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기업의 인적자원개발 실태조사에 관한 기초연구

A Preliminary Study on the Current State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in Enterprises
저자
오영훈 장홍근 이동임
분류정보
기본연구(2001-50)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01.12.30
등록일
2001.12.30
연구 요약
Ⅰ. 연구 개요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내용 4
  3. 연구 방법 4
Ⅱ. 국내외의 사업장 조사 사례 5
  1. 국내 관련 연구 동향 5
  2. 영국의 WERS 6
  3. 캐나다의 WES 15
  4. 시사점 20
Ⅲ. 예비조사의 설계 21
  1. 예비조사 설계의 개요 21
  2. 예비 설문조사지의 개발 27
Ⅳ. 사업장의 인적자원개발 기초통계 분석 35
  1. 사업장의 일반 현황 35
  2. 인력수급 현황 40
  3. 인력개발 및 자격관리제도 54
  4. 인력개발 운영 체제 60
  5. 교육훈련 프로그램 운영 실태 69
  6. 종업원 능력개발제도 및 경력개발 실태 80
  7. 산·학 연계 활동 84
  8. 인력개발의 개선점 86
  9. 조사 결과의 요약 및 시사점 87
Ⅴ. 사업체 조사의 개선 방향 91
  1. 사업체 조사 방법의 개선 방향 91
  2. 예비조사 실시 상의 문제점 및 개선 방향 96
  3. 제언 102
참고문헌 103
ABSTRACT 105
[부록 1] 설문조사지 111
[부록 2] 설문조사 기초통계 분석표 141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가진다.
  첫째, 기업의 인적자원개발을 위한 교육훈련시장과 노동시장간의 연계에 대한 다양하고 심층적인 연구 수행에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시계열 자료(time-series data)의 개발 및 이를 바탕으로 한 DB 구축의 타당성을 고찰 하였다.
  둘째, 사업장의 변화 실태를 지속적으로 추적할 수 있는 데이터를 구축하기 위하여 패널조사(panel survey)을 포함하는 종단면조사(longitudinal survey) 방법 중에서 효과적인 조사 방법을 모색하였다.
This study has been performed to develop the time-series data that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diverse and deep study on the connection between the educational training market and labor market in order to develop human resource in enterprises. The study also aims to investigate the validity of DB construction based on the above time-series data and finally, the study seeks the longitudinal survey method needed to continu ou sly construct the data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in enterprises. The contents of the study related to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derives the current topics through the analysis of domestic tendency and foreign cases in relation with human resource development in enterprises.
 Second, in order to construct the data that is able to track continuously the changes in the place of business, the study verified the validity of
survey through a preliminary survey conducted by the persons in charge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and derived the problems in the process of the survey.
 Third, based on the result of the above survey, the study presents the survey method for the future and the improvement plan in carrying out the survey...
<표 Ⅲ- 1> 중소기업의 범위 22
<표 Ⅲ- 2> 고용보험 적용사업장 현황 24
<표 Ⅲ- 3> 고용보험DB 및 매경회사연감CD-롬의 사업체 관련 주요 내용 24
<표 Ⅲ- 4> 사업장 표집 결과 26
<표 Ⅲ- 5> 사업장 규모별 업종별 표집 결과 26
<표 Ⅲ- 6> 설문조사지 조사항목, 조사 내용 및 문항구성 32
<표 Ⅳ- 1> 지역별, 업종별 사업장 규모 35
<표 Ⅳ- 2> 사업장 규모별·업종별 종업원 현황 (2001년 10월 말 현재) 36
<표 Ⅳ- 3> 종업원 직종별 정규직 현황 (2001년 10월 말 현재) 38
<표 Ⅳ- 4> 정규직 종업원의 평균 근속년수(2001년 10월 말) 39
<표 Ⅳ- 5> 사업장 규모별 업종별 월 평균 이직률(2000년 12월 말 기준) 40
<표 Ⅳ- 6> 인력 채용 방법 41
<표 Ⅳ- 7> 사업장 규모별 인력 모집 방식(1순위) 43
<표 Ⅳ- 8> 업종별 인력 모집방식(1순위) 44
<표 Ⅳ- 9> 인력 선발시 고려요소 45
<표 Ⅳ-10> 사업장 규모별 인력수급 현황 46
<표 Ⅳ-11> 업종별 인력수급현황 47
<표 Ⅳ-12> 사업장 규모별 인력 충원이 어려운 이유 48
<표 Ⅳ-13> 업종별 인력 충원이 어려운 이유 49
<표 Ⅳ-14> 사업장 규모별 인력 충원 방법 50
<표 Ⅳ-15> 업종별 인력충원 방법 51
<표 Ⅳ-16> 사업장 규모별 기술생산공정의 변화에 따른 인력수요 전망 52
<표 Ⅳ-17> 업종별 기술생산공정의 변화에 따른 인력수요 전망 53
<표 Ⅳ-18> 사업장 규모별 향후 인력수요 증가시 충원 방법 53
<표 Ⅳ-19> 업종별 향후 인력 수요 증가시 충원 방법 54
<표 Ⅳ-20> 사업장 규모별 인력개발제도 55
<표 Ⅳ-21> 개인의 직무수행능력 지표 56
<표 Ⅳ-22> 자격증 취득자의 직무수행능력 정도 57
<표 Ⅳ-23> 자격증 소지 여부가 인사관리제도에 미치는 영향 57
<표 Ⅳ-24> 자격제도 운영 실태 58
<표 Ⅳ-25> 사내자격 도입에 대한 견해 58
<표 Ⅳ-26> 직능자격 도입에 대한 견해 59
<표 Ⅳ-27> 인적자원개발 인증제도 도입에 대한 견해 59
<표 Ⅳ-28> 인적자원개발 인증제도가 기업에 미치는 영향 59
<표 Ⅳ-29> 인적자원개발 인증제도 도입의 참여 저해 요인 60
<표 Ⅳ-30> 교육훈련 담당 부서 현황 61
<표 Ⅳ-31> 인력개발 담당자 수 및 평균 근속년수 61
<표 Ⅳ-32> 인력개발 담당자의 위치 61
<표 Ⅳ-33> 인력개발 담당 부서의 운영 형태 61
<표 Ⅳ-34> 인력개발 담당 부서 62
<표 Ⅳ-35> 노동조합 여부 63
<표 Ⅳ-36> 직원의 인력개발에 대한 노동조합의 참여 형태 63
<표 Ⅳ-37> 교육예산 편성기준 64
<표 Ⅳ-38> 2000년도 교육훈련 투자비용 65
<표 Ⅳ-39> 1999, 2000년도 직업훈련비 비교 65
<표 Ⅳ-40> '99 '00년도 교육훈련비 중 직업훈련비 비중 66
<표 Ⅳ-41> '00년 교육훈련비 직접비용 및 직업능력개발사업 환급액 66
<표 Ⅳ-42> 인력개발 체계 정도 67
<표 Ⅳ-43> 인력개발 추진의 애로점 68
<표 Ⅳ-44> 교육훈련 내용 선정시 의견 반영자 69
<표 Ⅳ-45> 교육훈련 대상자 선정시 의견 반영자 70
<표 Ⅳ-46> 중점 교육훈련 대상인력 70
<표 Ⅳ-47> 교육훈련 기관 선정시 고려사항 71
<표 Ⅳ-48> 사원이 갖춰야 할 소양 71
<표 Ⅳ-49> 2000년 교육훈련 실시 사업장 현황 72
<표 Ⅳ-50> 교육훈련실적 현황 (2000년 기준) 73
<표 Ⅳ-51> 교육훈련 프로그램별 실시 현황 74
<표 Ⅳ-52> 교육훈련과정별 교육훈련 대상 75
<표 Ⅳ-53> 교육훈련과정별 교육훈련 방법 75
<표 Ⅳ-54> 교육훈련과정별 교육훈련 장소 76
<표 Ⅳ-55> 교육훈련과정별 교육훈련 강사 77
<표 Ⅳ-56> 교육훈련 평가 실시 여부 77
<표 Ⅳ-57> 교육훈련 평가 방식 78
<표 Ⅳ-58> 교육훈련 효과 측정 수준 79
<표 Ⅳ-59> 교육훈련 평가 미실시 이유 79
<표 Ⅳ-60> 교육훈련 이수결과가 인사관리제도에 미치는 영향 정도 79
<표 Ⅳ-61> 정부의 교육훈련비 지원이 없을 경우의 교육훈련 실시 전망 80
<표 Ⅳ-62> 능력개발제도 실시 내용 81
<표 Ⅳ-63> 경력개발제도 도입 사업장 82
<표 Ⅳ-64> 경력개발제도 도입 목적 82
<표 Ⅳ-65> 경력개발 방법 83
<표 Ⅳ-66> 경력개발제도 도입·운영상의 문제점 83
<표 Ⅳ-67> 향후 종업원의 경력개발제도 도입의 필요성 83
<표 Ⅳ-68> 사업장의 산학 연계 교육훈련기관 85
<표 Ⅳ-69> 교육훈련기관별 산학 연계 프로그램 85
<표 Ⅳ-70> 산학 연계 사업의 이점 85
<표 Ⅳ-71> 산학 연계 사업 참여 의사 여부 86
<표 Ⅳ-72> 인력개발의 개선점 87
<표 Ⅴ- 1> 산업별 고용보험 적용사업장 소멸 현황 94
<표 Ⅴ- 2> 지역별 고용보험 적용사업장 소멸 현황 95
<표 Ⅴ- 3> 사업장 규모 고용보험 적용사업장 소멸 현황 95
<표 Ⅴ- 4> 실적 관련 개방형 질문의 결측률 99
[그림 Ⅱ-1] WERS 98의 설계 14
[그림 Ⅱ-2] 사업장조사의 내용과 피고용인 조사의 내용 및 결과의 연계 18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기업의 인적자원 실태조사에 관한 기초 연구 2001.10.01~2001.12.30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