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진로교육 목표 및 내용 체계화 연구

Construction of Objective and Content Criteria for Career Education in Korea
저자
장석민
분류정보
기본연구(2001-42)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01.12.31
등록일
2001.12.31
연구요약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내용 및 방법 2
     3. 연구결과의 활용 5
Ⅱ. 선행연구 및 관련 문헌 분석 7
     1. 국내 진로교육 관련 선행연구 분석 7
     2. 외국의 진로교육 관련 자료의 분석 24
     3. 진로발달 및 진로선택 이론 분석 37
     4. 선행연구 및 문헌분석 결과의 종합 47
Ⅲ. 진로교육 목표 및 내용에 관한 설문지 조사 결과 57
     1. 설문 조사의 내용과 방법 57
     2. 설문 조사 결과 60
Ⅳ. 델파이 조사 결과117
     1. 전문가 합의 도출을 위한 델파이 조사 방법 117
     2. 델파이 조사의 결과 119
Ⅴ. 연구 결과: 진로교육 목표 및 내용 체계 133
     1. 초등학교 진로교육의 목표 및 내용 체계 133
     2. 중학교 진로교육의 목표 및 내용 체계 137
     3. 고등학교 진로교육의 목표 및 내용 체계 142
참 고 문 헌 149
Abstract 151
부 록 153
  본 연구는 국가 수준에서 합의된 우리나라 진로 교육 목표 및 내용 체계를 정립하고자 하였다. 진로교육의 목표 및 내용 체계는 다음과 같이 초등학교, 중학교 및 고등학교 급별로 구분하여 정립하고자 하였다.
  - 초등학교 진로교육의 목표 및 내용
  - 중학교 진로교육의 목표 및 내용
  - 고등학교 진로교육의 목표 및 내용
 This study is to set up objective and content criteria of career education at national level. Depending upon IMF economic crisis, the importance of career education is more broadly recognised among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However, most of schools are confused in developing and selecting career education programs and textbooks because of no criteria and guidelines on career education. This research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with objective and content criteria for implementing career education program.
  Document analysis including theories and practices as well as Korean and foreign materials was conducted to identify objectives and content elements described by researchers, scholars, teachers and other experts. Questionnaire surveys are also conducted to identify and confirm needs and objectives of career education from students, parents and school teachers.
...
<표 Ⅱ-1> 한국교육개발원의 진로교육과정 구성의 기본 모형	8
<표 Ⅱ-2> 진로교육의 영역별 목표	10
<표 Ⅱ-3> 초등학교의 진로교육 목표체계	12
<표 Ⅱ-4> 중학교의 진로교육 목표체계	13
<표 Ⅱ-5> 고등학교의 진로교육 목표체계	14
<표 Ⅱ-6> 진로교육모형에 제시된 진로교육의 목표와 내용체계	16
<표 Ⅱ-7> 형식 교육의 진로개발교육 내용	17
<표 Ⅱ-8> ‘진로․직업’ 과목의 교육 영역과 목표	19
<표 Ⅱ-9> ‘진로․직업’ 과목의 교육 영역과 내용	21
<표 Ⅱ-10> 국내 진로교육 관련 문헌에 나타난 진로교육의 영역 	23
<표 Ⅱ-11> 미국 Ohio 주 각급 학교의 진로교육 목표	25
<표 Ⅱ-12> 미국 Ohio 주 초등학교 진로교육의 목표 및 내용체계	27
<표 Ⅱ-13> 미국 Ohio 주 중학교 진로교육의 목표 및 내용체계	30
<표 Ⅱ-14> 미국 Ohio 주 고등학교 진로교육의 목표 및 내용체계	33
<표 Ⅱ-15> Ginzberg의 직업발달 이론의 단계	39
<표 Ⅱ-16> Super의 직업발달 이론의 단계	42
<표 Ⅱ-17> Tiedeman과 O'Hara의 진로발달 이론의 단계	44
<표 Ⅱ-18> Tuckman의 진로발달 이론의 단계	46
<표 Ⅱ-19> 선행연구에 나타난 진로교육의 영역 비교	48
<표 Ⅱ-20> 공통적이며 포괄적인 진로교육의 영역	50
<표 Ⅱ-21> 선행연구에 나타난 진로교육의 영역별 목표 종합정리	51
<표 Ⅲ-22> 초등학교 진로교육 목표 범주화	53
<표 Ⅲ-23> 중학교 진로교육 목표 범주화	54
<표 Ⅲ-24> 고등학교 진로교육 목표 범주화	55
<표 Ⅱ-25> 진로교육의 영역별 목표체계 구성	56
<표 Ⅲ-1> 설문지의 주요 내용	58
<표 Ⅲ-2> 설문조사를 위한 표집 및 실제 설문 응답자 수	59
<표 Ⅲ-3> 초등학교 교사 학부모의 ‘자아 특성의 이해’ 영역에 대한 필요성의 인식 정도	61
<표 Ⅲ-4> 초등학교 교사, 학부모의 ‘일과 직업 세계 탐색’ 영역에 대한  필요성의 인식 정도	62
<표 Ⅲ-5> 초등학교 교사, 학부모의 ‘일과 직업에 대한 태도와 습관 형성’ 영역에 대한 필요성의 인식 정도	63
<표 Ⅲ-6> 초등학교 교사, 학부모의 ‘일과 직업의 교육적 측면 이해’ 영역에 대한 필요성의 인식 정도	64
<표 Ⅲ-7> 초등학교 교사, 학부모의 ‘진로계획’ 영역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정도	65
<표 Ⅲ-8> 초등학교 교사의 ‘자아 특성의 이해’ 영역의 목표별 필요성에 대한 인식 정도	67
<표 Ⅲ-9> 초등학교 학부모의 ‘자아 특성의 이해’ 영역의 목표별 필요성에 대한 인식 정도	67
<표 Ⅲ-10> 초등학교 교사의 ‘일과 직업세계 탐색’ 영역의 목표별 필요성에 대한 인식 정도	68
<표 Ⅲ-11> 초등학교 학부모의 ‘일과 직업세계 탐색’ 영역의 목표별 필요성에 대한 인식 정도	69
<표 Ⅲ-12> 초등학교 교사의 ‘일과 직업에 대한 태도와 습관 형성’ 영역의 목표별 필요성에 대한 인식 정도	69
<표 Ⅲ-13> 초등학교 학부모의 ‘일과 직업에 대한 태도와 습관 형성’ 영역의 목표별 필요성에 대한 인식 정도	70
<표 Ⅲ-14> 초등학교 교사의 ‘일과 직업의 교육적 측면 이해’ 영역의 목표별 필요성에 대한 인식 정도	71
<표 Ⅲ-15> 초등학교 학부모의 ‘일과 직업의 교육적 측면 이해’ 영역의 목표별 필요성에 대한 인식 정도	71
<표 Ⅲ-16> 초등학교 교사의 ‘진로계획’ 영역의 목표별 필요성에 대한 인식 정도	72
<표 Ⅲ-17> 초등학교 학부모의 ‘진로계획’ 영역의 목표별 필요성에 대한 인식 정도				    	72
<표 Ⅲ-18> 중학교 교사, 학부모, 학생의 ‘자아 특성의 이해’ 영역에 대한 필요성 인식 정도	74
<표 Ⅲ-19> 중학교 교사, 학부모, 학생의 ‘일과 직업세계 탐색’ 영역에 대한  필요성 인식 정도	76
<표 Ⅲ-20> 중학교 교사, 학부모, 학생의 ‘일과 직업에 대한 태도와 습관 형성’ 영역에 대한 필요성 인식 정도	78
<표 Ⅲ-21> 중학교 교사, 학부모, 학생의 ‘일과 직업의 교육적 측면 이해’ 영역에 대한 필요성 인식 정도	80
<표 Ⅲ-22> 중학교 교사, 학부모, 학생의 ‘진로계획’ 영역에 대한 필요성 인식 정도				  	82
<표 Ⅲ-23> 중학교 교사의 ‘자아 특성의 이해’ 영역의 목표별 필요성 인식 정도	84
<표 Ⅲ-24> 중학교 학부모의 ‘자아 특성의 이해’ 영역의 목표별 필요성에 대한 인식 정도	85
<표 Ⅲ-25> 중학생의 ‘자아 특성의 이해’ 영역의 목표별 필요성에 대한 인식 정도	85
<표 Ⅲ-26> 중학교 교사의 ‘일과 직업세계 탐색’ 영역의 목표별 필요성에 대한 인식 정도	86
<표 Ⅲ-27> 중학교 학부모의 ‘일과 직업세계 탐색’ 영역의 목표별 필요성에 대한 인식 정도	87
<표 Ⅲ-28> 중학생의 ‘일과 직업세계 탐색’ 영역의 목표별 필요성에 대한 인식 정도			  	87
<표 Ⅲ-29> 중학교 교사의 ‘일과 직업에 대한 태도와 습관 형성’ 영역의 목표별 필요성에 대한 인식 정도	88
<표 Ⅲ-30> 중학교 학부모의 ‘일과 직업에 대한 태도와 습관 형성’ 영역의 목표별 필요성에 대한 인식 정도	89
<표 Ⅲ-31> 중학생의 ‘일과 직업에 대한 태도와 습관 형성’ 영역의 목표별 필요성에 대한 인식 정도	89
<표 Ⅲ-32> 중학교 교사의 ‘일과 직업의 교육적 측면 이해’ 영역의 목표별 필요성 인식 정도	90
<표 Ⅲ-33> 중학교 학부모의 ‘일과 직업의 교육적 측면 이해’ 영역의 목표별 필요성 인식 정도	91
<표 Ⅲ-34> 중학생의 ‘일과 직업의 교육적 측면 이해’ 영역의 목표별 필요성 인식 정도	91
<표 Ⅲ-35> 중학교 교사의  ‘진로계획’ 영역의 목표별 필요성에 대한 인식 정도	92
<표 Ⅲ-36> 중학교 학부모의 ‘진로계획’ 영역의 목표별 필요성에 대한 인식 정도	93
<표 Ⅲ-37> 중학생의 ‘진로계획’ 영역의 목표별 필요성에 대한 인식 정도	93
<표 Ⅲ-38> 고등학교 교사, 학부모, 학생의 ‘자아 특성의 이해’ 영역에 대한  필요성 인식 정도	95
<표 Ⅲ-39> 고등학교 교사, 학부모, 학생의 ‘일과 직업 세계 탐색’ 영역에 대한 필요성 인식 정도	97
<표 Ⅲ-40> 고등학교 교사, 학부모, 학생의 ‘일과 직업에 대한 태도와 습관 형성’ 영역에 대한 필요성 인식 정도	99
<표 Ⅲ-41> 고등학교 교사, 학부모, 학생의 ‘일과 직업의 교육적 측면 이해’ 영역에 대한 필요성 인식 정도	101
<표 Ⅲ-42> 고등학교 교사, 학부모, 학생의 ‘진로계획’ 영역에 대한 필요성 인식 정도	103
<표 Ⅲ-43> 고등학교 교사의 ‘자아 특성의 이해’ 영역의 목표별 필요성 인식 정도	  		   	105
<표 Ⅲ-44> 고등학교 학부모의 ‘자아 특성의 이해’ 영역의 목표별 필요성 인식 정도	  	106
<표 Ⅲ-45> 고등학생의 ‘자아 특성의 이해’ 영역의 목표별 필요성 인식 정도	106
<표 Ⅲ-46> 고등학교 교사의 ‘일과 직업세계 탐색’ 영역의 목표별 필요성 인식 정도	  	107
<표 Ⅲ-47> 고등학교 학부모의 ‘일과 직업세계 탐색’ 영역의 목표별 필요성 인식 정도	108
<표 Ⅲ-48> 고등학생의 ‘일과 직업세계 탐색’ 영역의 목표별 필요성 인식 정도	109
<표 Ⅲ-49> 고등학교 교사의 ‘일과 직업에 대한 태도와 습관 형성’ 영역의 목표별 필요성 인식 정도	110
<표 Ⅲ-50> 고등학교 학부모의 ‘일과 직업에 대한 태도와 습관 형성’ 영역의 목표별 필요성	110
<표 Ⅲ-51> 고등학생의 ‘일과 직업에 대한 태도와 습관 형성’ 영역의 목표별 필요성 인식 정도	111
<표 Ⅲ-52> 고등학교 교사의 ‘일과 직업의 교육적 측면 이해’ 영역의 목표별 필요성 인식 정도	112
<표 Ⅲ-53> 고등학교 학부모의 ‘일과 직업의 교육적 측면 이해’ 영역의 목표별 필요성 인식 정도	113
<표 Ⅲ-54> 고등학생의 ‘일과 직업의 교육적 측면 이해’ 영역의 목표별 필요성 인식 정도	113
<표 Ⅲ-55> 고등학교 교사의 ‘진로계획’ 영역의 목표별 필요성 인식 정도	114
<표 Ⅲ-56> 고등학교 학부모의 ‘진로계획’ 영역의 목표별 필요성 인식 정도	115
<표 Ⅲ-57> 고등학생의 ‘진로계획’ 영역의 목표별 필요성 인식 정도	116
<표 Ⅳ-1> 관련 영역별 델파이 위원 분포 	118
<표 Ⅳ-2> 델파이 1차 설문 참고 자료: 진로교육 영역별 목표체계	120
<표 Ⅳ-3> 델파이 1차 설문을 통한 진로교육 영역	121
<표 Ⅳ-4> 델파이 1차 설문 결과 추출된 진로교육 영역별 목표 	122
<표 Ⅳ-5> 델파이 1차 설문 결과 추출된 진로교육 목표별 내용	123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진로교육 목표 및 내용 체계화 연구 2001.02.01~2001.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