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전문대학 교원의 직무능력 향상을 위한 교원 연수 프로그램 개발( I )

Junior College Professor Upgrade Training Program Development ( I )
저자
장명희 박은희
분류정보
기본연구(2001-47)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01.12.31
등록일
2001.12.31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내용과 범위 2
  3. 연구의 방법 3
  4. 연구의 제한점 7
Ⅱ. 전문대학 교원의 역할과 연수 운영 실태 9
  1. 전문대학 교원의 역할과 직무 범위 9
  2. 전문대학 교원 연수 동향 15
  3. 전문대학 교원의 연수 운영 실태 19
Ⅲ. 전문대학 교원의 직무에 대한 인식 및 연수 요구조사 27
  1.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 27
  2. 전문대학 교원의 직무수행 인식 및 연수 요구 29
  3. 연수과정 운영에 대한 의견 45
Ⅳ. 전문대학 교원의 연수 프로그램 개발 55
  1. 연수 프로그램 개발의 전제 55
  2. 연수 프로그램 개발의 기본 방향 57
  3. 연수 프로그램(안) 개발 61
참고문헌 75
Abstract 79
부 록 85
  본 연구는 현직 전문대학 교원들의 효율적인 직무수행을 지원하기 위하여 전문적인 직무수행을 위한 교육 요구분야를 규명하고, 이를 기초로 체계적인 연수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전문대학 교원의 직무 향상을 위한 연수 프로그램 개발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 연구에서 다루고자 하는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전문대학 교원의 역할과 직무
  2) 전문대학 교원의 연수에 대한 요구 조사
  3) 전문대학 교원의 연수 프로그램 개발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current areas of priority for effective junior college professor function and to suggest and develop systematic training programs based on those findings. To achieve this the roles and work scope of junior college professors, in line with changes in vocational education environment and technology, were examined. Junior college professors' duties and training demands were also examined to develop the Junior College Professor's Training Program. This study was limited to full-time junior college professors. The developed program focused on common work areas regardless of professors' course subjects.
 Document and data analysis, expert committee, and research study methods were used in this study.
2. Junior College Professor Role and Work Scope
 Domestic and foreign junior college professor role and work scope related documents and data revealed the 'total instructor' adjusting to job market and student flux, rather than pure academic research, and systems, academy, education, lesson research, and work site proficient .
3. Junior College Professor Duties and Training Demands
 158 junior college professors, including those in administrative positions, were reviewed to establish the significance and accomplishment of their duti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50% of the total respondents did not complete teacher training courses, so the need for education in vocational education course development, lesson methods, and student guidance is outstanding.
Secondly, research results point out the importance of and education demands for 'The Understanding of Junior College Function and Operation' is high priority, consequently this should be reflected in the training program.
Thirdly, the duty importance of and training demands for professors holding administrative positions were higher than that of others. Career and employment guidance and freshman selection management are very important junior college functions.
Fourthly, the demand for education by professors in the areas of educational-industrial cooperation and major related industrial technology changes is relatively high, so it is very important to continue support for industrial training.
 As for the operation & methods of training, the responds were as follows.
 Firstly, current training operation methods limit training subjects and durations. They should be improved so professors may choose their own subjects and time spans.
 Secondly, training should be composed from similar majors or according to similar administrative positions. In other words, the demand for uniform group training is very high .
 Thirdly, lectures should be conducted through seminars, discussions, and site training. The ideal class size is considered to be 20-30 students and the favored instructors are industrial site experts.
<표 Ⅰ-1> 설문조사지 회수율 5
<표 Ⅰ-2> 전문대학 교원 연수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설문조사 내용 6
<표 Ⅲ-1> 설문조사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 28
<표 Ⅲ-2> 전문대학 교수의 전체 직무 관련영역별 연수 요구도 30
<표 Ⅲ-3> 전문대학 기능 및 운영에 관한 일반교수의 연수 요구도 32
<표 Ⅲ-4> 전문대학 기능 및 운영에 관한 보직교수의 연수 요구도 33
<표 Ⅲ-5> 교수-학습 활동에 관한 일반교수의 연수 요구도 34
<표 Ⅲ-6> 교육과정 개발·운영 및 교수-학습활동 지원에 관한 담당 보직교수의 연수 요구도 35
<표 Ⅲ-7> 직업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일반교수의 연수 요구도 36
<표 Ⅲ-8> 연구 및 개발활동에 관한 일반교수의 연수 요구도 37
<표 Ⅲ-9> 학생 지도활동에 관한 일반교수의 연수 요구도 37
<표 Ⅲ-10> 학생 지도활동 지원에 관한 담당 보직교수의 연수 요구도 38
<표 Ⅲ-11> 산학협동 및 현장실습 관련영역에 관한 일반교수의 연수 요구도 39
<표 Ⅲ-12> 산학협동 및 현장실습영역에 관한 담당 보직교수의 연수 요구도 40
<표 Ⅲ-13> 행정 및 관리활동에 관한 일반교수의 연수 요구도 41
<표 Ⅲ-14> 행정 및 관리활동에 관한 담당 보직교수의 연수 요구도 41
<표 Ⅲ-15> 직업교육 환경 변화에 관한 일반교수의 연수 요구도 42
<표 Ⅲ-16> 직업교육 환경 변화에 관한 보직교수의 연수 요구도 43
<표 Ⅲ-17> 전문대학 교원의 연수 운영에 관한 의견 46
<표 Ⅲ-18> 전문대학 교원의 연수 이수 주기에 관한 의견 46
<표 Ⅲ-19> 전문대학 교원의 연수 시기에 관한 의견 46
<표 Ⅲ-20> 학기 중 연수 실시의 경우, 연수방식에 관한 의견 47
<표 Ⅲ-21> 전문대학 교원 연수 프로그램별 적정 운영 기간과 시간에 관한 의견 47
<표 Ⅲ-22> 전문대학 교원 연수형태에 관한 의견 48
<표 Ⅲ-23> 전문대학 교원 연수 비용 부담 주체에 관한 의견 48
<표 Ⅲ-24> 전문대학 교원 연수 대상자의 구성방법에 관한 의견 49
<표 Ⅲ-25> 전문대학 교원 연수의 가장 효과적인 수업방법에 대한 의견 49
<표 Ⅲ-26> 전문대학 교원 연수의 적정 규모에 대한 의견 50
<표 Ⅲ-27> 전문대학 교원 연수의 목적에 관한 의견(복수응답) 50
<표 Ⅲ-28> 전문대학 교원 연수의 강사 자격에 관한 의견 51
<표 Ⅲ-29> 최근 3년 이내의 연수 참여 횟수에 관한 의견 51
<표 Ⅲ-30> 최근 3년 이내의 참여 연수 만족도에 관한 의견 52
<표 Ⅲ-31> 최근 연수 프로그램의 불만족 원인 52
[그림 Ⅳ-1] 전문대학 교원 연수 프로그램 개발 모형 61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전문대학 교원의 직무능력 향상을 위한 연수 프로그램 개발(Ⅰ) 2001.09.04~2001.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