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산업의 직업변동
- 저자
- 한상근 서창교 이양구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01-35)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03.10.31
- 등록일
- 2003.10.31
요 약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1. 필요성 1 2. 목적 3 3. 연구 범위 3 제2절 연구 내용 5 1. 우리 나라 직업구조의 변화 5 2. 정보통신산업의 직업변동 분석 5 3. 유망직업의 추출 6 4. 정보통신산업 유망직업의 실태 6 제3절 관련 선행 연구에 대한 분석 6 1. 「유망직업」의 정의 6 제4절 직업전망 방법과 성과 10 1. 미국 노동통계국의 직업전망 10 2. 국내의 연구성과 12 3. 소결 26 제5절 연구 방법 27 1. 문헌 및 관련 자료 분석 27 2. 현지 출장 · 방문 조사 28 3. 델파이 조사 28 4. 정보통신산업의 현직자 심층 인터뷰 28 5. 구인광고 분석 29 6. 전문가 협의회 및 간담회 개최 29 제2장 정보통신산업의 직업변동 제1절 직업세계의 변동 31 1. 직업 개념의 변천 31 2. 직업변동의 요인 33 3. 산업화 시기의 직업변동 44 제2절 정보통신산업의 직업변동 52 1. 정보통신산업의 현황 52 2. 정보통신 분야 직업의 변화 추이 54 제3장 정보통신산업의 유망직업 선정 제1절 유망직업 선정 과정 85 1. 1단계: 정보통신산업의 직업 총정리 85 2. 2단계: 델파이 조사 89 3. 3단계: 유망직업의 검증(전문가 협의회와 현장 조사) 92 제2절 유망직업 30선의 확정 97 제3절 정보통신 관련 직업 종사자의 현황과 전망 100 1. 자료 100 2. 정보통신 관련 직업의 현황 101 3. 「산업연관표」를 사용한 연구 104 4. 표본조사를 통한 직업전망 107 5. 산업-직종 행렬을 이용한 직업전망 109 제4장 정보통신산업의 직업세계Ⅰ 제1절 조사 목적 115 제2절 조사 내용 및 방법 116 제3절 조사 결과 117 1. 직업 경력 117 2. 직업훈련 119 3. 자격증 122 4. 학력 및 경력 124 5. 근로 여건 125 6. 임금 127 7. 기타 130 제4절 입직 요건 131 1. 개요 131 2. 학력 요건 132 3. 경력 요건 134 4. 기타 140 제5절 소결 141 제5장 정보통신산업의 직업세계 Ⅱ 제1절 개요 145 1. 직업 개요 146 2. 수행 직무 146 3. 직업 경로 146 4. 자격 요건 147 5. 활동 분야 147 6. 임금 147 7. 유사 직업 및 관련 직업 148 제2절 직업별 분석 결과 148 1. 컴퓨터 및 정보시스템 관련직 148 2. 공학 관련 기술직 201 3. 교육 관련직 210 4. 문화 및 예술 관련직 215 5. 판매 관련직 225 제3절 소결-정책적 함의 228 제6장 요약 및 제언 제1절 요약 233 1. 개요 233 2. 선행 연구에 대한 분석 234 3. 정보통신산업의 직업변동 234 4. 델파이 조사를 통한 유망직업의 선정 235 5. 정보통신산업의 직업세계 분석 236 제2절 정책 제언 237 1. 장기과정의 직업훈련과정 수립 및 양성 237 2. ICT 분야 국가기술자격증의 쇄신 238 3. 진로지도 및 취업지도의 방향 238 4. 직업통계 작성 238 5. 전략 부문의 인재 양성 239 <부록 1> 델파이 조사 전문가 목록 243 <부록 2> 제1차 델파이 조사 설문지 247 <부록 3> 정보통신산업의 현직자 심층 인터뷰 설문지 253 참고문헌 271
정보통신산업의 직업변동을 연구하려는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보통신산업의 직업변동을 분석하려고 한다. 정보통신산업의 관련 기술 도입과 발전과정을 살펴보고, 이에 따라 정보통신산업의 직업들이 생성·분화되는 과정을 추적하려고 한다. 둘째, 정보통신산업의 유망직업을 선정하려고 한다. 이는 국가경제의 미래를 책임지고 있는 정보통신산업의 핵심적 필요인력을 밝히고, 그에 대한 준비를 하기 위한 것이다. 이는 성장가능성이 높고 임금도 높은 유망직업을 선별하여 국가의 인력정책, 교육훈련정책, 진로지도 및 직업상담 등의 기초자료로 구성하고자 한다. 셋째, 유망직업을 중심으로 정보통신산업의 직업세계 실태를 분석하려고 한다. 유망직업 현직자의 수행직무, 임금, 경력, 학력, 활동 분야, 직업간 관계, 관련 자격증 등을 조사하여 직업별 상세 정보를 수집하려고 한다. 특히, 정보통신 유망직업간의 상호관계와 직업 경로에 초점을 맞추어서 기존 직업정보의 미약한 부분을 보완하고자 한다.
<표 Ⅰ- 1> 주요 신생직업 및 쇠퇴직업(예시)․2 <표 Ⅰ- 2> 정보통신산업의 범위․4 <표 Ⅰ- 3> 유망직업의 조건․9 <표 Ⅰ- 4> 직업 성장률로 본 유망직종 20(1998~2008년)․13 <표 Ⅰ- 5> 질적 직업 전망 사례․14 <표 Ⅰ- 6> 양적 직업전망 사례와의 전망 범위․15 <표 Ⅰ- 7> 고용 증가가 예상되는 직업․18 <표 Ⅰ- 8> 세세분류별 인력 수요 증가직업․20 <표 Ⅰ- 9> 세세분류별 인력 수요 감소직업․21 <표 Ⅰ-10> 고용 창출이 유망한 정보통신 관련 직업․25 <표 Ⅱ- 1> 산업별 생산 비중의 변화․35 <표 Ⅱ- 2> 여성 경제활동 인구 및 참가율 변화 추이․38 <표 Ⅱ- 3> 우리 나라 산업별 취업자 구성의 변화 추이 및 전망․45 <표 Ⅱ- 4> 주요국의 제조업 부문의 고용 비중의 추이․45 <표 Ⅱ- 5> 우리 나라 경제정책의 변화․46 <표 Ⅱ- 6> 우리 나라 주력산업 발전 추이․47 <표 Ⅱ- 7> 직업구성의 변화(1955~1995년)․48 <표 Ⅱ- 8> 정보통신 산업의 부문별 사업체 수․53 <표 Ⅱ- 9> 정보통신산업의 부문별 종사자 수․53 <표 Ⅱ-10> 정보통신 산업의 부문별 매출액․54 <표 Ⅱ-11> 직업사전의 구성 비교․55 <표 Ⅱ-12> ’69년 직업사전의 반도체 및 부품 관련 직업․57 <표 Ⅱ-13> ’86년 직업사전의 반도체 및 부품 관련 직업․58 <표 Ⅱ-14> ’95년 직업사전의 반도체 및 부품 관련 직업․60 <표 Ⅱ-15> 반도체 및 부품 관련 직업의 변화 추이․61 <표 Ⅱ-16> ’69년 직업사전의 컴퓨터기기 관련 직업․63 <표 Ⅱ-17> ’86년 직업사전의 컴퓨터기기 관련 직업․63 <표 Ⅱ-18> ’95년 직업사전의 컴퓨터기기 관련 직업․64 <표 Ⅱ-19> 컴퓨터기기 관련 직업의 변화 추이․65 <표 Ⅱ-20> 연도별 소프트웨어 및 SI 분야 직업․68 <표 Ⅱ-21> 소프트웨어 및 SI 분야 직업 변화 추이․71 <표 Ⅱ-22> ’69년 직업사전의 네트워크․통신산업의 직업․75 <표 Ⅱ-23> ’86년 직업사전의 네트워크․통신산업의 직업․77 <표 Ⅱ-24> ’95년 직업사전의 네트워크․통신산업의 직업․78 <표 Ⅱ-25> 네트워크․통신산업 직업 변화추이․80 <표 Ⅱ-26> ’98, ’99 직업사전의 인터넷 및 ICT서비스 직업․81 <표 Ⅱ-27> 하드웨어산업 직업변동 요약․82 <표 Ⅱ-28> 소프트웨어 및 SI산업 직업변동 요약․83 <표 Ⅱ-29> 네트워크 및 통신산업 직업변동 요약․83 <표 Ⅱ-30> 인터넷 및 SI산업 직업변동 요약․83 <표 Ⅲ- 1> 델파이 조사 전문가 집단의 분포(1차 조사)․90 <표 Ⅲ- 2> 델파이 조사 응답자 분포․91 <표 Ⅲ- 3> 정보통신 분야 직업별 응답 현황․94 <표 Ⅲ- 4> 정보통신산업의 유망직업 30선․98 <표 Ⅲ- 5> 고용직업분류에 따른 정보통신 분야 유망직업 30선의 분류․100 <표 Ⅲ- 6> 정보통신 관련 (준)전문가의 고용자 수와 부족 인원․103 <표 Ⅲ- 7> 산업연관표상의 정보통신산업(1)․104 <표 Ⅲ- 8> 산업연관표상의 정보통신산업(2)․105 <표 Ⅲ- 9>지식정보산업의 직종’으로 선정된 정보통신관련 직업들․106 <표 Ⅲ-10> 성장 20대 직업(10인 이상 상용근로자 기준)․108 <표 Ⅲ-11> 정보통신 관련 직업의 고용 전망과 교육훈련 요건․109 <표 Ⅲ-12> 정보통신산업 종사자의 현황 및 전망․110 <표 Ⅲ-13> 정보통신 전문인력의 분야별, 학력별 수급차 전망 (공급-수요)․111 <표 Ⅲ-14> 정보통신관련 직업의 분류․113 <표 Ⅲ-15> 정보통신 직업종사자 전망․114 <표 Ⅳ- 1> 직업별 실태조사의 주요 질문 항목․117 <표 Ⅳ- 2> 직업별 필요 숙련기간․119 <표 Ⅳ- 3> 직업훈련 여부․120 <표 Ⅳ- 4> 희망훈련과정․121 <표 Ⅳ- 5> 채용 및 보수에 유리한 자격증․123 <표 Ⅳ- 6> 취득한 자격증 중 불필요한 자격증․123 <표 Ⅳ- 7> 설문지 응답자의 총 ICT 경력․125 <표 Ⅳ- 8> 주간 근로일수 및 근로시간․126 <표 Ⅳ- 9> 노동조합 및 노사협의회 현황․126 <표 Ⅳ-10> 설문지 응답자의 연봉과 초임자의 연봉․128 <표 Ⅳ-11> 설문지 응답자의 직업별 평균 연봉․128 <표 Ⅳ-12> ICT 직업의 초임․129 <표 Ⅳ-13> ICT직업에 요구되는 자질․130 <표 Ⅳ-14> 생산 방식 유형별 요구되는 노동자의 자질․131 <표 Ⅳ-15> ICT취업자의 학력 요건 및 전공학과․132 <표 Ⅳ-16> 취업시 요구되는 학력․133 <표 Ⅳ-17> ICT취업자의 경력사항․135 <표 Ⅳ-18> 취업시 요구되는 직업별 신입/경력 요건․136 <표 Ⅳ-19> 취업시 요구되는 직업별 평균 경력연수․137 <표 Ⅳ-20> 취업시 요구되는 외국어 능력․138 <표 Ⅳ-21> 취업시 요구되는 직업별 외국어 능력․139 <표 Ⅳ-22> 성별에 따른 제한 직업․141 <표 Ⅳ-23> 직업별 자격 요건과 필요 숙련기간․143 [그림 Ⅰ- 1] BLS 장기 고용 예측 흐름도․11 [그림 Ⅰ- 2]한국직업전망서의 고용 전망과정․17 [그림 Ⅰ- 3] 신산업 유망직종 선정 절차․23 [그림 Ⅰ- 4] 연구내용에 따른 연구 방법․27 [그림 Ⅰ- 5] 유망직업의 선정 방법(개요)․28 [그림 Ⅱ- 1] 직업구성의 변화, 1955~1995년․48 [그림 Ⅱ- 2] 반도체 부품의 발전 역사․56 [그림 Ⅱ- 3] 컴퓨터 기술의 발전 역사․62 [그림 Ⅱ- 4] 네트워크 기술 발전 역사․72 [그림 Ⅲ- 1] 유망직업 선정 방법론․87 [그림 Ⅲ- 2] 유망직업 후보의 압축과정․92 [그림 Ⅴ- 1] 데이터베이스 관리자의 직업 경로․149 [그림 Ⅴ- 2] 정보시스템 분석사의 직업 경로․152 [그림 Ⅴ- 3] 정보보호 관리자의 직업 경로․156 [그림 Ⅴ- 4] 무선S/W 개발전문가의 직업 경로․159 [그림 Ⅴ- 5] 네트워크 설계전문가의 직업 경로․162 [그림 Ⅴ- 6] 게임프로그래머의 직업 경로․165 [그림 Ⅴ- 7] XML 전문가의 직업 경로․168 [그림 Ⅴ- 8] 네트워크 프로그래머의 직업 경로․170 [그림 Ⅴ- 9] 웹 프로그래머의 직업 경로․173 [그림 Ⅴ-10] CRM 전문가의 직업 경로․175 [그림 Ⅴ-11] 전자상거래 전문가의 직업 경로․178 [그림 Ⅴ-12] 고객지원 전문가의 직업 경로․180 [그림 Ⅴ-13] 컴퓨터백신 전문가의 직업 경로․183 [그림 Ⅴ-14] 펌웨어 프로그래머의 직업 경로․185 [그림 Ⅴ-15] 웹 마스터의 직업 경로․187 [그림 Ⅴ-16] 네트워크 운영자의 직업 경로․191 [그림 Ⅴ-17] 의료정보시스템 관리사의 직업 경로․194 [그림 Ⅴ-18] 시스템 관리자의 직업 경로․196 [그림 Ⅴ-19] IT프로젝트 매니저의 직업 경로․199 [그림 Ⅴ-20] 광통신 엔지니어의 직업 경로․202 [그림 Ⅴ-21] 주문형반도체 설계원의 직업 경로․204 [그림 Ⅴ-22] 이동통신망 운용관리자의 직업 경로․207 [그림 Ⅴ-23] RF 엔지니어의 직업 경로․209 [그림 Ⅴ-24] IT교육강사의 직업 경로․211 [그림 Ⅴ-25] 사이버교육 운영자의 직업 경로․214 [그림 Ⅴ-26] 그래픽 디자이너의 직업 경로․216 [그림 Ⅴ-27] 웹 PD의 직업 경로․219 [그림 Ⅴ-28] 웹 디자이너의 직업 경로․221 [그림 Ⅴ-29] 인터넷 방송기획자의 직업 경로․223 [그림 Ⅴ-30] IT기술영업원의 직업 경로․227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직업 변동에 관한 연구(Ⅰ) - 정보통신산업을 중심으로 - | 2001.02.01~2001.12.31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