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교육훈련 학습환경 변화에 따른 모듈식 교재 체제 개발
The development of module-type educational material system on changes occurring in the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environment
- 저자
- 김선태 김종우 정향진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01-33)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01.12.31
- 등록일
- 2001.12.31
연구요약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의 내용 3 3. 연구의 방법 및 절차 3 Ⅱ. 학습환경 변화와 학습자 특성 9 1. 직업교육훈련 학습환경 변화 9 2. 실업계 고등학교 및 전문대학 학생들의 학습자 특성 14 3. 시사점 44 Ⅲ. 모듈식 교재 개발 실태 및 요구 분석 47 1. 모듈식 교재 개발 모형 탐색 47 2. 국내외 모듈식 교재 개발 실태 분석 50 3. 교재 개발에 대한 학습자 요구 분석 68 4. 교재 개발에 대한 교수자 요구 분석 73 5. 시사점 79 Ⅳ. 모듈식 교재 체제 개발 및 적용 사례 83 1. 모듈식 교재 개발의 방향 83 2. 직업교육훈련 학습환경에 적합한 모듈식 교재 체제 86 3. 개발된 모듈식 교재 체제의 특징 89 4. 편집디자인 시스템 적용 사례 91 Ⅴ. 요약 및 제언 101 1. 요 약 101 2. 제 언 107 참 고 문 헌 109 Abstract 111 부 록 117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자들의 자율적 학습체제를 구현할 수 있는 모듈식 교재체제를 개발하고 적용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목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교육훈련 환경변화에 적합한 학습자들의 학습 유형과 실업계 고등학교 및 전문대학 학생들의 학습자 특성을 분석한다. 둘째, 실업계 고등학교 및 전문대학 학생, 교사, 교수들의 교재 개발에 대한 요구, 모듈식 교재의 특성 및 교재 개발의 실태를 분석한다. 셋째, 앞의 분석을 토대로 교재 개발 방향을 설정하고, 교재의 체제를 구안한다. 넷째, 개발된 교재의 체제, 구성 요소, 전개 방식에 적합한 편집디자인 체제를 개발하고, 적용사례를 제시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module-type educational material system that can create an autonomous learning system for learners at a time when a new learning format is required due to changes occurring in the vocational education environment. In order to accomplish the objectives of the study, the following purposes of the study were established in detail: First, an analysis on the appropriate learning patterns for learners facing changes in the vocational education environment and on the characteristics of learners at vocational high schools and junior colleges was carried out. Second, an analysis on the requirements of students, teachers and professors at vocational high schools and junior colleges in developing educational materials, characteristics of module-type educational materials, and status of educational material development was conducted. Third, the future direction for developing educational materials based on the above analysis is to be set and an educational material system is to be designed. Fourth, an editorial design structure appropriate for the newly developed educational material system, components, and implementation methods is to be developed and applied. The methods us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analysis on the changes in the vocational education environment, actual state of learners at vocational high schools and junior colleges, analysis of documents and materials for a theoretical examination of the editorial design structure, analysis of characteristics of learners at vocational high schools and junior colleges and requirements with regard to the material development, and a survey conducted to analyze requirements of teachers at vocational high schools and professors at junior colleges concerning material development. A conference was also held to listen to the opinions of professors and experts working in the field on the newly developed modular material system. A variety of opinions was collected through seminars. ...
<표Ⅰ-1> 설문 조사 대상별 회수 현황 4 <표Ⅰ-2> 실고 및 전문대학 학생용 설문지 주요 내용 5 <표Ⅰ-3> 실고 교사 및 전문대학 교수용 설문지의 주요 내용 6 <표 Ⅱ-1> 일반적으로 가장 잘 기억되는 학습 양식 15 <표 Ⅱ-2> 일반적으로 가장 잘 배워지는 학습 양식 16 <표 Ⅱ-3>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심리적 특성에 대한 교사 반응 17 <표 Ⅱ-4> 전반적인 전공 학습 태도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 17 <표 Ⅱ-5>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기초수학능력에 대한 인식 19 <표 Ⅱ-6> 전공 교과서에 대한 항목별 반응 정도 20 <표 Ⅱ-7> 선수학습 진단 여부 20 <표 Ⅱ-8> 전공과목의 중점 지도 내용 21 <표 Ⅱ-9> 교수-학습 지도안 작성 단위 21 <표 Ⅱ-10> 학생들의 전공 과목 수업 시간 집중률 22 <표 Ⅱ-11> 전공 과목의 과제 부여 형태 22 <표 Ⅱ-11-1> 과제를 부여하는 경우 학생들이 제출한 과제의 수준 23 <표 Ⅱ-12> 전공과목의 이론 수업 형태 23 <표 Ⅱ-13> 전공 과목 실험·실습 기자재 보유 수준 24 <표 Ⅱ-14> 수업 형태별 선호하는 교수 방법(중복응답) 24 <표 Ⅱ-15> 선호하는 선수 학습 진단 시기 25 <표 Ⅱ-16> 전공과목 수업 시 가장 흥미 있는 내용 26 <표 Ⅱ-17> 수업시간의 학습량 과다 여부 26 <표 Ⅱ-18> 전공 과목 수업 내용의 이해 정도 27 <표 Ⅱ-19> 선호하는 과제 형태 27 <표 Ⅱ-20> 담당 교사의 교수 능력에 대한 항목별 반응 정도 28 <표 Ⅱ-21> 전공과목의 이론 수업 형태 28 <표 Ⅱ-22> 수업 형태별 선호하는 교수 방법(중복응답) 29 <표 Ⅱ-23> 일반적으로 가장 잘 기억되는 학습 양식 30 <표 Ⅱ-24> 일반적으로 가장 잘 배워지는 학습 양식 31 <표 Ⅱ-25> 전문대학 학생들의 심리적 특성에 대한 교수들의 반응 32 <표 Ⅱ-26> 전반적인 전공 학습 태도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 32 <표 Ⅱ-27> 전문대학 학생들의 기초수학능력에 대한 인식 33 <표 Ⅱ-28> 전공 과목에 대한 항목별 반응 정도 34 <표 Ⅱ-29> 선수학습 진단 여부 35 <표 Ⅱ-30> 전공과목의 중점 지도 내용 35 <표 Ⅱ-31> 교수-학습 지도안 작성 단위 36 <표 Ⅱ-32> 학생들의 전공 과목 수업 시간 집중률 36 <표 Ⅱ-33> 전공 과목의 과제 부여 여부 37 <표 Ⅱ-33-1> 과제를 부여하는 경우 학생들이 제출한 과제의 수준 37 <표 Ⅱ-34> 전공과목의 이론 수업 형태 38 <표 Ⅱ-35> 전공 과목 실험·실습 기자재 보유 수준 38 <표 Ⅱ-36> 수업 형태별 교수가 선호하는 교수 방법(중복응답) 39 <표 Ⅱ-37> 선호하는 선수 학습 진단 시기 40 <표 Ⅱ-38> 전공과목 수업 시 가장 흥미 있는 내용 40 <표 Ⅱ-39> 수업시간의 학습량 과다 여부 41 <표 Ⅱ-40> 전공 과목 수업 내용의 이해 정도 41 <표 Ⅱ-41> 선호하는 과제 부여 형태 42 <표 Ⅱ-42> 전공과목 담당 교수의 교수 능력에 대한 항목별 반응 정도 42 <표 Ⅱ-43> 전공과목의 이론 수업 형태 43 <표 Ⅱ-44> 수업 형태별 선호하는 교수 방법(중복응답) 43 <표 Ⅲ-1> 외국 모듈 모형의 구성 요소 비교 52 <표 Ⅲ-2> 분석 대상 교재 53 <표 Ⅲ-3> 분석 틀 54 <표 Ⅲ-4> 실업계 고등학교 모듈식 교재 및 일반적 실습 교재 55 <표 Ⅲ-5> 실업계 고등학교 모듈식 교재 : 건축 목공 기초 분석 56 <표 Ⅲ-6> 실업계 고등학교 일반적 실습 교재 : 차 재배 기술 57 <표 Ⅲ-7> 전문대학 모듈식 교재 및 일반 실습 교재 58 <표 Ⅲ-8> 전문대학 모듈식 교재 : 노선 공사 시험1 59 <표 Ⅲ-9> 전문대학 일반적 실습 교재 : 플라워 디자인 61 <표 Ⅲ-10> 외국 모듈식 교재 및 일반 실습 교재 62 <표 Ⅲ-11> 외국 모듈식 교재 : 추수활동 63 <표 Ⅲ-12> 외국 일반적 실습 교재 : 新技術·家庭64 <표 Ⅲ-13> 전공 과목의 교과서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68 <표 Ⅲ-14> 전공 수업 시간에 사용하는 교재의 종류 69 <표 Ⅲ-15> 전공 수업 시 교과서 지참 여부 70 <표 Ⅲ-16> 교과서 분책에 대한 선호 형태 70 <표 Ⅲ-17> 전공 과목의 교재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71 <표 Ⅲ-18> 전공 수업 시간에 사용하는 교재의 종류 72 <표 Ⅲ-19> 전공 수업 시 교재 지참 여부 72 <표 Ⅲ-20> 선호하는 교재 분책 형태 73 <표 Ⅲ-21> 전공 수업 시간에 사용하는 교재 74 <표 Ⅲ-22> 전공 과목의 교과서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74 <표 Ⅲ-23> 전공 수업시간에 교과서를 지참하는 학생 비율 75 <표 Ⅲ-24> 전공 수업 시 주 교재로 교과서 사용 여부 76 <표 Ⅲ-25> 전공 수업 시간에 사용하는 교재의 구성 76 <표 Ⅲ-26> 전공 과목의 교과서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77 <표 Ⅲ-27> 전공 수업시간에 교재를 지참하는 학생 비율 78 <표 Ⅲ-28> 전공 수업 시 교재를 주된 내용으로 사용하는지 여부 79 <표 Ⅳ-1> 모듈식 교재의 구성 요소 및 전개 방식 87 [그림Ⅰ-1] 연구의 절차 및 개념도 8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직업교육훈련 학습환경변화에 따른 모듈식 교재체제 개발 | 2001.02.01~2001.12.31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