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인적자원개발을 위한 사립 실업고의 육성 방안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Human Resources in Private Vocational High Schools
저자
김용호 변은희 장동원 김숙이
분류정보
기본연구(2001-54)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01.12.31
등록일
2001.12.31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내용 3
  3. 연구 방법 및 절차 4
Ⅱ. 고등학교 단계에서의 인적자원개발의 역할 및 기능 9
  1. 실업계 고교의 환경 변화 9
  2. 국가인적자원개발의 필요성 17
  3. 국가인적자원개발에서 사립 실업계 고교의 발전 방향 21
Ⅲ. 사립 실업계 고교의 운영 실태 및 문제점 35
  1. 실업계 고교의 현황과 문제 35
  2. 사립 실업계 고교의 유형별 운영 사례 53
  3. 사립 실업계 고교의 운영 방향 65
Ⅳ. 사립 실업계 고교의 요구 분석 83
  1.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83
  2. 학교 체제 변화 84
  3. 정부 정책 방향 92
  4. 교원 관리와 수급 98
  5. 산학 연계 105
  6. 종합적 시사점 112
Ⅴ. 사립 실업계 고교의 육성 대책 및 실천 방안 115
  1. HRD를 위한 사립 실업계 고교의 발전 모형 115
  2. 사립 실업계 고교의 육성 대책 119
  3. 사립 실업계 고교 육성을 위한 실천 방안 125
  4. 변혁적인 직업진로교육 체계의 도입 132
Ⅵ. 결론 및 제언 135
  1. 결론 135
  2. 제언: 사립 실업계 고교 육성을 위한 정책 방안 136
참고문헌 141
ABSTRACT 147
부 록 151
  1. 방문 면담지 151
  2. 의견 조사서 156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목적을 설정하였다.
  첫째, 고등학교 단계에서 인적자원개발의 역할 및 기능을 분석한다.
  둘째, 인적자원개발을 위한 실업계 고교의 환경 변인을 고찰한다.
  셋째, 최근 정부에서 추진 중인 국가인적자원 개발 사업의 내용과 사립 실업계 고교와의 연관성을 고찰한다.
  넷째, 인적자원개발을 위한 사립 실업계 고교의 운영 체제와 방안을 모색한다.
  다섯째, 인적자원개발을 위한 사립 실업계 고교의 육성 대책을 마련한다.
  여섯째, 인적자원개발을 위한 사립 실업계 고교의 실천 방안을 제시한다.
Private vocational high schools comprise a big portion of upper secondary education . However, they are operated the same way as public vocational high schools and have not received much support from the govern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the directions and possible alternatives in the context of the national human resources development(NHRD). The specific objectives were (1) to analyze the present state of private vocational high schools, (2) to figure out the needs for them, (3) to provide the directions of the improvement programs, and (4) to suggest necessary policies and realistic measures.
 Various research methods such as literature review, panel of expert committee, field study, and survey were employed to achieve the above
objectives.
 The suggestions to enhance the quality of private vocational high schools were as follows:
 1) Aspects outside of private vocational schools
 First, it is desirable to set the educational goals in the direction of both going to college and getting jobs. This means that the administrative system needs to be diversified to accomodate the different educational functions.
 Second, a skilled workforce is one of the fundamental elements of social development, and thus training should be supported by the government. If students are forced to pay the cost of vocational education by themselves, the quality of vocational education is likely to get wors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more support from the public sector is needed.
 Third, the improvement plans should be based on the idea of strengthening autonomy of private vocational high schools. Therefore, private vocational high schools should be allowed to have various forms. This does not necessarily mean every private vocational high school needs to be transformed into an specialized high school. Each school just needs to be supported in accordance with its own educational goals.
 Fourth, private vocational high schools consider community colleges the most suitable institution for vertical linkage and cooperation .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for the development of vocational high schools to integrate the curricula of the two educational institutions.
 Fifth, education at private vocational high schools is a main part of public education . Thus, greater governmental support should be provided...
<표 Ⅰ-1> 시·도별 설문 회수 현황 7
<표 Ⅰ-2> 설문의 구성 내용 7
<표 Ⅱ-1> 한국형 지식기반산업 11
<표 Ⅱ-2> 산업별 취업자 수 전망 12
<표 Ⅱ-3> 직업 중분류별 취업자 수 전망 13
<표 Ⅱ-4> 학교급별 학령인구 추이 16
<표 Ⅱ-5> 대학 정원과 진학률 17
<표 Ⅱ-6>「국가인적자원개발정책보고서」에서 실업계 고교와 관련 내용 24
<표 Ⅱ-7> 1995-2000년 교육예산 중 직업예산 구성 변화 추이 26
<표 Ⅱ-8> 실업계 고등학교 성격 규정과 관련된 논의사항 비교 29
<표 Ⅱ-9> 실업계 고등학교 졸업자의 계열별 수요 전망 31
<표 Ⅱ-10> 우리 나라 직업기초능력의 영역과 하위 요소 32
<표 Ⅲ-1> 실업계 고교 학교 수의 변화 36
<표 Ⅲ-2> 실업계 고교 학생 수의 변화 37
<표 Ⅲ-3> 실업계 고교의 설립별 학교 수 38
<표 Ⅲ-4> 지역별 실업계 고교의 학교 수 38
<표 Ⅲ-5> 계열별 사립 실업계 고교의 지역 분포 현황 39
<표 Ⅲ-6> 실업계 고교 입학 정원 미달 현황 40
<표 Ⅲ-7> 시도별 특성화 고교 설치 현황 41
<표 Ⅲ-8> 계열별 특성화 고교 설치 현황 41
<표 Ⅲ-9> 통합형 고교 시범 운영 추진 현황 43
<표 Ⅲ-10> 교육과정 자율운영 선정 학교 현황 44
<표 Ⅲ-11> 연계교육 참여 현황 45
<표 Ⅲ-12> 취업률 및 진학률의 변화 추이 47
<표 Ⅲ-13> 직업 계열별 고용 비중 추이 47
<표 Ⅲ-14> 실업계 고교 실험·실습 기자재 확보 현황 52
<표 Ⅲ-15> ○○공업고등학교 전자과 교육과정 54
<표 Ⅲ-16> ○○여정보산업고등학교 정보처리과 교육과정 58
<표 Ⅲ-17> ○○자동차고등학교 자동차과 교육과정 60
<표 Ⅲ-18> ○○정보통신고등학교 네트워크 디자인과 교육과정 63
<표 Ⅲ-19> 서울지역 일부 상업계 고교 지원 현황 68
<표 Ⅲ-20> 실업계 학교의 학생 변동률 69
<표 Ⅲ-21> 사립 실업계 여학생의 변동률 70
<표 Ⅲ-22> 은곡공고의 평생교육학습장 운영 현황 74
<표 Ⅳ-1>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84
<표 Ⅳ-2> 학교 위기 타개 방향 87
<표 Ⅳ-3> 교육 대상 확대 방안 89
<표 Ⅳ-4> 지역 학습 센터로의 활용 방안 91
<표 Ⅳ-5> 정부의 정책 방향 94
<표 Ⅳ-6> 정부 정책 방향의 주안점 97
<표 Ⅳ-7> 가장 심각한 교원 문제 100
<표 Ⅳ-8> 과원교사 문제 해결 방안 102
<표 Ⅳ-9> 교사 부족 문제 해결 방안 104
<표 Ⅳ-10> 실업계 고교의 연계 방안 107
<표 Ⅳ-11> 산업체와의 연계 필요 분야 109
<표 Ⅳ-12> 산학 연계를 위한 정부 지원 내용 111
<표 Ⅴ-1>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신입생 집체교육 수업 시간표 121
〔그림 Ⅱ-1〕OECD 국가의 숙련 수준별 연평균 취업 증가율 10
〔그림 Ⅴ-1〕실업계 고교에서의 HRD전략 모형 117
〔그림 Ⅴ-2〕사립 실업계 고교의 HRD를 위한 재구조화 과정 118
〔그림 Ⅴ-3〕사학의 직업교육 진로체계 탐색도 134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수시 인적자원개발을 위한 사립 실업고의 육성 방안 연구 2001.08.03~2001.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