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직업훈련기관 및 훈련과정 DB구축을 위한 기초연구

A Preliminary Study for the DB Construction of Vocational Training Agencies and Training Programs
저자
장홍근 오영훈 이동임
분류정보
기본연구(2001-49)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01.12.30
등록일
2001.12.30
Ⅰ. 서 론 1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과 연구과제 3
  3. 연구방법 4
  4. 보고서의 구성 5
Ⅱ. 선행연구 및 국내외 직업훈련 관련 DB의 검토 7
  1. 직업훈련기관 및 훈련과정 현황 7
  2. 선행연구의 검토 8
  3. 국내·외 직업훈련 관련 DB의 검토 10
Ⅲ. 직업훈련 정보의 이용실태 및 수요 27
  1. 조사개요 27
  2. 직업훈련 정보 이용실태 34
  3. 직업훈련 관련 정보에 대한 만족도 39
  4. 직업훈련과정 및 기관 선정시 고려사항 43
  5. 직업훈련기관 관련 정보의 수요 45
  6. 직업훈련과정 관련 정보의 수요 48
  7. 직업훈련기관 평가 관련 정보의 수요 52
  8. 훈련과정 평가 관련 정보의 수요 55
  9. 훈련기관 지도점검 관련 정보의 수요 59
 10. 조사결과의 요약 및 DB구축 관련 시사점 60
Ⅳ. 직업훈련기관·과정 DB의 구축 전략 67
  1. 직업훈련기관·과정 DB의 위상과 기본방향 67
  2. 직업훈련기관·과정 DB의 구조와 컨텐츠 75
  3. DB 구축 실행계획 90
  4. 관련 기관 및 사업과의 협력과 연계 96
Ⅴ. 결 론 101
  1. 연구결과의 요약 101
  2. DB구축의 전략과 정책제언 102
참고문헌 105
ABSTRACT 107
[부표] 설문조사 심층 분석 결과 113
[부록 1] 설문지(훈련생용) 229
[부록 2] 설문지(기업체용) 245
  본 연구의 주요 목적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훈련 기관·시설 및 훈련과정 DB의 위상과 방향, 구축을 위한 실행 방안, DB의 구조와 콘텐츠 항목들을 제시한다.
  둘째, DB 탑재 데이터의 수집방안 및 DB의 유지·보수·관리 방안을 도출한다.
  셋째, 훈련기관·시설 및 훈련과정 현황 정보와 평가 결과 정보의 결합 제공방식 제시한다.
  넷째,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훈련정보의 비대칭적 유통문제를 해소하고, 이를 통해 훈련시장이 원활하게 작동할 수 있는 정보인프라의 한 축을 제공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use experiences and the demand for the information of vocational training agencies and training programs, with a view to planning more appropriate database construction. We reviewed domestic and foreign information systems and databases, and conducted a survey to find out the actual usage and the demand of users for the training information. The users of training information that we have surveyed consist of the staff members of companies being in charge of education and training, and the vocational trainees(both employed and unemployed) being enrolled in the programs of training agencies. On the basis of survey results, this study evokes the purpose to which the database of vocational training information serves, and depicts provisional designs for database structure and composition of contents. This study also proposes executive plans for the database construction process, from data collection to maintenance and control of the database system, and four-staged working plans...
...
<표 Ⅱ-1> 직업능력개발 참여 기관 현황 7
<표 Ⅱ-2> HRD-Net의 주요 업무현황 11
<표 Ⅱ-3> HRD-Net 업무용 주요 장비 11
<표 Ⅱ-4> 훈련기관 단순검색결과(예시) 12
<표 Ⅱ-5> 훈련기관 상세검색 결과(예시) 13
<표 Ⅱ-6> 훈련기관 검색을 통한 훈련과정 검색결과(예시) 13
<표 Ⅱ-7> 훈련과정 검색결과-실업자훈련의 경우(예시) 14
<표 Ⅱ-8> 훈련과정 검색결과-재직자훈련의 경우(예시) 15
<표 Ⅱ-9> 훈련과정 단순검색 결과(예시) 16
<표 Ⅱ-10> ALX의 구성과 기능 20
<표 Ⅱ-11> ALX의 주요 정보영역과 정보내용 22
<표 Ⅲ-1> 조사대상 사업장의 지역별·규모별 할당 28
<표 Ⅲ-2> 조사 대상 사업장의 특성 30
<표 Ⅲ-3> 조사 대상 훈련생의 특성 31
<표 Ⅲ-4> 사업체용 조사표의 구성 32
<표 Ⅲ-5> 훈련생용 조사표의 구성 33
<표 Ⅲ-6> 정보사용주체별 직업훈련정보의 주요 입수 경로 34
<표 Ⅲ-7> 정보사용주체별 직업훈련과정 관련 정보 이용 경험 35
<표 Ⅲ-8> 정보사용주체별 직업훈련기관 관련 정보 이용 경험 36
<표 Ⅲ-9> 정보사용주체별 직업훈련정보망(HRD-Net) 이용 경험 37
<표 Ⅲ-10> HRD-Net에서 주로 이용하는 정보내용 37
<표 Ⅲ-11> HRD-Net을 이용 않는 이유 38
<표 Ⅲ-12> 정보사용주체별 직업훈련과정 관련 정보 만족도 39
<표 Ⅲ-13> 정보사용주체별 직업훈련기관 관련 정보 만족도 40
<표 Ⅲ-14> 정보사용주체별 HRD-Net 제공 정보 만족도 41
<표 Ⅲ-15> 주체별 훈련과정 선정시 주요 정보의 고려정도 43
<표 Ⅲ-16> 주체별 훈련기관 선정시 주요 정보의 고려정도 44
<표 Ⅲ-17> 주체별 훈련기관 특성 관련 정보의 수요 45
<표 Ⅲ-18> 주체별 훈련기관 교육훈련 능력 관련 정보의 수요 46
<표 Ⅲ-19> 정보수요주체별 훈련과정 특성 관련 정보의 수요 48
<표 Ⅲ-20> 주체별 훈련방식 관련 정보의 수요 49
<표 Ⅲ-21> 주체별 훈련과정의 비용, 효과, 모집관련 정보 수요 50
<표 Ⅲ-22> 주체별 훈련기관의 훈련능력 평가정보 수요 52
<표 Ⅲ-23> 주체별 훈련기관의 훈련실적 및 성과 평가정보 수요 53
<표 Ⅲ-24> 주체별 훈련기관의 경영 및 훈련생 관리 평가정보 수요 54
<표 Ⅲ-25> 주체별 훈련과정의 실적 및 성과 평가정보 수요 56
<표 Ⅲ-26> 주체별 훈련과정 개발 및 운영 평가정보 수요 57
<표 Ⅲ-27> 주체별 훈련내용 및 학습평가 관련 평가정보 수요 58
<표 Ⅲ-28> 주체별 훈련기관 지도점검 결과정보 수요 60
<표 Ⅲ-29> 주체별 각 직업훈련정보 범주의 정보수요도 종합분석 63
<표 Ⅳ-1> NHRD-Net의 정보영역과 기능 68
<표 Ⅳ-2> NHRD-Net 정보영역별 탑재 정보 69
<표 Ⅳ-3> 직업능력개발 훈련기관 유형 76
<표 Ⅳ-4> 주요 공공직업능력개발훈련 시설 76
<표 Ⅳ-5> 수요점수가 높은 훈련기관관련 정보항목 79
<표 Ⅳ-6 > 훈련기관 기초정보 영역의 세부 구성안 80
<표 Ⅳ-7> 수요점수가 높은 훈련기관평가 정보항목 81
<표 Ⅳ-8> 수요점수가 높은 훈련과정평가 정보항목 82
<표 Ⅳ-9> 훈련 기관 평가 영역과 평가항목 83
<표 Ⅳ-10> 훈련 과정 평가 영역과 평가항목 84
<표 Ⅳ-11 > 훈련기관 및 과정 평가정보 영역의 세부 구성안 86
<표 Ⅳ-12> 수요점수가 높은 훈련기관지도점검 정보항목 87
<표 Ⅳ-13> 수요점수가 높은 훈련과정 관련 정보항목 88
<표 Ⅳ-14 > 훈련생 정보영역의 세부 구성안 89
<표 Ⅳ-15> 훈련기관·과정 DB의 단계별 작업추진계획 94
[그림 Ⅲ-1] 정보사용주체별 직업훈련 관련 정보만족도 42
[그림 Ⅲ-2] 정보수요주체별 훈련기관 관련 정보 수요 47
[그림 Ⅲ-3] 정보수요주체별 직업훈련과정 관련 정보수요 51
[그림 Ⅲ-4] 정보수요주체별 직업훈련기관 평가관련 정보수요 55
[그림 Ⅲ-5] 정보수요주체별 훈련능력 평가 정보수요 59
[그림 Ⅳ-1] NHRD-Net의 구성과 훈련기관·과정 DB의 위상 67
[그림 Ⅳ-2] 직업훈련기관·과정 DB의 정보수요자 73
[그림 Ⅳ-3] 훈련기관·과정 DB의 구성 78
[그림 Ⅳ-4] 훈련기관·과정 DB 관련기관간의 협력체계 96
[그림 Ⅳ-5] 훈련기관·과정 DB와 관련 사업 간의 연계체계 98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직업훈련기관 및 훈련과정 DB 구축을 위한 기초 연구(Ⅰ) 2001.10.01~2001.12.30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