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적자원개발을 위한 웹기반 교육훈련 발전 방안
A Scheme to Promote Web-Based Education and Training for Human Resource Development
- 저자
- 이수경 박윤희 김영순 이인숙 변숙영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01-39)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01.12.31
- 등록일
- 2001.12.31
연구요약 I.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의 방법 4 3. 연구의 범위 9 II. 이론적 배경 11 1. 인적자원개발의 개념 및 특성 11 2. 인적자원개발과 웹기반 교육훈련 17 3. 웹기반 교육훈련의 개념 및 특성 21 Ⅲ. 웹기반 교육훈련 인프라 수준 35 1. 정책 및 제도 인프라 35 2. 하드웨어 인프라 50 IV. 국내 웹기반 교육훈련 운영 실태 61 1. 원격대학 61 2. 기업체 81 3. 시사점 94 V. 외국 웹기반 교육훈련 운영 사례 99 1. 개 관 99 2. 주요 국가 사례 103 3. 각국의 주요 특징 비교 및 시사점 141 VI. 웹기반 교육훈련 인식 및 요구 149 1. 일반인의 웹기반 교육훈련 인식 수준 149 2. 수강자 요구 167 VII. 웹기반 교육훈련 발전 방안 193 1. 요 약 193 2. 발전 방안 195 참 고 문 헌 213 ABSTRACT 223 부 록 231 【 부록 1 】233 【 부록 2 】235 【 부록 3 】239
본 연구는 평생교육 측면에서 국내 웹기반 교육훈련의 두 축인 교육인적자원부의 원격대학과 노동부의 인터넷 통신훈련을 중심으로 수행하였다. 연구 목적을 보다 구체적으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 나라 웹기반 교육훈련의 인프라 수준을 진단하고 문제점을 파악한다. 둘째, 우리 나라 웹기반 교육훈련 운영 실태를 진단하고 문제점을 파악한다. 셋째, 외국의 웹기반 교육훈련 사례를 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한다. 넷째, 웹기반 교육훈련 참여자와 일반인의 인식 정도와 요구를 파악한다. 다섯째, 웹기반 직업교육훈련의 내실화를 위한 종합적 발전 방향을 제시한다.
This study intends to diagnose the operating status and problems of web-based education and training in Korea and identify the needs of those engaged in it. In so doing, methods for its quality improvement through rational and comprehensive development are sought. Described below are the methodologies used in this study. First, through relevant materials and documents, this study analyzed current policies and systems regarding web-based education and training, and identified hardware infrastructure and education and training institution operation status. Second, to analyze web-based education and training institution operating status, this study examined nine distance learning colleges and 60 web-based education and training institutions. Third, to identify Korean adult awareness of web-based education and training institutions, this study phone-surveyed 1,005 respondents and analyzed the needs of 2,261 web-based education and training learners. Fourth, sessions of experts and others working in this area were convened to identify the current state and problems of web-based education and training overall. Fifth, seminars with government agencies, related institutions, education and training institutions and industrial figures were conducted to collect opinions of those actively operating in this area on ways to improve web-based education and training quality. ...
<표 Ⅰ-1> 웹기반 교육훈련 현황 조사 분석틀 7 <표 Ⅰ-2> 일반인 및 학습자 설문 조사 분석틀 8 <표 Ⅱ-1> 학문분야별 HRD 관련 유사용어 비교 12 <표 Ⅱ-2> 시대적 흐름에 따른 HRD의 특성 15 <표 Ⅱ-3> 인적자원개발의 대상 및 목표 16 <표 Ⅱ-4> 인적자원개발의 영역 17 <표 Ⅱ-5> 국가인적자원개발 패러다임의 전환 19 <표 Ⅱ-6> 인적자원개발 정책의 변화 방향 20 <표 Ⅱ-7> 웹기반 교육훈련과 집체 교육훈련의 비용 비교 30 <표 Ⅲ-1> 원격대학 시범/실험 운영 기관 현황 38 <표 Ⅲ-2> 국내 인터넷 인프라 수준 51 <표 Ⅲ-3> 계층별 인터넷 이용률 현황 56 <표 Ⅳ-1> 원격대학 현황 63 <표 Ⅳ-2> 원격대학의 학생 선발 기준 및 등록금 70 <표 Ⅳ-3> 원격대학 신입생의 연령별, 학력별, 직업별 분포 현황 72 <표 Ⅳ-4> 교수 및 교원 연수 현황 74 <표 Ⅳ-5> 수업 운영 현황 77 <표 Ⅳ-6> 원격대학의 학기 운영 현황 78 <표 Ⅳ-7> 웹기반 교육훈련 기관 현황 81 <표 Ⅳ-8> 기관 소재지 분포 82 <표 Ⅳ-9> 기관 규모 82 <표 Ⅳ-10> 12개 기관의 정부 부처 사업 현황 83 <표 Ⅳ-11> 과정 운영 수 84 <표 Ⅳ-12> 과정 개설 분야 84 <표 Ⅳ-13> 최다 개설 과정 순위 85 <표 Ⅳ-14> 학습 수준별 과정 개설 현황 86 <표 Ⅳ-15> 교육인원 일반 현황 86 <표 Ⅳ-16> 교수자 현황 87 <표 Ⅳ-17> 교수자 1인당 학생 수 현황 87 <표 Ⅳ-18> 평균 수료율 현황 88 <표 Ⅳ-19> 수료기준 점수 현황 88 <표 Ⅳ-20> 학습자 평가 도구 활용 현황 89 <표 Ⅳ-21> 컨텐츠 개발 실태 91 <표 Ⅳ-22> 과정 개발 유형 91 <표 Ⅳ-23> 과정별 시뮬레이션 및 게임 유무 92 <표 Ⅳ-24> 하드웨어 및 시스템 현황 93 <표 Ⅳ-25> 홍보 방법 93 <표 Ⅴ-1> 미국 e-Learning 기업교육 시장 규모 101 <표 Ⅴ-2> 미국 주요 B2B 웹기반 교육훈련 기업간 비교 105 <표 Ⅴ-3> 스마트링크의 사업 영역 132 <표 Ⅴ-4> 각국의 원격대학 현황 141 <표 Ⅴ-5> 각국의 기업사례 현황 144 <표 Ⅵ-1>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 150 <표 Ⅵ-2> 웹기반 교육훈련에 대한 인지도 151 <표 Ⅵ-3> 웹기반 교육훈련에 대한 인지도(학력별) 152 <표 Ⅵ-4> 원격대학을 통한 학위 취득에 대한 인지도 153 <표 Ⅵ-5> 원격대학을 통한 학위 취득에 대한 인지도(직업별, 학력별) 154 <표 Ⅵ-6> 직장인 웹기반 교육훈련 지원 제도에 대한 인지도 155 <표 Ⅵ-7> 직장인 웹기반 교육훈련 지원 제도에 대한 인지도(학력별) 156 <표 Ⅵ-8> 웹기반 교육훈련과 집체 교육훈련의 교육 효과성 비교 157 <표 Ⅵ-9> 웹기반 교육훈련과 집체 교육훈련의 수강료 비교 158 <표 Ⅵ-10> 원격대학과 일반대학 졸업자 대우 비교 159 <표 Ⅵ-11> 원격대학과 일반대학 졸업자 대우 비교(직업별, 학력별) 160 <표 Ⅵ-12> 향후 웹기반 교육훈련 참여 의향 161 <표 Ⅵ-13> 웹기반 교육훈련 참여 동기 162 <표 Ⅵ-14> 웹기반 교육훈련에 참여하지 않는 이유 163 <표 Ⅵ-15> 웹기반 교육훈련 과정 개설 요구 164 <표 Ⅵ-16> 웹기반 교육훈련 과정 개설 요구(성별, 연령별, 직업별, 학력별) 165 <표 Ⅵ-17> 향후 전망 166 <표 Ⅵ-18>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 169 <표 Ⅵ-19> 학습 장소 170 <표 Ⅵ-21> 수강 목적 173 <표 Ⅵ-22> 수강 목적(직종별) 174 <표 Ⅵ-23> 수강 동기 175 <표 Ⅵ-24> 수강 동기(성별, 직종별) 176 <표 Ⅵ-25> 웹기반 교육훈련 수강 과정 수 177 <표 Ⅵ-26> 수강 과정 수(성별, 연령별, 직종별, 기관규모별) 178 <표 Ⅵ-27> 웹기반 교육훈련 과정에 대한 전반적 만족도 179 <표 Ⅵ-28> 웹기반 교육훈련 과정 수강상의 문제점 180 <표 Ⅵ-29> 웹기반 교육훈련 과정 수강상의 문제점(성별, 연령별, 직종별, 기관 규모별) 182 <표 Ⅵ-30> 웹기반 교육훈련 과정의 향후 수강 의향 183 <표 Ⅵ-31> 웹기반 교육훈련 과정 개설 요구 184 <표 Ⅵ-32> 수강 결과 활용 방법 185 <표 Ⅵ-33> 수강 결과 활용 방법(기관 규모별) 186 <표 Ⅵ-34> 홍보(정보 습득 경로) 187 <표 Ⅵ-35> 웹기반 교육훈련과 집체 교육훈련의 교육 효과성 비교 188 <표 Ⅵ-36> 웹기반 교육훈련과 집체 교육훈련의 수강료 비교 190 [그림 Ⅰ-1] 연구 추진 절차 5 [그림 Ⅱ-1] 웹기반 교육훈련과 집체 교육훈련의 비용 비교 31 [그림 Ⅲ-1] 설치인가 절차 40 [그림 Ⅲ-2] 연도별 국내 인터넷 이용자 실태조사 53 [그림 Ⅴ-1] 웹기반 교육훈련에서 Soft Skill과 IT 분야 성장률 101 [그림 Ⅵ-1] 웹기반 교육훈련에 대한 인지도 152 [그림 Ⅵ-2] 원격대학을 통한 학위 취득에 대한 인지도 153 [그림 Ⅵ-3] 직장인 웹기반 교육훈련 지원 제도에 대한 인지도 155 [그림 Ⅵ-4] 웹기반 교육훈련과 집체 교육훈련의 교육 효과성 비교 157 [그림 Ⅵ-5] 웹기반 교육훈련과 집체 교육훈련의 수강료 비교 158 [그림 Ⅵ-6] 원격대학과 일반대학 졸업자 대우 비교 159 [그림 Ⅵ-7] 향후 웹기반 교육훈련 참여 의향 161 [그림 Ⅵ-8] 웹기반 교육훈련 참여 동기 162 [그림 Ⅵ-9] 웹기반 교육훈련에 참여하지 않는 이유 163 [그림 Ⅵ-10] 웹기반 교육훈련 과정 개설 요구 164 [그림 Ⅵ-11] 향후 전망 166 [그림 Ⅵ-12] 학습 장소 171 [그림 Ⅵ-13] 수강 목적 173 [그림 Ⅵ-14] 수강 동기 175 [그림 Ⅵ-15] 웹기반 교육훈련 수강 과정 수 177 [그림 Ⅵ-16] 웹기반 교육훈련 과정에 대한 전반적 만족도 179 [그림 Ⅵ-17] 웹기반 교육훈련 과정 수강상의 문제점 181 [그림 Ⅵ-18] 웹기반 교육훈련 과정의 향후 수강 의향 183 [그림 Ⅵ-19] 웹기반 교육훈련 과정 개설 요구 184 [그림 Ⅵ-20] 홍보(정보 습득 경로) 187 [그림 Ⅵ-21] 웹기반 교육훈련과 집체 교육훈련의 교육 효과성 비교 189 [그림 Ⅵ-22] 웹기반 교육훈련과 집체 교육훈련의 수강료 비교 190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인적자원개발을 위한 웹기반 교육훈련 발전 방안 | 2001.02.01~2001.12.31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