활용실태 및 접근방법 35
    1. 직무분석 활용실태 35
    2. 직무분석 접근방법 57
    3. 직무분석의 특징 및 시사점 69
Ⅳ. 직업교육훈련과정 개발을 위한 직무분석 모형 79
    1. 설문조사	79
    2. 직업교육훈련과정 개발을 위한 직무분석 모형 82
Ⅴ. 활용 방안 143
    1. 주요 단원별 해석 143
    2. 활용 방안 146
제2부  직업교육훈련과정 개발을 위한 직무분석 사업 151
Ⅰ. 직종선정 배경 151
Ⅱ. 10직종 직무분석 결과 요약 155
    1. 정보시스템분석사 155
    2. 웹프로그래머 158
    3. CRM전문가 159
    4. 고객지원전문가(CE) 163
    5. 펌웨어엔지니어 165
    6. 이동통신망운용관리자 168
    7. 웹피디 171
    8. 시스템관리자 174
    9. 사이버교육운영자 177
   10. 의료정보시스템관리사 180
Ⅲ. 직업적성과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종합분석 185
    1. 직업적성설문 분석 185
    2. 직업기초능력설문 분석 187
참고문헌 189
Abstract 193
부    록 199
  본 연구는 각 기관에서 목적별로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직무분석 실시 및 활용 실태를 파악하여 향후 효율적인 직업교육훈련에 관련된 직무분석 사업 방향을 제시하고, 교육·훈련·자격의 일관성 있는 연계 체제 구축을 위한 직무분석 방법 및 절차 모형을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사업으로는 동일한 직무분석을 통한 직업교육훈련과정 및 출제기준의 기초 자료를 지속적으로 개발·보급하는 데 있다.
  Job analysis is essential in the development of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course as well as developing guidelines for vocational qualification exams. However, due to inadequacy in systematic job analysis in the past, development and revision of educational programs, vocational training standards and guidelines for examination questions not only lack efficiency and connectivity, but are also becoming a waste of resources.
  Purpose of the research lies in developing methods of job analysis and procedure models for establishment of a system that  efficiently links education, training and qualification by understanding the job analysis conducted by various institutions. The purpose also lies in developing basic materials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course as well as developing guidelines for examination questions through job analysis on 10 promising occupations in the field of information communications as a project.
  Conten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characteristics as well as strengths and weaknesses of the job analysis conducted when developing curriculum for schools, guidelines for vocational training, qualification category and guidelines for examination questions, and job dictionary were examined, and job analysis methods for development of education, training and qualification in connection with one another were studied.
  Second, to establish job analysis methods and procedures, the contents, methods and procedures of job analysis conducted by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along with development of curriculum for vocational high schools, curriculum for junior colleges, guidelines for vocational training and examination questions of Human Resources Development Services of Korea as well as development of job dictionary, were analyzed.
  Third, since the form used in job analysis must be appropriate for description of job contents, the form was designed so that anyone would have an easy understanding of the contents.
  The research collected and analyzed previous job analysis-related research data as well as materials regarding the current status of job analysis at various institutions, and apprehended issues for improvement and degree of utilization by analyzing the questionnaire attached to the job analysis material for 2000. In addition, the actual status of job analysis conducted by various institutions was investigated and person(s) with experience in developing curriculum, person(s) in charge of job analysis for enterprises and person(s) in charge of producing questions for national qualification exams were interviewed, for development of the job analysis guidebook. Furthermore, a conference of specialists was held to examine the proposed job analysis guidebook, which will become applicable in 2001, and to select occupations that will be the subject of job analysis.
  The report is divided into; Part I - Research for developing job analysis methods and procedure models, and Part II - Job analysis project for developing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course.    
...
제1부  표  차  례
<표 Ⅰ- 1> 2000년도 개발된 직무분석 자료 활용에 대한 설문조사 내용	7
<표 Ⅰ- 2> 설문조사 표집 수 및 회수율	7
<표 Ⅱ- 1> ‘자동차 정비공’의 책무, 작업, 작업요소 예	33
<표 Ⅲ- 1> 국가수준의 교육과정 개정 절차	36
<표 Ⅲ- 2> 교과별 각론 개정 시안 연구 개발 절차	37
<표 Ⅲ- 3> 공고「2·1 체제」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직무분석 현황	39
<표 Ⅲ- 4> 연도별 직업훈련기준 개발 현황 	43
<표 Ⅲ- 5> 직업훈련기준 개발 직종 현황 	44
<표 Ⅲ- 6> 직업훈련기준의 구성 요소 	45
<표 Ⅲ- 7> 직업훈련기준 개발을 위한 직무분석 자료 구성 내용 	46
<표 Ⅲ- 8> 자격종목 개발 현황	48
<표 Ⅲ- 9> 출제기준 필기시험 예시	50
<표 Ⅲ-10> 출제기준 실기시험 예시	50
<표 Ⅲ-11> 한국직업사전 발간 현황	51
<표 Ⅲ-12> 제3판 한국직업사전 편찬사업 현황	52
<표 Ⅲ-13> 한국직업사전의 직업기술 구성 예	54
<표 Ⅲ-14> 직업교육훈련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직무분석 자료 목록	56
<표 Ⅲ-15> 공고「2·1 체제」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직무분석 실시 절차	58
<표 Ⅲ-16> 직업훈련기준 개발 절차	60
<표 Ⅲ-17> 1997년 이전 직무분석 절차 	62
<표 Ⅲ-18> 1997년 이후 직무분석 절차	62
<표 Ⅲ-19> 출제기준 작성 절차	64
<표 Ⅲ-20> 2000년 직무분석의 절차	68
<표 Ⅲ-21> 각 기관 주체별 직무분석 방법 및 구성 요소	74
<표 Ⅲ-22> 기관별 교육과정, 직업훈련기준, 출제기준 구성 내용 비교	75
<표 Ⅵ- 1> 설문조사 결과	80
<표 Ⅳ- 2> 직업교육훈련과정 개발을 위한 직무분석 내용 구성 요소	94
<표 Ⅳ- 3> 직업분류 양식 	98
<표 Ⅳ- 4> 직능 수준	99
<표 Ⅳ- 5> 직무수행에 필요한 조건 양식	99
<표 Ⅳ- 6> 직업적성 분석 설문지	101
<표 Ⅳ- 7> 인력양성 실태 및 취업경로 양식	104
<표 Ⅳ- 8> 작업환경조건 양식	105
<표 Ⅳ- 9>  관련 직업과의 관계 양식	107
<표 Ⅳ-10> 직업기초 능력 양식	108
<표 Ⅳ-11> 의사소통능력 하위요소별 수준	110
<표 Ⅳ-12> 수리능력 하위요소별 수준	112
<표 Ⅳ-13> 문제해결능력 하위요소별 수준	113
<표 Ⅳ-14> 자기 관리 및 계발 능력 하위요소별 수준	115
<표 Ⅳ-15> 자원활용능력 하위요소별 수준	116
<표 Ⅳ-16> 대인관계능력 하위요소별 수준	117
<표 Ⅳ-17> 정보능력 하위요소별 수준	118
<표 Ⅳ-18> 기술능력 하위요소별 수준	119
<표 Ⅳ-19> 조직이해능력 하위요소별 수준	120
<표 Ⅳ-20> 직업기초능력 분석 설문지	121
<표 Ⅳ-21> 직무기술, 작업일람표 양식	122
<표 Ⅳ-22> 핵심작업 양식	123
<표 Ⅳ-23> 교육훈련 적용 방법의 기준 	126
<표 Ⅳ-24> 교육훈련 적용 방법 설문지	126
<표 Ⅳ-25> 소요 장비 일람표 양식	127
<표 Ⅳ-26> 작업 명세서 양식	128
<표 Ⅳ-27> 작업 요소 작성에 쓰이는 동사의 예	129
<표 Ⅳ-28> 관련 지식 및 기술․기능 양식	130
<표 Ⅳ-29> 작업 지식 매트릭스 양식과 예시	132
<표 Ⅳ-30> 작업/기술․기능 매트릭스 양식과 예시	133
<표 Ⅳ-31> 작업/도구 매트릭스 양식	133
<표 Ⅳ-32> 작업/코스 매트릭스 양식	134
<표 Ⅳ-33> 코스 프로파일 양식	135
<표 Ⅳ-34> 교과목 프로파일 양식	137
<표 Ⅳ-35> 로드 맵 양식	138
<표 Ⅳ-36> 1차 시험 출제기준양식	139
<표 Ⅳ-37> 2차 시험출제 기준 양식	140
<표 Ⅳ-38> 국가기술자격의 등급별 검정기준	141
제2부  표  차  례
<표 Ⅰ- 1> 직업연구 대상 30직종과 2001년 직무분석 대상 10직종	153
<표 Ⅲ- 1> 직업적성설문지 분석결과	186
<표 Ⅲ- 2> 직업기초능력설문지 분석결과	188
제1부  그  림  차  례
[그림 Ⅰ-1] 직업교육훈련의 기본 구도	2
[그림 Ⅰ-2] 연구사업의 구성 및 절차	4
[그림 Ⅰ-3] 연구의 분석틀	10
[그림 Ⅱ-1] 직무분석 관련 용어 체계	31
[그림 Ⅳ-1] 직업교육훈련과정 개발을 위한 직무분석 개발절차	84
[그림 Ⅳ-2] 직무분석과 직업교육훈련과정 개발의 관계	91
[그림 Ⅳ-3] 직무모형 양식	96
[그림 Ⅳ-4] 교육훈련 우선 순위 결정 도구	124
[그림 Ⅴ-1] 모듈 구성의 예	147
[그림 Ⅴ-2] 웹 프로그래머 모듈 구성의 예	148
[그림 Ⅴ-3] 직업능력인증제 운영체계	149
제2부 그  림  차  례
[그림 Ⅰ- 1] 정보통신분야 유망직업 선정 절차	152
[그림 Ⅱ- 1] 정보시스템분석사의 직무 내용	156
[그림 Ⅱ- 2] 웹프로그래머의 직무 내용	158
[그림 Ⅱ- 3] CRM전문가의 직무 내용	160
[그림 Ⅱ- 4] 고객지원전문가의 직무 내용	163
[그림 Ⅱ- 5] 펌웨어엔지니어의 직무 내용	166
[그림 Ⅱ- 6] 이동통신망운용관리자의 직무 내용	168
[그림 Ⅱ- 7] 웹피디의 직무 내용	171
[그림 Ⅱ- 8] 시스템관리자의 직무 내용	175
[그림 Ⅱ- 9] 사이버교육운영자의 직무 내용	178
[그림 Ⅱ-10] 의료정보시스템관리사의 직무 내용	181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직업교육훈련과정 개발을 위한 직무분석(2001) 2001.02.01~2001.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