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기업내 직업능력개발 담당자 지원 방안

Enhancing the Expertise of HRD Practitioners and Establishing a Supportive Environment for HRD
저자
주용국 홍선이
분류정보
기본연구(2002-01)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02.05.31
등록일
2002.05.31
연구요약
I.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목적과 내용 1
    가. 연구의 필요성 1
    나. 연구의 목적과 내용 2
  2. 연구의 구성 4
  3. 연구의 제한점 6
  4. 용어의 정의 7
Ⅱ. 직업능력개발과 담당자의 현상과 과제 9
  1. 직업능력개발의 의미와 방향성 9
    가. 직업능력개발의 의미 9
    나. 직업능력개발의 환경 변화 13
  2. 직업능력개발 담당자의 역할과 역량 14
    가. 직업능력개발 담당자의 필요성 14
    나. 직업능력개발 담당의 주체 15
    다. 직업능력개발 담당자의 역할 17
    라. 직업능력개발 담당자의 역량 21
    마. 직업능력개발 담당자의 전문성 육성 26
  3. 직업능력개발의 문제점과 과제 30
    가. 한국직업능력개발의 문제점 30
    나. 직업능력개발의 과제 37
III. 조사의 설계 43
  1. 조사 모형 43
  2. 조사 방법 44
    가. 설문조사 44
    나. 면담조사 50
    다. 전문가 협의회와 내부 간담회 51
Ⅳ. 직업능력개발 담당자의 전문성, 업무 지원환경의 실태와 요구 조사 결과 53
  1. 직업능력개발담당자 설문조사 결과 53
    가. 설문응답기업의 특성 53
    나. 직업능력개발 담당자 전문성 현황 및 지원 실태 55
    다. 저량(stock) 측면에서 본 직업능력개발 담당자 실태와 요구: 업무특성, 역할과 역량 61
    라. 유량(채용-육성-활용)측면에서 직업능력개발 담당자 실태 78
    마. 업무 지원환경측면에서 본 직업능력개발의 실태 88
    바. 직업능력개발 성과 측면에서 본 실태 92
    사. 직업능력개발담당자 전문성 및 업무 지원환경의 요구 103
  2. 직업능력개발담당자 및 전문가 면담 및 전문가협의회 결과 110
    가. 심층면담참가자의 특성과 현황 110
    나. 심층면담 참가기업의 전문가 및 담당자 현황 111
    다. 면담 결과 112
  3. 조사결과의 함의 136
    가. 직업능력개발의 방향성 136
    나. 직업능력개발의 문제점과 과제 137
    다. 기업내 직업능력개발담당자의 인원, 구성, 업무 특성, 역할 및 요구역량 (저량 측면) 138
    라. 직업능력개발 담당자의 채용-양성-개발-활용 및 관리단계-결과(유량 측면) 141
    마. 직업능력개발 담당자의 성과 143
    바. 전문성 지원 및 업무환경 강화 방안 144
Ⅴ. 직업능력개발 담당자 지원 방안 147
  1. 지원 방안의 기준과 방향성 설정 147
  2. 직업능력개발 담당자의 전문성 지원 방안 148
    가. 저량측면에서의 담당자 지원 방안: 조직형태, 직무특성, 역할 및 역량 149
    나. 직업능력개발 담당자의 채용-육성 및 개발-활용 유량(flow) 프로세스의 체계화 151
    다. 직업능력개발업무의 지원환경 구축 155
Ⅵ. 결 론 157
  1. 연구의 개요 157
  2. 연구결과의 요약 157
    가. 직업능력개발의 추세와 문제 157
    나. 직업능력개발 담당자의 저량(stock): 조직형태, 직무특성, 역할과 역량 158
    다. 직업능력개발 담당자의 유량(flow): 채용, 육성과 개발, 활용 159
    라. 업무지원환경 159
    마. 직업능력개발 성과 160
    바. 담당자 전문성 및 업무환경 지원방안 요구 160
  3. 전문성 지원 및 업무환경 강화 방안 161
    가. 지원 방안의 기준과 방향성 설정 161
    나. 지원 방안 162
  4. 맺는 말 163
참고문헌 167
ABSTRACT 171
[부록1] 설문지 175
[부록2] 인터뷰 매뉴얼 191
  본 연구의 결과는 직업능력개발 담당자의 업무 전문성 개발과 업무지원환경을 강화하는데 필요한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직업능력개발담당자에게는 체계적으로 전문성 개발과 경력관리 방안을 제공해 주고, 경영주에게는 기업의 인적자원 역량 강화를 위한 기반 구축에 대한 시각을 제공해 주며, 정부의 직업능력개발 부처에는 직업능력개발 정책의 효과적인 시행을 촉진하기 위한 정책 및 제도의 기초자료로 활용하는데 유익할 것이다.
  There is a growing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HRD) practitioners as the strategic player for developing competent employees that are the ultimate source of sustainable competitive advantage in a global business environment.
  Yet, over 40% of companies do not have any HRD practitioners and the awareness and support given to this important HRD function is still quite low. In addition, a large majority of the practitioners consider their HRD position a temporary marginalized one to fill for two or three years.
  Therefore, HRD practitioners lack the opportunity of developing any expertise needed for the position . Moreover, HRD may become something that is nice to do or a waste of business resources.
  This phenomenon results in hindering the development of competent and adaptable employees and a company's growth .
  This research seeks to find solutions to these problems through the search for methods to improve the expertise of human resource practitioners within companies. Furthermore, this research strives to find ways to develop effective job support environments within companies. In this vein, research was carried out on : the HRD concept, ways to improve the expertise of practitioners of human resources as well as on the establishment of job support environments. In addition, in depth interviews and surveys of experts as well as practitioners in charge of HRD were conducted.
...
<표 Ⅱ- 1 > 직업능력개발 담당자의 역할 18
<표 Ⅱ- 2 > 직업능력개발 담당자의 역할 변화 19
<표 Ⅱ- 3 > 인적자원관리 및 개발 프로세스에서의 역량모델의 이점 22
<표 Ⅱ- 4 > 직업능력개발 담당자의 역량 23
<표 Ⅱ- 5 > 직업능력개발 담당자의 역할과 필요역량 대응관계 24
<표 Ⅱ- 6 > 미국내 HRD 대학원의 핵심/ 필수 교육과정 내용 29
<표 Ⅲ- 1 > 설문조사 영역과 세부문항 내용 48
<표 Ⅳ- 1 > 설문응답자의 일반사항 54
<표 Ⅳ- 2 > 직업능력개발 업무 전임 담당자(조직) 및 겸임 인력 유무 55
<표 Ⅳ- 3 > 조직규모별 직업능력개발 담당자 인력 유무 56
<표 Ⅳ- 4 > 조직규모별 직업능력개발담당자의 조직 실태 56
<표 Ⅳ- 5 > 직업능력개발 담당자가 없는 이유 57
<표 Ⅳ- 6 > 조직규모별 담당자가 없는 이유의 교차 분석 57
<표 Ⅳ- 7 > 직업능력개발 조직 (담당자) 형태 58
<표 Ⅳ- 8 > 직업능력개발 담당자 수 및 직업능력개발 업무 근속년수 58
<표 Ⅳ- 9 > 조직규모별 직업능력개발 담당자수 59
<표 Ⅳ-10> 분산분석 (담당자수 * 조직규모) 59
<표 Ⅳ-11> 조직형태별 직업능력개발 담당자수 59
<표 Ⅳ-12> 분산분석 (담당자수 * 조직형태) 60
<표 Ⅳ-13> 조직규모별 평균 근속 년수 60
<표 Ⅳ-14> 분산분석 (평균근속년수 * 조직규모) 60
<표 Ⅳ-15> 조직형태별 평균근속년수 61
<표 Ⅳ-16> 분산분석 (평균근속년수 * 조직형태) 61
<표 Ⅳ-17> 조직형태별 직업능력개발 업무 특성의 인식 62
<표 Ⅳ-18> 분산분석 (직업능력개발 업무 특성 * 조직형태) 63
<표 Ⅳ-19> 조직규모별 직업능력개발 업무 특성 63
<표 Ⅳ-20> 분산분석 (직업능력개발 업무 특성 * 조직규모) 64
<표 Ⅳ-21> 직업능력개발 담당자(조직)의 역할 (현재수행도와 미래중요도) 66
<표 Ⅳ-22> 직업능력개발 담당자 (조직)의 역량 (전체) 68
<표 Ⅳ-23> 미래중요도에서 본 역량 비교 70
<표 Ⅳ-24> 기업규모별 현재의 역량중요도, 미래중요도, 현재와 미래의 차이분석표 72
<표 Ⅳ-25> 직업능력개발 담당자(조직)의 역량(조직규모 49인이하) 73
<표 Ⅳ-26> 직업능력개발 담당자(조직)의 역량(조직규모 50~299인) 74
<표 Ⅳ-27> 직업능력개발 담당자(조직)의 역량(조직규모 300~999인) 75
<표 Ⅳ-28> 직업능력개발 담당자(조직)의 역량(조직규모 1000~4999인) 76
<표 Ⅳ-29> 직업능력개발 담당자(조직)의 역량(조직규모 5000인 이상) 77
<표 Ⅳ-30> 직업능력개발 담당자의 채용·선임-경력유무 78
<표 Ⅳ-31> 조직형태별 직업능력개발담당자의 채용·선임-경력유무 79
<표 Ⅳ-32> 조직규모별 직업능력개발 담당자의 채용·선임-경력유무 79
<표 Ⅳ-33> 직업능력개발 담당자의 채용·선임-희망 및 전공 유무 80
<표 Ⅳ-34> 직업능력개발 담당자의 채용·선임-희망 및 전공 유무 81
<표 Ⅳ-35> 직업능력개발 담당자의 채용·선임-희망 및 전공 유무 81
<표 Ⅳ-36> 직업능력개발 담당자의 전문성 현황 83
<표 Ⅳ-37> 조직형태별 직업능력개발 담당자의 전문성 84
<표 Ⅳ-38> 조직규모별 직업능력개발 담당자의 전문성 85
<표 Ⅳ-39> 직업능력개발 담당자의 경력 활용 방안 86
<표 Ⅳ-40> 조직형태별 직업능력개발 담당자의 경력 활용 방안 87
<표 Ⅳ-41> 조직규모별 직업능력개발 담당자의 경력 활용 방안 87
<표 Ⅳ-42> 조직규모별 직업능력개발 관련 업무 환경 89
<표 Ⅳ-43> 분산분석 (업무환경 * 조직규모) 90
<표 Ⅳ-44> 조직형태별 직업능력개발 관련 업무 환경 91
<표 Ⅳ-45> 분산분석 (지원환경 * 조직형태) 92
<표 Ⅳ-46> 직업능력개발 담당자의 성과 93
<표 Ⅳ-47> 조직규모별 직업능력개발 담당자의 전체 성과평균 93
<표 Ⅳ-48> 분산분석 (성과 * 조직규모) 94
<표 Ⅳ-49> 조직규모별 직업능력개발 담당자의 성과 94
<표 Ⅳ-50> 분산분석 (성과 * 조직규모) 95
<표 Ⅳ-51> 조직형태별 직업능력개발 담당자의 성과 96
<표 Ⅳ-52> 분산분석 (성과 * 조직형태) 96
<표 Ⅳ-53> 조직형태별 직업능력개발 담당자의 성과 97
<표 Ⅳ-54> 분산분석 (성과 * 조직형태) 98
<표 Ⅳ-55> 성과, 조직규모, 조직형태, 전문성, 업무특성, 업무환경간, 현재역할간 상관관계 100
<표 Ⅳ-56> 회귀분석 결과 Ⅰ 100
<표 Ⅳ-57> 업무환경과 성과간 상관관계 101
<표 Ⅳ-58> 회귀분석 결과 Ⅱ 102
<표 Ⅳ-59> 업무특성과 성과간 상관관계 102
<표 Ⅳ-60> 회귀분석 결과 Ⅲ 103
<표 Ⅳ-61> 조직규모별 정부지원 요구사항 104
<표 Ⅳ-62> 분산분석 (정부지원 요구사항 * 조직규모) 105
<표 Ⅳ-63> 조직규모별 기업 (경영자)지원 방안 요구사항 106
<표 Ⅳ-64> 분산분석 (정부지원 요구사항 * 조직형태) 107
<표 Ⅳ-65> 지원방안의 요구 108
<표 Ⅳ-66> 심층면담 및 전문가협의회 참가인원 110
<표 Ⅳ-67> 심층면담 참가 전문가 및 담당자 현황 111
<표 Ⅳ-68> 직업능력개발담당자의 유량측면에서의 의사결정 143
<표 Ⅴ- 1 > 직업능력개발 담당자 지원 주체별 지원 방안 147
[그림 I - 1] 연구 구성 모형 4
[그림 Ⅲ-1] 조사 모형 43
[그림 Ⅲ-1] 설문조사 모형 47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기업내 직업능력개발 담당자 지원 방안 2002.01.11~2002.05.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