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청년층 교육·고용 패널자료 구축사업 (Ⅱ)

The Longitudinal Survey of School-to-Work in Korea(II)
저자
김해동 강석훈 김경근 김태홍 윤연옥 이상준 김병우 김상호
분류정보
기본사업(2001-03)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01.12.31
등록일
2001.12.31
I. 서론 1
  1. 패널 조사의 필요성 2
  2. 패널 조사의 장점과 단점 9
  3. 패널 조사연구의 정책적 기여 11
II. 패널 조사의 기본 방향 15
  1. 조사의 기본 방향 15
  2. 조사내용과 원칙 18
  3. 조사방법의 원칙 22
III. 표본추출과 가중치 25
  1. 표본추출의 기본 방향 25
  2. 대상별 표본 추출방법 30
IV. 패널조사 설문내용 53
  1. 교육관련 설문조사항목과 내용 53
  2. 노동관련 설문조사항목과 내용 76
V. 조사자료의 활용방안 및 관리방안 89
  1. 자료의 활용방안 89
  2. 응답자 관리방안 91
VI. 예비조사의 방향성 및 주요 점검 내용 97
  1. 예비조사의 목적 97
  2. 조사중점내용 97
  3. 조사방법 99
  4. 조사에서 나타난 문제점 101
  5. 본 조사에 대한 시사점 104
VII. 조사의 한계 및 요약 107
  1. 표본의 한계 107
  2. 조사방법의 한계 107
  3. 응답자 관리의 한계 108
  4. 연구환경의 한계 109
  5. 요약 110
VIII. 참고문헌 111
ABSTRACT 113
부록(설문지) 115
  본 연구는 청년층 교육훈련 패널 조사의 기초적인 밑그림을 제시했던 2000년도 사업의 후속사업으로서 1차 년도 사업에서 제시하지 못했던 보다 자세한 내용을 담고자 하며 특히, 구체적인 표본추출방법을 통한 표본 추출과 조사에 필요한 조사항목을 제시하고자 하며 아울러 본 조사의 원칙과 이후 사업에 필요한 구체적인 내용을 살펴보고자 함
 The essence of Longitu dinal data is that the same people are surveyed on a regular basis over time. By surveying the same young people overtime it is possible to build an un derstanding of the chan ges taking place in their lives- and the ways that previous achievement and experience influence what is happening to them now. Besides Longitu dinal data provide the means to un derstand complex and dynamic processes. Factors influencing transitions can be explored, compared and evaluated thu s further enhancing understanding of the mechanism that may facilitate a smoother transition from schooling to the labour market.
 This survey can a key requirement for analysing young people' s transition processes and outcomes, and evalu ating the impact of different educational policy framework in Korea.
 Most labour-market survey and national educational surveys cover only transitions from the point when people leave education, but our survey review proposed that a stu dy of transitions begin when educational pathways begin to diverge the age of 15-29 years. Because transition from education to work can no longer be thought of as a single event but is now more appropriately seen as a sequence of transition between a variety of statuses and combinations of statuses.
 This study cohort age of 15-29 makes for a natural beginning for the stu dy of school-to-work transition . This is an age at which youth begins to make key decisions that will affect their long term educational and solve to problems of labour markets in Korea.
 This study consists of seven section . This ch1 section, introduction, outlines the broad aims and need of the stu dy. The ch2 section, general approach methods for survey, ch3 section provides introduction to sample frame method and weightin g. ch4 contains educational an d labour market questionnaire and account for establishment of qu estionnaire. ch5 proposed the practical use and management of data. ch6 and ch7 is the limitation of study and the main contents of pilot survey for study.
<표 II-1> 조사의 기본내용 19
<표 III-1> 2000년도 지역별 학교수 29
<표 III-3> 16개 시도별 학교수 및 학생수 분포 31
<표 III-4> 6개 권역별 학생수 및 학교수 분포 32
<표 III-5> 시도별 표본학교수 33
<표 III-6> 중학교 학급수에 따른 표본학급 번호 및 학생수 34
<표 III-7> 16개 시도별 일반계 고등학교 학교수 및 학생수 분포 35
<표 III-8> 6개 권역별 일반계 고등학교 학생수 및 학교수 분포 36
<표 III-9> 시도별 표본학교수 36
<표 III-10> 학급수에 따른 일반계고등학교 표본학급 번호 및 학생수 37
<표 III-11> 16개 시도별 실업계 고등학교 학교수 및 학생수 분포 38
<표 III-12> 6개 권역별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수 및 학교수 분포 39
<표 III-13> 실업고 특성별 분포 40
<표 III-15> 계열별 표본학교수 41
<표 III-16> 시도별 전문대 학교 및 학생수 분포 43
<표 III-17> 권역별 전문대 학교 및 학생수 분포 44
<표 III-18> 대계열별 전문대 학과수 및 학생수 분포 44
<표 III-19> 소계열별 전문대 학과수 및 학생수 분포 45
<표 III-20> 권역별 지역코드 46
<표 III-21> 전문대표본의 시도별 분포 46
<표 III-22> 전문대표본 대계열별 학과수 46
<표 III-23> 전문대표본 소계열별 학과수 47
<표 IV-1> 학교-노동시장 이행에 관한 이론과 실증적 분석이 필요한 내용 80
<표 IV-2> 청년패널의 조사항목(안) 87
<표 V-1> 국내외 패널 조사시 보상방법 94
【그림 II-1】진학/ 취업 결정기제에 대한 개념적 분석틀 16
【그림 IV-1 】청년층 패널 조사의 주요 조사내용 81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청년층 교육훈련 패널자료 구축 사업(Ⅱ) 2001.02.01~2001.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