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인력수급 전망 연구 (Ⅰ) :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 모형 구축을 위한 기초 연구
A Fundamental Study for National Manpower Supply and Demand forecast
- 저자
- 이남철 채창균 김철희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01-44)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01.12.31
- 등록일
- 2001.12.31
연구요약 I.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질문 3 3. 연구내용 4 4. 연구의 방법 5 Ⅱ. 국내 인력수급 전망 연구 동향 7 1. 산업연관분석에 의한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 7 2. 노동시장의 중·단기 예측 8 3. 부문별 인력수급 전망 18 Ⅲ. 인력수급전망 모형 개발을 위한 선진국의 인력수급 모형 분석 23 1. 미국 노동통계국(BLS)의 인력수급 전망 23 2. 일본 노동성(고용정책연구회)의 노동력 수급 전망 58 Ⅳ. 인력수급전망을 위한 모형 71 1. 노동력 공급 전망 모형 71 2. 노동력 수요 전망 모형 85 3. 다부문모형을 이용한 직종 산업 취업구조 전망 93 V. 결론 109 VI. 향후 추진 과제 113 1. 시계열상의 자료확보 및 구축 113 2. 신뢰도 확보를 위한 인력수급 전망 114 3. 인력수급 전망 방법의 제도화 116 4. 직업전문가 확보 및 관련 네트워크 구축 116 참고문헌 119 Abstract 123 부록 1. 인력수급 전망에 사용될 통계자료 127 부록 2. 투입계수의 추정방법(RAS) 131
본 연구의 목적은 산업별·직업별 인력수급 전망 모형 및 인적자원 수급(직업교육을 포함한 교육부문과 직업훈련부문의 인력수급)전망 모형을 개발하고, 이에 기초하여 인력의 중·장기 수요, 공급을 계량적으로 예측함으로써 인적자원개발 정책 수립과 집행에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전망자료를 제시하는데 있다. 구체적으로 다음 세 가지의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3개년 계획을 수립하여 연차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며 첫째, 기존 연구의 한계 분석 및 선진국의 인력수급 모형 검토를 통해 국내 현실에 맞는 인력수급전망 모형 개발(1차 년도), 둘째, 1차 년도에 개발한 모형을 토대로 산업 중분류 및 직종 세분류 인력수급을 전망(2차 년도), 셋째, 학교급별, 전공유형별 등 교육부문을 고려한 인력수급 전망 모형을 개발하고, 나아가 훈련직종, 훈련유형 등 직업훈련 수요를 파악할 수 있는 인력수급 전망 모형을 개발하여 이들 모형에 의한 인력수급을 전망(3차 년도)하고자 한다.
This paper examines the methods in national manpower supply and demand forecast used by using literature reviews and presents model to predict manpower projection in Korea. The national manpower supply and demand forecast has provided users projections, especially in the fields of career guidance and education planning, with information to enhance their understanding of the situations faced in developing human resource development. Measurement of manpower projection accuracy, however, is not a simple task. Broad trends in manpower projection have been projected fairly accurately, but accuracy has not increased over time. One traditional measure is to compare projected manpower supply and demand with actual manpower supply and demand and compute the difference in percentage terms. Over the years, the manpower projection procedures and methodologies used to develop the projections have undergone many changes as new data series and developed models became available and economic and statistical tools improved. In general, one approach to developing detailed manpower projections involved the use of input-output analysis. Essentially, this technique requires that final demand (GDP divided into its components-investment, consumption, government expenditures, and foreign trade) be specified by producing industry. The Bank of Korea input-out model consists of two basic matrices for each year, a "use" and a "make" table (expressed in coefficient form). Once projected values of the "use" and "make"relationships are available the projection of commodity demand developed in proceeding steps is converted into a projection of domestic industry output. ...
<표 Ⅱ-1> 산업별 인력 수요 추정단계 17 <표 Ⅲ-1> 고용전망과 실제고용의 변화 51 <표 Ⅲ-2> 직업집단에 대한 전망 고용수준의 오차(전망기간별) 52 <표 Ⅲ-3> 경제활동 추정함수를 이용한 추정결과 66 <표 Ⅳ-1> 장래 인구추계와 경제활동 인구조사상의 15세이상 인구비교 74 <표 Ⅳ-2> 장래 인구추계와 경제활동 인구조사상의 남자인구 연령별 차이 76 <표 Ⅳ-3> 연령별 노동공급의 경기 변동에 대한 반응 (1981~2000년) 83 <표 Ⅳ-4> 다부문모형의 산업분류 95 [그림 Ⅲ-1] 미국 BLS의 고용전망의 절차 26 [그림 Ⅲ-2] 노동력 수급 추계모델 순서도 60 [그림 Ⅳ-1] 산업·직업별 전망 흐름도 87 [그림 Ⅳ-2] 직종-산업 취업구조 전망작업의 전체 흐름도 94 [그림 Ⅳ-3] 다부문모형의 순환도 106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국가 인력수급 전망 연구(Ⅰ) - 중장기 인력수급전망 모형 구축을 위한 기초 연구 | 2001.05.01~2001.12.31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