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직업교육체제 발전 방안 : 실업계 고교와 전문대학 연계교육을 중심으로

Plan for Developing Vocational Education System : Focusing on Interrelated Education between Vocational High Schools and Technical Colleges
저자
장원섭 김철희
분류정보
기본연구(2001-43)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01.12.31
등록일
2001.12.31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기존 연구 검토 3
      3. 연구방법 및 내용 6
Ⅱ. 실업계 고등학교 연계교육 현황 9
      1. 연계교육의 배경 9
      2. 연계교육 현황과 문제점 12
      3. 외국의 사례: 미국의 연계교육(Tech-Prep) 27
Ⅲ. 전문대학 연계 교육 현황 37
      1. 연계교육의 배경 37
      2. 연계교육의 문제점 54
      3. 외국의 사례: 일본의 직업교육체제 64
Ⅳ. 직업교육 연계체제 발전 방안 73
      1. 실업계 고등학교 방안 73
      2. 전문대 방안 77
Ⅴ. 결론 85
Ⅵ. 참고문헌 89
Abstract 93
  본 연구는 실업계 고교와 전문대학을 중심으로 우리 나라 직업교육체제에 대한 전반적인 검토를 통하여 직업교육기관 사이의 역할 분담과 종적인 차원의 연계를 통한 직업교육의 효율성과 효과성을 제고하여 계속교육적 관점에서 직업교육체제를 발전시키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Vocational high schools, technical colleges and industrial colleges are the main institutions for vocational education in Korea, and the interrelation among these institutions can be said to be the backbone of continuing vocational education. Interrelation among vocational education institutions can prevent repetition in education and enhance learning consistency and continuity that will result in an improvement in efficiency of effectiveness of vocational education. In spite of this, the vocational education institutions in Korea are not adequately fulfilling their functions and roles, which in turn is hindering the interrelation system from being effective. Therefore, if these institutions change their inefficient and discontinuing education method to systematically interrelated continuing education system, vocational education in Korea will be able to produce many talented workforces as well as offer opportunities in developing continuing occupational ability. With such a broad point of view, this research examines Koreas vocational education system focusing on vocational high schools and technical colleges and seeks to improve its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through the allocation of roles among vocational education institutions and the establishment of vertical interrelation. In result, this research aims to devise a plan for developing a vocational education system viewed in the light of continuing education.
...
<표 Ⅱ- 1> 실업계 고교와 전문대학간 연계교육 현황	14
<표 Ⅱ- 2> 전문대학의 연계교육 체결 현황	14
<표 Ⅱ- 3> 연계교육 및 재정지원 현황	15
<표 Ⅱ- 4> 연계 운영 시범 전문대학별 교육과정 운영 특성	17
<표 Ⅱ- 5> 전문대학과 실업계 고등학교의 학교․학생수 변화	18
<표 Ⅱ- 6> 학력별 임금 격차 추이	22
<표 Ⅱ- 7> 교육 기관별 학생수 변화 추이	23
<표 Ⅱ- 8> 미국의 고등학교 교육 체제	29
<표 Ⅱ- 9> 미국 Tech Prep 제도와 한국 연계교육 제도의 비교	35
<표 Ⅲ- 1> 고등교육기관 학생현황(2001학년도)	37
<표 Ⅲ- 2> 4년제 대학 졸업생의 전문대학 입학 현황(1995~2000)	38
<표 Ⅲ- 3> 전문대학 및 대학 졸업생의 자격증 취득율 비교(1997~2000)	38
<표 Ⅲ- 4> 전문대학 주문식 교육과정 도입․운영 현황	39
<표 Ⅲ- 5> 실업계 고교와의 연계교육 과정 운영 현황(1999~2000)	40
<표 Ⅲ- 6> 교육과 기업 현장의 차이에 대한 기업체의 인식	41
<표 Ⅲ- 7> 2001학년도 전문대학 권역별 지원 현황	41
<표 Ⅲ- 8> 2001학년도 전문대학 신입생 등록 현황	42
<표 Ⅲ- 9> 학생 1인당 공교육비	43
<표 Ⅲ-10> 직업교육기관 학생 1인당 교육비 및 납입금 수준(1999)	44
<표 Ⅲ-11> 주요 직업교육 및 훈련기관의 1인당 평균 교육훈련비	44
<표 Ⅲ-12> 전문대학의 교원수 변화 추이	44
<표 Ⅲ-13> 최근 5년간 학술진흥재단 연구비 전문대학 수혜 현황	45
<표 Ⅲ-14> 설립별 고등교육기관 학생수 비율(1998년 기준)	46
<표 Ⅲ-15> 학력별․성별 실업률	47
<표 Ⅲ-16> 학력별 연령별 실업률 비교	47
<표 Ⅲ-17> 학력별 임금 격차	48
<표 Ⅲ-18> 교원양성기관 현황	51
<표 Ⅲ-19> 전문대학 졸업자의 최종학력 분포 현황	51
<표 Ⅲ-20> 출신학교별 대학 편입학 현황(2001.1학기)	52
<표 Ⅲ-21> 전문대 졸업생의 재교육 이수희망 조사결과	53
<표 Ⅲ-22> 산업체 근무 전문대학 졸업자들의 재교육 이수 현황	53
<표 Ⅲ-23> 고등교육기관의 특징	55
<표 Ⅲ-24> 국가경쟁력 평가	56
<표 Ⅲ-25> 25~64세 인구 중 대졸 이상자 비중	57
<표 Ⅲ-26> 인적자원의 부문별 경쟁력 비교	58
<표 Ⅲ-27> 주요국 생산성 비교(98년 기준)	59
<표 Ⅲ-28> 개설 단위수와 필수 단위수(각 전공 공통)	68
<표 Ⅲ-29> 방송대학 개설 과목	68
<표 Ⅲ-30> 전공과 졸업자 진로 현황	69
<표 Ⅲ-31> 대학평가학위수여기구 인정 전공과 수(2000.4 현재)	71
<표 Ⅳ- 1> SVC 모형의 개괄	81
<표 Ⅳ- 2> 전공 심화 과정과 SVC 비교	81
[그림 Ⅲ-1] 18세 학령인구의 감소 추이	49
[그림 Ⅲ-2] 우리 나라 교육훈련기관	54
[그림 Ⅲ-3] 일본의 학제	64
[그림 Ⅲ-4] 일본 고등전문학교 전공과 교육체제	67
[그림 Ⅲ-5] 단기대학 전공과 입학자수와 전공과 설치 단기대학수	70
[그림 Ⅲ-6] 단기대학 졸업생의 4년제 대학 편입 추이	71
[그림 Ⅳ-1] 순환형 직업교육체제 모형	80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직업교육체제 발전 방안 - 실업계고교와 전문대학 연계 강화를 중심으로 - 2001.05.01~2001.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