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능력중심 교육과정 개발 연구

A Study on Competency Based Curriculum Development for Vocational High School and Junior College in Korea
저자
이종성 정향진
분류정보
기본연구(2001-40)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01.12.31
등록일
2001.12.31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내용 및 범위 3
  3. 연구 방법 4
Ⅱ. 능력중심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이론적 고찰 7
  1. 직업교육과정의 고찰 7
  2. 능력중심 교육과정의 고찰 30
Ⅲ. 외국의 능력중심 교육과정 분석 57
  1. 미국의 능력중심 교육과정 57
  2. 영국의 능력중심 교육과정 82
  3. 호주의 능력중심 교육과정 94
  4. 시사점 110
Ⅳ. 능력중심 교육과정의 모형 개발 113
  1. 능력중심 교육과정 개발의 전제와 모형 113
  2. 능력중심 교육과정 개발 절차와 방법 115
Ⅴ. 능력중심 교육과정의 실제 126
  1. 광고디자인 직종의 능력중심 교육과정 126
  2. 실내디자인 직종의 능력중심 교육과정 207
Ⅵ. 능력중심 교육과정의 적용 방안 252
  1. 직업기초능력의 적용 252
  2. 능력중심 교육과정의 적용 253
참고 문헌 256
ABSTRACT 261
  본 연구는 실업계 고등학교와 전문대학 교육에 적용할 수 있는 능력중심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활용할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하기 위하여 능력중심 교육과정의 모형, 이에 대한 개발 절차와 방법, 예시적인 교육과정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구체적으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능력중심 교육과정의 개념과 구성 요소, 교육과정의 개발 모형, 교육과정의 개발 방법 및 절차를 고찰한다.
  둘째, 외국의 능력중심 교육과정을 분석한다.
  셋째, 능력중심 교육과정의 모형을 구안하고, 이에 대한 개발 절차 및 방법을 제시한다.
  넷째, 실업계 고등학교와 전문대학에 적용할 수 있는 광고디자인 및 실내 디자인 직종의 능력중심 교육과정을 개발한다.
  다섯째, 실업계 고등학교와 전문대학의 능력중심 교육과정 운영 방안을 제시한다.
 In the past, korean vocational education for simple and multi-skilled workers focused on skills mastering. By 2000, the focus shifted to competency based education “what to do, how to do” issues.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review the concept of competency based curriculum and examples from institutions abroad that confirm its relevance, to establish related curriculum models and strategies, and to develop the competency based curriculum for vocational high schools and junior colleges through proper procedures and methods.
 This study analyzed domestic and foreign material, including Job Analyese of Advertisement and Interior Designer conducted by KRIVET in 1998, Graphic Communications among the Occupational Competency Analysis Profile developed by Ohio State University's Center on Education and Training for Employment, Art and Design occupation sector study from the General National Vocational Qualifications of UK, and data from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 of Australia.
 Curriculum contents were created by advertisement and interior designers according to development procedures and methods established by the workshop activity. The first draft was reviewed by a committee of professionals and examined in two vocational high schools and junior colleges. The results were referred to for feedback.
...
<표 Ⅰ-1> 연구방향 설정을 위한 전문가 협의회 명단	6
<표 Ⅰ-2> 교육과정 개발 및 시안 검토를 위한 워크숍 참가자 명단	6
<표 Ⅱ-1> 직무의 변화	35
<표 Ⅱ-2> 일반 지식의 4분야	36
<표 Ⅱ-3> 능력중심 교육과정에 사용되는 용어	46
<표 Ⅲ-1> SCANS가 제시한 8가지의 직업기초능력	59
<표 Ⅲ-2> New York주의 직업기초능력	60
<표 Ⅲ-3> SCANS 직업기초능력의 수준 예	62
<표 Ⅲ-4> 제조업에 요구되는 SCANS의 직무 현장 능력의 수준	63
<표 Ⅲ-5> New York 직업기초능력 수준별 차이	64
<표 Ⅲ-6> New York 대인관계능력의 수준	64
<표 Ⅲ-7> 영국의 직업기초능력별 개념 	84
<표 Ⅲ-8> 직업기초능력별 수준 구분 	85
<표 Ⅲ-9> GNVQs가 개설되어 있는 직업분야 	89
<표 Ⅲ-10> 예술과 디자인 분야의 GNVQs 초급, 중급 과정의 단위 및 평가 유형 	90
<표 Ⅲ-11> 예술과 디자인 분야의 GNVQs 고급 과정의 단위와 평가 유형	91
<표 Ⅲ-12> 예술과 디자인 분야 GNVQs 고급 과정의 이수 규정	91
<표 Ⅲ-13> 예술과 디자인 분야의 세부 직업 분야별 권장되는 선택 단위	92
<표 Ⅲ-14> 예술과 디자인 분야의 GNVQs 중급 과정에 직업기초능력의 연계 현황	93
<표 Ⅲ-15> Mayer 위원회의 직업기초능력	98
<표 Ⅲ-16> Mayer 위윈회의 직업기초능력 수준	99
<표 Ⅲ-17> 정보의 수집, 분석 및 조직 능력의 하위 수준	99
<표 Ⅲ-18> 아이디어와 정보의 의사교환 능력의 하위 수준	100
<표 Ⅲ-19> 직무활동의 기획 및 조직능력의 하위 수준	100
<표 Ⅲ-20> 팀 내에서 타인과 조화롭게 일할 수 있는 능력의 하위 수준	101
<표 Ⅲ-21> 수리적인 아이디어와 기법을 활용할 수 있는 능력	101
<표 Ⅲ-22> 문제해결 능력의 하위 수준	102
<표 Ⅲ-23> 기술공학 활용 능력의 하위 수준	102
<표 Ⅲ-24> 호주자격체계 	103
<표 Ⅲ-25> 훈련과정이 개설되어 있는 분야	105
<표 Ⅲ-26> 미국, 영국, 호주의 직업기초능력의 비교	111
<표 Ⅳ-1> 능력중심 교육과정의 개발절차와 방법	116
<표 Ⅳ-2> 내․외적 환경 요소	117
<표 Ⅳ-3> 능력 추출 양식	118
<표 Ⅳ-4> 능력별 지식․기능․태도의 양식 	120
<표 Ⅳ-5> 학습 영역 및 모듈의 추출	122
<표 Ⅳ-6> 모듈 체계의 구성 양식	122
<표 Ⅳ-7> 모듈 프로파일	124
<표 Ⅵ-1> 모듈에 포함된 직업기초능력	252
[그림 Ⅱ-1] 직업교육과정의 요소 연계	19
[그림 Ⅱ-2] Kaufman과 English의 교육과정 개발 모형	22
[그림 Ⅱ-3] Kenneke의 교육과정 개발 모형	23
[그림 Ⅱ-4] 이무근의 교육과정 개발 모형	25
[그림 Ⅱ-5] Norton의 SCID 교육과정 개발 모형	27
[그림 Ⅱ-6] Front-End Analysis의 모형	29
[그림 Ⅱ-7] 능력중심 교육과정의 철학	33
[그림 Ⅱ-8] 능력과 지식, 기능, 가치와의 관계  	46
[그림 Ⅱ-9] 능력중심 교육과정 개발 방법 및 절차	47
[그림 Ⅱ-10] 능력중심 교육과정 수립 절차	49
[그림 Ⅱ-11] 유관관계 도표작성법	50
[그림 Ⅱ-12] 중대사건 면담법	51
[그림 Ⅱ-13] 모듈의 구성요소 및 구성	54
[그림 Ⅱ-14] 국제노동기구의 모듈 학습 구조	55
[그림 Ⅱ-15] 영국의 모듈 학습 모형	55
[그림 Ⅱ-16] 미국 교사양성을 위한 모듈(PBTE)	56
[그림 Ⅲ-1] 영국의 국가자격체계	88
[그림 Ⅲ-2] 국가직업능력표준 개발절차 	104
[그림 Ⅲ-3] 국가직업능력표준의 구성	107
[그림 Ⅳ-1] 능력중심 교육과정 개발 모형	115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능력중심 교육과정 개발 연구 2001.02.01~2001.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