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실업계 고교 개편 우수 사례 조사 연구

Successful Cases of Vocational High School Reform
저자
김기홍 옥준필
분류정보
기본연구(2002-07)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02.08.31
등록일
2002.08.31
연구요약
Ⅰ. 서 론 1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
  2. 연구 문제 2
  3. 연구의 범위 및 제한점 3
  4. 연구 내용 3
  5. 연구 방법 6
Ⅱ. 실업계 고교 개편 배경과 정책 11
  1. 실업계 고교 개편의 배경 11
  2. 실업계 고교 개편 정책 19
  3. 주요국 실업계 고교 개편 정책 33
  4. 실업계 고교 개편 유형 65
Ⅲ. 실업계 고교 개편 실태 분석 77
  1. 실업계 고교 개편 현황 77
  2. 실업계 고교 개편 실태 조사 분석 83
Ⅳ. 실업계 고교 개편 우수 사례 분석 117
  1. 우수 실업계 고교의 특성과 조건 117
  2. 실업계 고교 개편 우수 사례 분석을 위한 접근 모형 129
  3. 실업계 고교 개편 우수 사례 134
Ⅴ. 실업계 고교 개편의 성공적 정착을 위한 개선 방안 187
  1. 실업계 고교 개편의 성공적 정착을 위한 전략과 방향 187
  2. 세부 개선 방안 193
  3. 개선 방안의 추진 주체별 내용 212
  4. 제언 213
참고문헌 217
Abstract 223
부 록 233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고교 단계 직업교육 개편의 배경과 정책에 대하여 분석하고, 이와 더불어 주요국의 고교 단계 직업교육 개편 배경과 정책을 분석한다.
  둘째, 실업계 고교 개편의 실태와 사례를 분석한다.
  셋째, 실업계 고교 개편 우수사례를 선정 분석한다.
  넷째, 이상의 내용에 기초하여 추후 실업계 고교 개편을 위한 발전적인 개선 방안을 제시한다.
 From the mid- 1990s onwards, the awareness that vocational high schools faced a serious educational crisis forced the preparation and support of various solutions to bring about educational reforms in order to further nurture and improve vocational high schools. Currently, most
vocational high schools are undergoing a thorough reform; these include 48 specialized high schools, 5 integrated high schools as well as 31
academic high schools that have been converted from vocational ones. Furthermore, the scope of the reform of educational subjects has
expanded continuously since 1999. The schools mentioned earlier include not only those having already achieved considerable results or those that have not been so successful in their reform attempts, but also those that are under currently under reform or for which future reform plans exist . Therefore, an analysis and diagnosis of the changes and development of the policies relating to the reform of vocational high schools since 1997 needs to be carried out . Furthermore, comprehensive lessons as well as improvement s to the development of future policy for vocational education need to be drawn. In order to meet these needs, this study intends 1) to diagnose reform policies in vocational education; 2) to analyze detailed cases of some of the major vocational high schools that have undergone reforms and present some of the overall issues that need to be improved. The overall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he following:
The first is to analyze the background and policies of vocational education reform in Korea, and those undertaken in developed countries as well. The second is to analyze the actual conditions and cases of vocational high school reform. The third is to select and analyze successful cases of vocational high school reform. The last objective is, based on the three previous ones, to present potential improvements to vocational high school reform.
 In order to achieve these objectives, such research methods as analysis of relevant document s and data, in- depth interviews with administrators and teachers of vocational high schools, direct observation of classes, holding of professional conferences and policy debates were used.
...
<표 Ⅰ-1> 연구 내용별 연구 방법 6
<표 Ⅰ-2> 실업계 고교 개편 사례 현황 7
<표 Ⅰ-3> 설문지 회수 현황 8
<표 Ⅰ-4> 실태 분석항목과 우수 사례 분석항목 9
<표 Ⅱ-1> 제조업과 서비스업의 기술수준별 취업자 수 전망 12
<표 Ⅱ-2> 연도별 고교 입학생 수 현황 14
<표 Ⅱ-3> 연도별 실업계 고교 지원 현황 15
<표 Ⅱ-4> 일반계 및 실업계 고교 중도탈락생 현황 15
<표 Ⅱ-5> 실업계 고교 졸업자의 진학 희망률 17
<표 Ⅱ-6> 실업계 고교 졸업생의 전공 분야 취업 비중 추이 18
<표 Ⅱ-7> 실업계 고교 졸업자의 계열별 산업체 수요 전망 19
<표 Ⅱ-8> 신교육체제 수립을 위한 교육개혁 방안 의 실업계 고교 관련 사항 20
<표 Ⅱ-9> 교육발전 5개년 계획(시안) 의 실업계 고교 관련 사항 22
<표 Ⅱ-10> 교육부의 분야별 실업계 고교 육성 대책(2000) 23
<표 Ⅱ-11> 교육부의 실업교육 육성 방안(2001) 24
<표 Ⅱ-12> 실업계고의 인문계고 전환 현황(2002. 1. 현재) 31
<표 Ⅱ-13> 학과 개편 현황(1999년~2001년) 32
<표 Ⅱ-14> 새로운 미국 고등학교들의 교육 운영 전략 38
<표 Ⅱ-15> 윌리엄터너기술고등학교의 진로 전공 42
<표 Ⅱ-16> 통합 종합학교의 학년 구조 52
<표 Ⅱ-17> 통합 종합학교의 학년 구조 및 학과목 운영 53
<표 Ⅱ-18> 대만 종합고중 각 학년도별 학교 및 학생 수 현황 56
<표 Ⅱ-19> 특성화 고교 운영 모형 67
<표 Ⅱ-20> 종합고등학교와 통합형 고교의 비교 68
<표 Ⅱ-21> 교육과정 자율운영 실험학교의 교육과정 편성·운영 방식 72
<표 Ⅱ-22> 연계 시범 운영 내용(예) 75
<표 Ⅱ-23> 실업계 고교 개편 유형별 종합 비교 76
<표 Ⅲ-1> 특성화 고교 현황(지역별, 연도별) 77
<표 Ⅲ-2> 특성화 고교 개편 현황(2002년 1월 기준) 78
<표 Ⅲ-3> 통합형 고등학교 개편 형태 80
<표 Ⅲ-4> 실업계 고등학교 교육과정 자율운영 실험학교 현황 81
<표 Ⅲ-5> 연계교육 참여학교 현황(1997년∼1999년) 82
<표 Ⅲ-6> 연계교육 현황 통계(2001. 9. 1기준) 82
<표 Ⅲ-7> 실업계 고교 개편의 일반적인 배경 84
<표 Ⅲ-8> 실업계 고교 개편의 직접적인 요인 85
<표 Ⅲ-9> 실업계 고교 개편의 목표 87
<표 Ⅲ-10> 실업계 고교 개편의 내용 89
<표 Ⅲ-11> 실업계 고교 개편의 절차 90
<표 Ⅲ-12> 실업계 고교 개편의 방법 91
<표 Ⅲ-13> 개편 후 현황과 문제점(학생 선발의 측면) 94
<표 Ⅲ-14> 개편 후 현황과 문제점(교육과정의 측면) 97
<표 Ⅲ-15> 개편 후 현황과 문제점(교원의 측면) 100
<표 Ⅲ-16> 개편 후 현황과 문제점(진로지도의 측면) 102
<표 Ⅲ-17> 실업계 고교 개편의 긍정적인 효과 106
<표 Ⅲ-18> 실업계 고교 개편의 문제점 110
<표 Ⅲ-19> 관련 부처의 개선점과 지원 요구사항 112
<표 Ⅳ-1> 우수 학교 로서 실업계 고교가 갖추어야 할 특성들 127
<표 Ⅳ-2> 우수 사례 선정을 위한 평가의 목표와 준거 기준 131
<표 Ⅳ-3> 실업계 고교 개편 우수 사례 분석 내용 134
<표 Ⅳ-4> 특성화 고교 우수 사례 비교 142
<표 Ⅳ-5> 통합형 고교 우수 사례 비교 153
<표 Ⅳ-6> 교육과정 자율운영 우수 사례 비교 161
<표 Ⅳ-7> 전문대학과의 연계 우수 사례 비교 168
<표 Ⅳ-8> 학교 경영 개선 우수 사례 비교 176
<표 Ⅳ-9> 실업계 고교 개편 우수 사례의 종합 시사점 181
<표 Ⅴ-1> 개선 방안의 추진 주체별 내용 212
[그림 Ⅰ-1] 연구 방향 설정 과정 5
[그림 Ⅱ-1] 통합형 고교 운영 모형 비교 70
[그림 Ⅳ-1] 우수 사례 선정 및 분석을 위한 접근 모형 130
[그림 Ⅴ-1] 실업계 고교 개편의 성공적 정착을 위한 방안 수립 전략 모델 189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실업계고교 개편 우수사례 조사 연구 2002.01.11~2002.07.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