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직업교육훈련기관 이수자의 노동시장 진입 및 직무수행 실태분석 연구(I)

Labor Market Entry and Job Performance of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Institute Graduates: Focus on Junior and Polytechnic Colleges
저자
이남철 전현중 김기홍
분류정보
기본연구(2002-06)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02.07.31
등록일
2002.07.31
I.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의 범위 3
  3. 연구의 내용 4
  4. 연구 방법 5
II. 이론적 고찰 11
  1. 선행연구 분석 11
  2. 학교에서 노동시장으로의 전이 및 직무수행 15
III. 전문대학과 기능대학 졸업생의 노동시장 진입 및 직무수행 실태분석 27
  1. 전문대학 졸업생의 노동시장 진입 및 직무수행 실태분석 27
  2. 기능대학 졸업생의 노동시장 진입 및 직무수행 실태분석 38
  3. 선행연구를 통한 전문대학과 기능대학의 비교분석 45
Ⅳ. 외국의 직업교육훈련기관 이수자들의 노동시장 진입 및 직무수행 현황 및 시사점 49
  1. 프랑스 49
  2. 독일 73
  3. 미국 86
  4. 시사점 104
Ⅴ. 실태조사 분석 109
  1. 조사 표본 설계 109
  2. 실태조사 분석 결과 111
Ⅵ. 요약 및 정책 제언 157
  1. 요약 157
  2. 정책 제언 165
참고문헌 171
Abstract 177
부록   1. 설문지 183
  본 연구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대학 및 기능대학 졸업생의 교육훈련과 관련된 교육훈련 과정 및 기간, 고용, 직업이동 등을 파악하여 청년층에 대한 노동시장 실태를 분석하고자 한다.
  둘째, 직업교육훈련 기관 이수자의 중장기 취업 및 고용경험에 대한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여 향후 개선 방안을 정립할 목적을 가지고 있다.
  셋째, 직업교육훈련의 결과에 대한 분석을 통해 직업교육훈련에 대한 실제 평가의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하며, 직업교육훈련 관련 기초자료의 축적을 통한 정책 수립 기초자료를 제공할 목적이다. 또한 직업교육훈련 기관의 프로그램 개선시 정책적 방안을 제시 하고자 한다.
  This research first discussed some previous analyses of existing domestic and overseas studies and examined the actual condition of overseas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institutes (especially in France, Germany, and the United States). Such discussion and examination are intended to capture current major issues for further research. Secondly, the results of our surveys, interviews, and telephone inquiries conducted among 800 graduates and many of their personnel managers (private companies or public corporations) illustrated the actual condition of labor market entry and job performance of graduates of junior colleges and polytechnic colleges. Finally, we presented some policy proposals.
<표 Ⅰ-1> 노동시장 진입 및 직무수행 실태분석 설문내용 (졸업생 대상) 8
<표 Ⅰ-2> 노동시장 진입 및 직무수행 실태분석 설문내용 (기업 대상) 9
<표 II -1> 주요국의 학교에서 직업으로의 전이 기간 21
<표 Ⅲ-1> 전문대학 수 27
<표 Ⅲ-2> 전문대학 현황(2001) 28
<표 Ⅲ-3> 남녀별 전문대학 학생 수 29
<표 Ⅲ-4> 전문대학 및 대학의 취업률 변화 30
<표 Ⅲ-5> 학력수준별 졸업생의 전공과 직업일치도 31
<표 Ⅲ-6> 학력별 이직률 32
<표 Ⅲ-7> 전문대 계열별 졸업자수 33
<표 Ⅲ-8> 전문대학 졸업자 진로 및 취업상황 (전체) 34
<표 Ⅲ-9> 전문대학 졸업자 진로 및 취업 업종별 인원 현황 35
<표 Ⅲ-10> 전문대학 졸업자의 사회 진출 직위별 인원 현황 37
<표 Ⅲ-11> 전문대학 졸업자의 전공 분야별 취업 현황 38
<표 Ⅲ-12> 기능대학 현황 40
<표 Ⅲ-13> 기능대학의 교육훈련 과정 43
<표 Ⅲ-14> 교육훈련 실적(1998-2001) 43
<표 Ⅲ-15> 기능대학 교원의 학력·자격 보유 현황 44
<표 Ⅲ-16> 연도별 취업현황 45
<표 Ⅲ-17> 전문대학과 기능대학의 교육훈련 체제 비교 46
<표 Ⅲ-18> 전문대학 및 기능대학의 학생 1인당 교육비의 비교(1999년) 48
<표 Ⅳ-1> 프랑스고 등교육기관 재학생수의 변화( 1980-2000) 51
<표 Ⅳ-2> 고등교육기관 입학생 중 IUT 및 BTS 등록생 비중 52
<표 Ⅳ-3> 경제활동인구, 취업자 및 실업자 수 55
<표 Ⅳ-4> DUT 및 BTS 졸업생(1996년도)의 고용부문 60
<표 Ⅳ-5> DUT 및 BTS 취득 졸업생(1996년도)의 기업규모별 고용 61
<표 Ⅳ-7> DUT 및 BTS 취득 졸업생(1996년도)의 실업률 변화 (1999년) 64
<표 Ⅳ-8> 고등교육기관 졸업생(1996년)의 실업률과 임금수준 65
<표 Ⅳ-9> 고등교육기관 졸업생(1996년)의 실업률과 임금수준 67
<표 Ⅳ-10> DUT 및 BTS 취득 졸업생의 순임금 68
<표 Ⅳ-11> DUT 및 BTS 취득 졸업생의 최초 고용 전 실업기간 69
<표 Ⅳ-12> DUT 및 BTS 취득 졸업생의 고용상태 69
<표 Ⅳ-13> DUT 및 BTS 취득 졸업생의 교육수준과 직무 연계성 70
<표 Ⅳ-14> DUT 및 BTS 취득 졸업생(1996년도)의 기업연수 경험 71
<표 Ⅳ-15> 교육훈련형태에 따른 교육수준별 교육훈련 참여율 72
<표 Ⅳ-16> 연도별 학교수와 학생수 추이 78
<표 Ⅳ-17> 산학협동의 긍정적 효과 80
<표 Ⅳ-18> 학력별 취업자의 구성 비율 82
<표 Ⅳ-19> 2000년 독일의 인문교육과 직업교육 이수자의 비율 83
<표 Ⅳ-20> 학교 유형별 졸업자의 실업비율 84
<표 Ⅳ-21> 미국의 연도별, 연령별 인구구성비 97
<표 Ⅳ-22> 미국의 경제활동인구, 경제활동참가율 및 취업자수, 취업률 98
<표 Ⅳ-23> 전문대학 및 4년제 대학 등록생 수(1990-1997) 100
<표 Ⅳ-24> 전문대학 수, 1990-1998 101
<표 Ⅳ-25> 전문대학의 수입원 102
<표 Ⅳ-26> 주요국의 중간 기술자 양성 현황 105
<표 Ⅴ-1> 전문대학 졸업생 표본 추출 110
<표 Ⅴ-2> 기능대학 졸업생 표본 추출 111
<표 Ⅴ-3> 조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112
<표 Ⅴ-4> 학교 졸업 후 직장경험 유무 113
<표 Ⅴ-5> 졸업 후 첫 직장 고용형태 114
<표 Ⅴ-6> 현재의 소득 활동여부 115
<표 Ⅴ-7> 소득활동을 하지 않는 이유 116
<표 Ⅴ-8> 대학 및 전공을 선택한 동기 117
<표 Ⅴ-9> 대학 재학 중 보수를 받고 일한 경험 118
<표 Ⅴ-10> 대학 재학 중 경험한 일의 종류 119
<표 Ⅴ-11> 자격증 소지 여부 120
<표 Ⅴ-12〉자격증 소유 개수 121
<표 Ⅴ-13〉자격증 분야 121
<표 Ⅴ-14> 자격증의 업무에 대한 기여 122
<표 Ⅴ-15> 업무에 대한 자격증의 기여도 123
<표 Ⅴ-16> 기업 형태별 취업 현황 124
<표 Ⅴ-17> 현 직장 선택 이유 125
<표 Ⅴ-18> 1주일 평균 근무 시간 126
<표 Ⅴ-19> 직장에서 근무 형태 127
<표 Ⅴ-20> 취업자의 직위 128
<표 Ⅴ-21〉현 직장에서의 근속 년수 129
<표 Ⅴ-22〉직장 전직 경험 129
<표 Ⅴ-23〉현 직장을 구하는데 소요된 시간 130
<표 Ⅴ-24> 전공이 직무에 미치는 효과 131
<표 Ⅴ-25> 현 업무와 전공과의 밀접성 정도 132
<표 Ⅴ-26> 전공과 관련이 없음에도 근무한 이유 133
<표 Ⅴ-27> 향후 1년 이내 이직 계획 여부 134
<표 Ⅴ-28> 현 직장을 그만두고자 하는 이유 135
<표 Ⅴ-29> 전직을 위한 활동 형태 136
<표 Ⅴ-30> 지난 1주간 구직활동 여부 136
<표 Ⅴ-31> 직업훈련기관에서 일정 정도의 교육 이수 의사 여부 137
<표 Ⅴ-32> 이수하고자 하는 직업훈련기관 138
<표 Ⅴ-33> 교육훈련의 중요성 평가 138
<표 Ⅴ-34> 취업 후 직무능력 향상 기여 요소 139
<표 Ⅴ-35> 현 직장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학력수준 140
<표 Ⅴ-36> 직무만족도 평가 143
<표 Ⅴ-37> 전문대·기능대별 직무 만족도 조사 144
<표 Ⅴ-38> 직무수행 정도 평가 146
<표 Ⅴ-39> 전문대·기능대별 직무수행 정도 평가 147
<표 Ⅴ-40>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기업체) 148
<표 Ⅴ-41> 신규 근로자 채용 방법 149
<표 Ⅴ-42> 인력확보가 가장 어려운 직군 150
<표 Ⅴ-43> 인력확보 방법 151
<표 Ⅴ-44> 사원 채용시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사항 151
<표 Ⅴ-45> 전문대·기능대 졸업생 채용자 수 152
<표 Ⅴ-46> 기능대학 졸업생과 전문대학 졸업생의 직무능력 비교 153
<표 Ⅴ-47> 졸업자들에 대한 업무 능력 기대 정도 154
<표 Ⅴ-48> 전문대학/ 기능대학 교육과정에 바라는 점 155
<그림 Ⅱ-1> 교육훈련과 노동시장·산업체 전이와 관련된 제도적 요인 18
<그림 Ⅲ-1> 현행 학교 법인 및 기능대학의 조직도 41
<그림 Ⅳ-1> 프랑스의 고등교육제도 50
<그림 Ⅳ-2> 노동시장 진입단계의 학력별 청년실업률 57
<그림 Ⅳ-3> 독일 교육제도 개관 74
<그림 Ⅳ-4> 미국의 학교교육제도 88
<그림 Ⅳ-5> 미국의 직업교육 행정 체계 92
<그림 Ⅳ-6> 미국의 직업훈련 행정 체계 95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직업교육훈련기관 이수자의 노동시장 진입 및 직무수행 실태 분석 연구(Ⅰ) 2002.01.11~2002.07.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