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직업능력개발훈련기준 체제 개선 방안

Measures for improvement of a system for vocational training standards
저자
주인중 박윤희
분류정보
기본연구(2001-37)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01.12.30
등록일
2001.12.30
연구 요약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내용 및 방법 3
Ⅱ. 직업능력개발훈련기준의 의의 및 체제 9
    1. 직업능력개발훈련의 의의 9
    2. 직업능력개발훈련기준의 의의 15
    3. 직업능력개발훈련기준 교과과정 개발 20
    4. 직업능력개발훈련기준의 변천 32
    5. 현행 직업능력개발훈련기준 체제 및 현황 50
    6. 직업능력개발훈련기준 환경의 변화 63
Ⅲ. 외국의 직업능력개발훈련기준 체제 분석 69
    1. 독일의 직업훈련기준 69
    2. 영국의 직업훈련기준 85
    3. 호주의 직업훈련기준 93
    4. 일본의 직업훈련기준 106
    5. 각국의 주요 특징 비교 및 시사점 종합 117
Ⅳ. 직업능력개발훈련기준 체제 개선에 대한 요구 분석 121
    1. 직업능력개발훈련기준 체제에 대한 요구 분석 121
    2. 직업능력개발훈련기준 체제 개선에 대한 시사점 147
Ⅴ. 직업능력개발훈련기준 체제의 개선 방안 159
    1. 직업능력개발훈련기준 체제의 개선 방향 159
    2. 직업능력개발훈련기준 체제의 개선 방안 161
참 고 문 헌 181
ABSTRACT 185
부       록 193
  본 연구의 목적은 훈련기준 체제를 체계적으로 진단·분석함으로써 훈련 기준 개발 절차 및 구성 체제상의 개선점을 도출하고 합리적인 운용 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훈련기준의 개발 절차와 구성체제 및 훈련기관에서 훈련기준 운용상의 문제점을 조사한다.
  둘째, 외국의 훈련기준 체제 고찰을 통하여 우리 나라 훈련기준 체제에 시사하는 바를 파악한다.
  셋째, 훈련기관 등 훈련기준 수요자의 훈련기준 체제 개선에 대한 요구를 조사하고 이의 타당성 여부를 분석한다.
  넷째, 합리적인 훈련기준의 체제 정비를 위해서 개선되어야 할 사항들과 그 운용 방안을 모색한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extract matters for improvement with regard to the procedures for the development of training standards as well as their components system, and thus to suggest the ways of reasonable operation of the system for vocational training standards by systematically diagnose and analyze the system. 
  To achieve the objectives, 1) a review has been made in this research as to the meanings and system for vocational training standards, such as meanings and curricula development of vocational training standards, evolution of vocational training standards, current system and status of vocational training standards, and the changes in the environment surrounding vocational training standards, 2) to analyze the development system and components system of the vocational training standards in some foreign countries to find implications for us, 3) to conduct a survey on the requirements as to how to improve the system for the vocational training standards to analyze opinions of the persons in the relevant areas as to the ways and procedures for development of vocational training standards, components system, and its operation, 4) to set up a basic principles as for the improvement of the system for vocational training standards, and to review whether vocational training standards are really needed so as to suggest the improvements of the system for its application, composition and developmen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hrough the analysis of literatures and materials, interviews, questionnaires, meetings and collection of materials through an overseas trip, consultations with experts and appointment of advisers.
...
<표 Ⅰ- 1> 설문조사의 표집 대상과 유효 표본	5
<표 Ⅰ- 2> 설문지 영역별 주요 설문 내용 	6
<표 Ⅱ- 1> 훈련과 교육의 강조점	12
<표 Ⅱ- 2> 기준 훈련과 기준 외 훈련	15
<표 Ⅱ- 3> 기능사 훈련기준 분류	35
<표 Ⅱ- 4> 교사 훈련기준 분류	35
<표 Ⅱ- 5> 기능사 기초훈련기준 현황 	36
<표 Ⅱ- 6> 기능사 기초훈련의 훈련기간별 훈련직종 수	37
<표 Ⅱ- 7> 훈련기간별 기초훈련기준 직종 수	39
<표 Ⅱ- 8> 직업훈련의 종류	41
<표 Ⅱ- 9> 훈련기준 직종 수 	42
<표 Ⅱ-10> 직업훈련사업과 직업능력개발사업의 비교	45
<표 Ⅱ-11> 직업훈련 과정별 훈련기간 및 훈련기준 적용	46
<표 Ⅱ-12> 직업훈련기준 구성체제 변화 내용	48
<표 Ⅱ-13> 직업훈련기본법과 근로자직업훈련촉진법의 비교	50
<표 Ⅱ-14> 직업훈련의 종류	52
<표 Ⅱ-15> 훈련과정별․훈련기관별 훈련인원(1999)	54
<표 Ⅱ-16> 실업대책훈련별 훈련 목적 및 대상자  	55
<표 Ⅱ-17> 연도별 직업훈련사업 현황	56
<표 Ⅱ-18> 직업훈련 참가자의 특성(2000)	57
<표 Ⅱ-19> 훈련기준 개발 절차 	62
<표 Ⅱ-20> 연도별 직업훈련기준 개발 현황	63
<표 Ⅱ-21> 훈련기준 개발 직종 현황 	63
<표 Ⅱ-22> 미래의 직업세계가 요구하는 노동력의 자질	66
<표 Ⅱ-23> 직업환경 변화에 따른 직무의 변화 양상 	68
<표 Ⅲ- 1> 직업학교 교과과정과 양성훈련 직종 규정의 차이점	72
<표 Ⅲ- 2> 훈련직종규정 제․개정관련 이해 집단 및 추구하는 목표	78
<표 Ⅲ- 3> 엔지니어링 NTO의 훈련기준 단위 구성	92
<표 Ⅲ- 4> 가스 산업 NTO의 훈련기준 단위 구성	92
<표 Ⅲ- 5> 호주 국가 산업훈련자문기구	96
<표 Ⅲ- 6> 인정 기구(Recognised Bodies)	98
<표 Ⅲ- 7> 호주 직업훈련기준인 NCS의 구성 요소	101
<표 Ⅲ- 8> 일본 직업훈련과정의 유형	109
<표 Ⅲ- 9> 일본 직업훈련과정의 내용	110
<표 Ⅲ-10> 일본 직업훈련기준 직종체계 예	114
<표 Ⅲ-11> 주요국의 직업훈련기준 운영 특징	118
<표 Ⅳ- 1> 응답자의 훈련기관 근무 연수	121
<표 Ⅳ- 2> 응답자의 소속 훈련직종 	123
<표 Ⅳ- 3> 훈련기관별 기준․기준 외 훈련 실시 직종 수	124
<표 Ⅳ- 4> 훈련과정별 기준․기준 외 훈련 실시 직종 수 	125
<표 Ⅳ- 5> 기준․기준 외 훈련실시 직종 	126
<표 Ⅳ- 6> 훈련기준의 직업훈련 가이드 역할 정도	127
<표 Ⅳ- 7> 표준적 지침으로서 훈련기준에 대한 의견	128
<표 Ⅳ- 8> 전공교과 훈련내용 산업사회 기술변화 반영 정도	129
<표 Ⅳ- 9> 훈련과정별 훈련기준의 적용	130
<표 Ⅳ-10> 훈련기관별 훈련기준의 적용	131
<표 Ⅳ-11> 정보기술 관련 훈련기준의 설정	132
<표 Ⅳ-12> 훈련기관별 훈련기준 개선 필요성 인식	133
<표 Ⅳ-13> 훈련기준 구성내용 중 불필요하거나 생략 가능한 사항	134
<표 Ⅳ-14> 산업별 이론 대 실습 비율에 대한 의견	135
<표 Ⅳ-15> 이론비율 범위 	136
<표 Ⅳ-16> 공통교과의 개선 의견 	137
<표 Ⅳ-17> 전공교과 훈련내용 개선 의견	138
<표 Ⅳ-18> 훈련시간 제시 개선 의견	139
<표 Ⅳ-19> 자율편성 시간 개선 의견	140
<표 Ⅳ-20> 주 장비 제시 개선 의견	141
<표 Ⅳ-21> 훈련시설기준면적의 개선 의견	142
<표 Ⅳ-22> 평가사항 개선 의견	143
<표 Ⅳ-23> 훈련기준 개정 주기에 대한 의견	144
<표 Ⅳ-24> 개정주기를 짧게 해야 할 훈련분야 	145
<표 Ⅳ-25> 훈련기준 개정주기에 대한 의견 	145
<표 Ⅳ-26> 훈련기준 개발 방법	146
<표 Ⅳ-27> 기계가공분야 훈련기준 직종과 국가기술자격 종목 비교	154
<표 Ⅳ-28> 훈련기준과 국가기술자격 출제기준 비교 	155
<표 Ⅴ- 1> 기계절삭가공분야의 훈련직종 분류체계 예시	162
<표 Ⅴ- 2> 기계절삭가공분야의 훈련직종별 고용가능기능단위 예시	166
[그림 Ⅱ- 1] 직업능력개발훈련기준의 기능	20
[그림 Ⅱ- 2] 계획된, 전개된, 실현된 교육과정 개념 간의 관계	21
[그림 Ⅱ- 3] 직업훈련기준의 전개 모형	22
[그림 Ⅱ- 4] 훈련목표를 수립하는 단계의 각 요인에 관한 상관성	26
[그림 Ⅱ- 5] 교과과정 개발을 위한 체제적 접근	30
[그림 Ⅱ- 6] 작업단위를 조합한 고용가능기능단위의 예 	60
[그림 Ⅲ- 1] 기계계열 직업훈련 직종 구조	75
[그림 Ⅲ- 2] 직업훈련기준과 직업학교 교과과정의 조정절차	79
[그림 Ⅲ- 3] 국가직무능력표준(NOS)의 구성 체제	91
[그림 Ⅲ- 4] 훈련과정안(Training Packages)의 구성 요소들	94
[그림 Ⅲ- 5] NCS의 구성 예시	102
[그림 Ⅴ- 1] 기계절삭가공 분야의 훈련 Road Map 	163
[그림 Ⅴ- 2] 기계가공분야의 교과구성(안) 	166
[그림 Ⅴ- 3] 직종별 훈련기준개발 모형	178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직업능력개발 훈련기준 체제 개선 방안 2001.02.01~2001.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