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전문대학 계속교육 기능 강화 방안 연구

Plans for Strengthening the Functions of Junior College Continuing Education
저자
박태준 오은진
분류정보
기본연구(2001-41)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01.12.31
등록일
2001.12.31
연구 요약
Ⅰ .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내용 4
  3. 연구 방법 7
Ⅱ . 전문대학 계속교육의 이론적 배경 11
  1. 계속교육의 개념 11
  2. 전문대학 계속교육의 필요성 21
  3. 전문대학 계속교육의 형태 32
  4. 선행 연구 분석 49
Ⅲ . 주요 국가의 전문대학 계속교육 57
  1. 미국의 지역사회대학(Community College) 57
  2. 영국의 계속교육대학(Further Education College) 68
  3. 호주 기술전문대학(TAFE) 77
  4. 독일 전문기술대학(F achhochschule) 85
  5. 국가 간 특징 비교와 시사점 91
Ⅳ . 전문대학 계속교육의 실태분석 및 시사점 97
  1. 조사개요 97
  2. 계속교육에 대한 인식 99
  3. 계속교육의 실태와 문제점 107
  4. 계속교육 강화 방향과 전략 127
  5. 계속교육 강화 전략의 실현가능성에 대한 인식 138
  6. 시사점 144
V . 전문대학 계속교육 기능 강화 방안 151
  1. 전문대학 계속교육에 대한 종합적 논의 152
  2. 전문대학 계속교육 기능 강화방안 156
참 고 문 헌 171
ABSTRACT 185
부록 189
  본 연구는 전문대학이 졸업생과 성인을 위한 계속교육을 효과적으로 실시 할 수 있는 강화 방안을 모색해 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서 우선, 전문대학의 계속교육에 대한 의미를 파악하고, 둘째, 현재진행중인 전문대학의 계속교육의 형태와 관련 법규를 파악하며, 셋째, 미국, 영국, 호주, 독일 등의 서구 선진국들이 성인들을 대상으로 실시하고 있는 전문대학 수준의 계속교육의 성공적인 사례들을 조사 분석하여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을 찾아내고, 넷째, 현재 우리 나라의 각 전문대학에서 진행되고 있는 계속교육의 실태를 파악함으로써, 21세기 지식기반사회를 맞이하여 이를 토대로 우리 나라의 전문대학들이 성인들을 위한 계속교육을 보다 많이 그리고 효과적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전문대학 계속교육의 기능을 강화하는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국민의 직업능력개발을 지원한다.
 The development of continuing education for junior college graduates is required to cope with the rapid evolutions in social structures such as
advancements in science and technology, changes in vocational structures. At this time, this study aims at seeking ways to strengthen the functions of junior college continuing education .
 The following themes were examined so as to achiev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First, the definition of junior college continuing education was clarified. Second, the current management status of junior college continuing
education in Korea was investigated . Third, success stories of adults utilizing continuing education in advanced countries such as the U.S.,
U.K., Australia, Germany, etc. were examined and analyzed to derive the lessons to be learned . Lastly, suggestions for role strengthening junior college continuing education in Korea were presented to strengthen continuing education for adults in more abundance and efficiency in the face of 21st century knowledge-based social standards.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previous researches and documents related to junior colleges in Korea and overseas were reviewed and a survey of a total of 300 people - relevant junior college continuing education personnel - in 31 junior colleges nationwide was conducted. 181 people responded to survey. It's results were analyzed. Also, numerous specialist attended experts meeting were held to determine the direction of the research and to discuss study results.
...
<표 Ⅰ- 1> 영역별 설문조사 내용 10
<표 Ⅱ- 1> 학령인구의 변화 25
<표 Ⅱ- 2> 고등교육기관 진학희망자와 입학 정원 26
<표 Ⅱ- 3> 평생교육에 대한 욕구 29
<표 Ⅱ- 4> 25세∼64세 인구 중 직업관련 계속교육 참여비율 30
<표 Ⅱ- 5> 졸업생들의 자기 발전의지 30
<표 Ⅱ- 6> 개인주도로 교육받을 때 이용한 교육기관 31
<표 Ⅱ- 7> 전문대학 전공심화과정 설치·운영 현황 35
<표 Ⅱ- 8> 대학 및 전문대학의 시간제 등록 지원 및 선발 현황(1999) 38
<표 Ⅱ- 9> 전문대학의 산업체 위탁교육 승인 현황 44
<표 Ⅱ- 10> 대학 부설 평생교육원 설치 현황 (2000년 6월말 기준) 47
<표 Ⅱ- 11> 대학 및 전문대학의 성인대상 교육의 운영 지침 48
<표 Ⅲ- 1> 미국 지역사회대학의 현황 58
<표 Ⅲ- 2> 미국 지역사회대학의 등록생 현황 59
<표 Ⅲ- 3> 미국 노먼데일 지역사회대학의 교육과정 65
<표 Ⅲ- 4> 미국 대학의 재정 수입 내용 분포 66
<표 Ⅲ- 5> 영국 뉴햄 대학(Newham College)의 교육과정 75
<표 Ⅲ- 7> 호주 뉴사우스웨일즈 기술전문대학의 등록 현황 79
<표 Ⅲ- 9> 독일 만하임 전문기술대학의 전기에너지 공학과 교육과정 90
<표 Ⅳ- 1> 행정지역별, 보직별 빈도 98
<표 Ⅳ- 2> 일반성인을 위한 계속직업교육 기능 99
<표 Ⅳ- 3> 성인근로자의 직무향상 기능 100
<표 Ⅳ- 4> 학점은행제 관련 기능 101
<표 Ⅳ- 5> 전공심화과정기능 101
<표 Ⅳ- 6> 입직 청소년의 산업체 적응교육 기능 102
<표 Ⅳ- 7> 산업체와 연계한 국가기술자격증 취득기능 103
<표 Ⅳ- 8> 민간자격증 취득기능 103
<표 Ⅳ- 9> 전문대학의 평생교육센타로서의 기능 104
<표 Ⅳ- 10> 취약계층성인의 취업을 위한 교육훈련 기능 104
<표 Ⅳ- 11> 성인 비문해자를 위한 문해교육 기능 105
<표 Ⅳ- 12> 4년제 대학 편입학지원 기능 106
<표 Ⅳ- 13> 산업체와 연계한 실업자 재취업훈련교육 기능 106
<표 Ⅳ- 14> 실업계고교와 연계한 전문직업교육기능 107
<표 Ⅳ- 15> 전문대학졸업자를 위한 재교육이나 계속교육의 필요성 108
<표 Ⅳ- 16> 일반성인을 위한 계속직업교육 108
<표 Ⅳ- 17> 계속교육을 위한 기구나 부서의 운영 여부 109
<표 Ⅳ- 18> 계속교육이 이루어지는 기관 110
<표 Ⅳ- 19> 성인근로자의 직무향상교육 111
<표 Ⅳ- 20> 학점은행제 111
<표 Ⅳ- 21> 전공심화과정 112
<표 Ⅳ- 22> 입직 청소년의 산업체적응훈련 112
<표 Ⅳ- 23> 산업체와 연계한 국가기술자격취득 113
<표 Ⅳ- 24> 지역주민을 위한 기초생활교육 및 소양교육 113
<표 Ⅳ- 25> 해외유학을 위한 기초기술 및 어학교육 114
<표 Ⅳ- 26> 취약계층성인의 취업을 위한 교육훈련 114
<표 Ⅳ- 27> 성인비문해자를 위한 문해교육 115
<표 Ⅳ- 28> 4년제 대학과의 연계를 위한 기술교육 115
<표 Ⅳ- 29> 실업계고교와 연계한 전문직업교육 116
<표 Ⅳ- 30> 산업체와 연계한 실업자 재취업훈련 117
<표 Ⅳ- 31> 성인근로자의 직무향상교육 117
<표 Ⅳ- 32> 학점은행제 118
<표 Ⅳ- 33> 전공심화과정 118
<표 Ⅳ- 34> 입직 청소년의 산업체 적응훈련 119
<표 Ⅳ- 35> 산업체와 연계한 국가기술자격취득 119
<표 Ⅳ- 36> 일반성인을 위한 자격증 취득 120
<표 Ⅳ- 37> 평생교육센타 120
<표 Ⅳ- 38> 취약계층 성인의 취업을 위한 교육훈련 121
<표 Ⅳ- 39> 성인 비문해자를 위한 문해교육 121
<표 Ⅳ- 40> 4년제 대학 편입학 지원 122
<표 Ⅳ- 41> 계속교육운영상의 문제점 123
<표 Ⅳ- 42> 산업체의 계속교육 참여여부 124
<표 Ⅳ- 43> 계속교육 협약을 체결한 산업체의 재정지원 여부 124
<표 Ⅳ- 44> 산업체의 참여가 저조한 이유 125
<표 Ⅳ- 45> 공공기관의 참여 여부 125
<표 Ⅳ- 46> 공공기관의 참여가 저조한 이유 126
<표 Ⅳ- 47> 계속교육과정의 운영이 교육경쟁력향상에 미치는 영향 128
<표 Ⅳ- 48> 계속교육이 교육력 향상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는 이유 129
<표 Ⅳ- 49> 계속교육의 확대실시여부 129
<표 Ⅳ- 50> 심화과정을 학위취득과정으로 운영 130
<표 Ⅳ- 51> 산업기사 이상의 직무중심 교육과정 개발 131
<표 Ⅳ- 52> 전공심화과정의 활성화 131
<표 Ⅳ- 53> 시간제 등록생의 확대 132
<표 Ⅳ- 54> 기사자격취득과정 운영 132
<표 Ⅳ- 55> 학점은행제 운영 133
<표 Ⅳ- 56> 독학사제도 운영 133
<표 Ⅳ- 57> 자격갱신에 따른 보수교육과정의 개발 134
<표 Ⅳ- 58> 원격교육과정의 운영 135
<표 Ⅳ- 59> 주문식 교육과정의 확대 135
<표 Ⅳ- 60> 시간대별로 차별화 된 프로그램 운영 136
<표 Ⅳ- 61> 계속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재정지원의 필요성 137
<표 Ⅳ- 62> 계속교육을 위한 교육비의 부담자 137
<표 Ⅳ- 63> 계속교육을 운영하기 위해 필요한 사항 138
<표 Ⅳ- 64> 심화과정을 학위취득과정으로 운영 138
<표 Ⅳ- 65> 산업기사 이상의 직무중심 교육과정개발 139
<표 Ⅳ- 66> 자격갱신에 따른 보수교육과정 개발 139
<표 Ⅳ- 67> 전공심화과정 운영 140
<표 Ⅳ- 68> 원격교육과정 운영 140
<표 Ⅳ- 69> 기사자격취득과정 운영 141
<표 Ⅳ- 70> 주문식 교육과정확대 141
<표 Ⅳ- 71> 시간제등록생의 확대 142
<표 Ⅳ- 72> 학점은행제 운영 142
<표 Ⅳ- 73> 독학사제도 운영 143
<표 Ⅳ- 74> 시간별로 차별화 된 프로그램 운영 143
<표 Ⅴ- 1> 고등학생들의 대학 선택기준 153
<표 Ⅴ- 2> 학력별 임금 격차 153
<표 Ⅴ- 3> 특수교육 관련 고등교육기관 현황 155
〔그림 Ⅰ- 1〕연구 수행 절차 6
〔그림 Ⅱ- 1〕평생교육의 구분 18
〔그림 Ⅱ- 2〕평생교육의 2차원적 구분 18
〔그림 Ⅱ- 3〕평생교육의 3차원적 구분 19
〔그림 Ⅱ- 4〕계속교육의 영역 20
〔그림 Ⅱ- 5〕모교에 대한 역할 기대 28
〔그림 Ⅱ- 6〕전공심화과정의 기본 학제화에 따른 직업교육체제 모형 53
〔그림 Ⅲ- 1〕호주의 선행학습 인정을 통한 학점인정 시스템 83
〔그림 Ⅲ- 2〕호주의 기술전문대학교육과 자격의 연계도 84
〔그림 Ⅴ- 1〕전문대학 계속교육 기능강화방안의 구상 158
〔그림 Ⅴ- 2〕직업경험을 통한 학위취득의 방법 비교 166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전문대학의 계속교육 기능 강화 방안 연구 2001.02.01~2001.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