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교육의 정보화 :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a Database System for Vocational Educaion
- 저자
- 신익현 김환식 심인선 오은진 전재식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01-51)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01.12.30
- 등록일
- 2001.12.30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 목적 및 내용 2 3. 연구의 방법 및 절차 4 4. 연구의 접근 틀 및 용어의 정의 5 5. 연구의 범위와 제한점 12 Ⅱ. 데이터베이스 구축의 이론적 배경 13 1. 데이터베이스 구축의 일반론 13 2. 데이터베이스 구축 사례 18 3. 직업교육 정보체제의 구축전략 31 Ⅲ. 직업교육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한 현황 및 요구조사 51 1. 조사 개요 51 2. 직업교육기관의 자료제공 현황 54 3. 직업교육기관에서의 데이터베이스 구축의 필요성 인식 66 4. 시사점 98 Ⅳ. 정보체제 구축에 있어서의 과제 101 1. ASP(Application Service Provider) 체제의 도입 101 2. 데이터베이스 구축관련 기타 신기술의 활용 114 3. 법·제도적 가능성 확보 122 4. 자료의 지속적 확보 129 5. 지원체계의 구축 132 참고문헌 135 Abstract 137 부록 143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열린교육과 평생직업교육 실현을 위한 커뮤니케이션 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정보시스템에 필요로 되는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기 위한 기반을 마련한다. 누구나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직업교육 관련 정보를 중심으로 하는 포탈사이트를 구축함으로써 최소의 비용으로 최대의 효과를 단기간에 구축할 수 있는 경제성을 실현하는 직업교육의 기반을 마련한다. 둘째, 분산된 직업교육자원의 통합과 관련 정보의 네트워크화를 목표로 한다. 지역별, 분야별로 분산되어 있는 직업교육자원을 통합하고, 새로운 직업 교육시스템의 표준화를 추구한다. 셋째, 사용자 편의를 고려한 시스템을 개발하고, 다양한 검색 조건부여 및 출력을 목표로 할 수 있는 기초 작업을 수행한다.
This study was to establish foundations for having a database on vocational education, with expectation that the database system provides high level information on vocational education and learning activities in vocational high schools and two or three year colleges to users such as students and parents, employers, teachers, and policy makers. Exchange of information among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standardization of data gathering and processing might be major resources for further development in the age of information . A network system, what is called an one-stop foundational mechanism, is to be the single but definite solution to utilize this information exchange and distribution mechanism in keeping high potential in human resources development. Based on these request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established as follows. First, the database should be established in communication space of information system in order to realize open learning and lifelong vocational education . A portal site should be made in relation to the distribution of those requested informations on vacational education to everyone who wants to have learning opportunities and develop her/ his vocational capabilities further. Second, an information system which will be useful in standardizing vocational education systems should be sought for by networking information resources scattered in various locations and in every sphere. Third, an information system should be developed in consideration of the final users' necessities and opportunism along with a diversified searching mechanism and an information retrieval system. The methods of this study were adopted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listed study objectives. they are domestic and foreign literature reviews, field surveys on vocation high schools and technical colleges, on regional school boards, and on enterprise...
<표 Ⅰ- 1> 연구의 세부 과업 영역 5 <표 Ⅱ- 1> 교육통계 연보 세부항목별 분류(직업교육기관 부분) 19 <표 Ⅱ- 2> KEDI 평생교육센터 데이터베이스의 구성 21 <표 Ⅱ- 3> 교육기관 데이터베이스의 세부항목 21 <표 Ⅱ- 4> 교·강사 데이터베이스의 세부항목 22 <표 Ⅱ- 5> 학습자를 위한 ALX 서비스 내용 26 <표 Ⅱ- 6> 고용주를 위한 ALX 서비스 내용 27 <표 Ⅱ- 7> 교육훈련제공자를 위한 ALX 서비스 내용 28 <표 Ⅲ- 1> 조사 대상자 및 표본수 51 <표 Ⅲ- 2> 실업계 고등학교 설문조사 항목 52 <표 Ⅲ- 3> 전문대학 설문조사 항목 53 <표 Ⅲ- 4> 접촉수와 회수율 54 <표 Ⅲ- 5> 실업계 고등학교에서의 교육기관 일반사항 관련정보의 제공 55 <표 Ⅲ- 6> 실업계 고등학교에서의 교육운영관련자료의 제공 56 <표 Ⅲ- 7> 실업계 고등학교에서의 졸업진로관련자료의 제공 56 <표 Ⅲ- 8> 실업계 고등학교에서의 교직원관련자료의 제공 57 <표 Ⅲ- 9> 실업계 고등학교에서의 학생관련자료의 제공 58 <표 Ⅲ-10> 실업계 고등학교에서의 교육비관련자료의 제공 59 <표 Ⅲ-11> 실업계 고등학교에서의 학교시설 및 기타 자료의 제공 60 <표 Ⅲ-12> 전문대학에서의 일반사항 관련정보의 제공 60 <표 Ⅲ-13> 전문대학에서의 교육운영관련자료의 제공 61 <표 Ⅲ-14> 전문대학에서의 교직원관련자료의 제공 62 <표 Ⅲ-15> 전문대학에서의 학생관련자료의 제공 63 <표 Ⅲ-16> 전문대학에서의 교육비관련자료의 제공 65 <표 Ⅲ-17> 전문대학 학교시설 및 기타 자료 제공기관 65 <표 Ⅲ-18> 실업계 고등학교의 홍보 필요성에 대한 반응 68 <표 Ⅲ-19> 전문대학의 홍보 필요성에 대한 반응 72 <표 Ⅲ-20> 실업계 고등학교 관련 행·재정지원 관련 정책 수립 자료로서의 필요성 인식(일반사항) 74 <표 Ⅲ-21> 실업계 고등학교 행·재정지원 관련 정책 수립 자료로서의 필요성 인식(학교시설 및 기타자료) 75 <표 Ⅲ-22> 시·도 교육청에서의 실업계 고등학교 데이터베이스의 필요성 인식(일반사항) 77 <표 Ⅲ-23> 시·도 교육청에서의 실업계 고등학교 데이터베이스의 필요성 인식(학교교육운영 관련자료) 79 <표 Ⅲ-24> 시·도 교육청에서의 실업계 고등학교 데이터베이스의 필요성 인식(졸업진로 관련자료) 80 <표 Ⅲ-25> 시·도 교육청에서의 실업계 고등학교 데이터베이스의 필요성 인식(교직원 관련자료) 82 <표 Ⅲ-26> 시·도 교육청에서의 실업계 고등학교 데이터베이스의 필요성 인식(학생 관련자료) 84 <표 Ⅲ-27> 시·도 교육청에서의 실업계 고등학교 데이터베이스의 필요성 인식(교육비 관련자료) 86 <표 Ⅲ-28> 시·도 교육청에서의 실업계 고등학교 데이터베이스의 필요성 인식(학교시설 및 기타 자료) 87 <표 Ⅲ-29> 실업계 고등학교의 진로선택 관련 데이터베이스 항목 89 <표 Ⅲ-30> 실업계 고등학교의 진로지도 관련 데이터베이스 항목 90 <표 Ⅲ-31> 전문대학 학생의 취업 및 진학 관련 데이터베이스 항목 91 <표 Ⅲ-32> 실업계 고등학교의 인력충원정보 관련 데이터베이스 항목 92 <표 Ⅲ-33> 전문대학의 인력충원정보 관련 데이터베이스 항목 94 <표 Ⅲ-34> 전문대학의 경쟁력 제고 관련 데이터베이스 항목 96 <표 Ⅳ- 1> ASP와 직업교육기관 자체 구축의 차이점 102 <표 Ⅳ- 2> XML의 활용범위 122 [그림 Ⅰ- 1] 직업교육 데이터베이스구축 연구대상으로서의 직업교육 정보체제의 위치 6 [그림 Ⅱ- 1] 직업교육 종합정보시스템(가칭) 개요 34 [그림 Ⅱ -2] KEDI 교육통계연보 데이터베이스 구축과정 36 [그림 Ⅱ- 3] ASP형태의 도입시 36 [그림 Ⅱ- 4]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내부적 운영 40 [그림 Ⅱ- 5] 운용 메타 데이터와 DSS 메타 데이터 42 [그림 Ⅱ- 6] 직업교육기관 데이터베이스 구성도 45 [그림 Ⅱ- 7] 직업교육 교원 데이터베이스 구성도 46 [그림 Ⅱ- 8] 직업교육 교원 데이터베이스 구성도 48 [그림 Ⅱ- 9] 학생 데이터베이스 구성도 50 [그림 Ⅳ- 1] 직업교육 정보체제의 개요 103 [그림 Ⅳ- 2] 입력부분 개요 104 [그림 Ⅳ- 3] 학생 영역 정보의 활용 107 [그림 Ⅳ- 4] 서비스를 통한 데이터(정보)의 흐름 114 [그림 Ⅳ- 5] 데이터웨어하우스의 구성요소 117 [그림 Ⅳ- 6] 데이터웨어하우스의 주요 활동 118 [그림 Ⅳ- 7] 데이터웨어하우스의 정보조회 형식 119 [그림 Ⅳ- 8] 직업교육 데이터베이스의 지속성 확보를 위한 역할도 131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직업교육의 정보화: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중심으로 | 2001.10.01~2001.12.30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