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고등학생들의 이공계 기피현상 실태분석 및 개선방안

The Avoidance of Science and Engineering Fields by High School Students Attending Colleges and Universities in Korea
저자
진미석 윤형한
분류정보
기본연구(2002-09)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02.07.31
등록일
2002.07.31
I. 서론 1
   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내용 및 방법 4
   3. 연구의 범위 및 용어 규정 10
Ⅱ. 선행연구 분석 13
   1. 이공계 기피현상에 대한 선행연구 분석 13
   2. 이공계 인력 수급 전망 관련 연구 29
Ⅲ. 교육통계분석을 통한 이공계 기피현상의 실태 분석 41
   1. 고등학교 자연계 학생 수 및 수능 자연계열 지원자 규모 변화추이 41
   2. 이공계 대학 입학자의 규모 변화 53
   3. 양적 규모면에서 이공계 기피현상의 실태 분석의 시사점 60
Ⅳ. 성적 우수자의 대학 진학 현황 자료 분석을 통한 이공계 기피현상 실태 분석 63
   1. 우수 학생의 진학 현황의 전반적 분석 63
   2. 자연계열의 진학 현황 분석 70
   3. 성별 우수 학생의 진학계열 비교 76
   4. 우수 학생의 진학형태 분석에서 나타난 이공계 기피현상의 시사점 83
V. 학생 및 교사 대상 설문조사를 통한 이공계 기피현상 진단 85
   1. 고등학교 자연계열 진학자 감소의 원인과 향후 전망 85
   2. 학생의 수능시험 응시 희망계열 및 교차지원 계획 96
   3. 희망대학 진학계열 및 학과 103
   4. 우수 학생의 이공계 이탈과 의약학계열 쏠림의 원인에 대한 진단 108
   5. 논의 120
Ⅵ. 외국의 이공계 기피현상과 개선방안 : 프랑스의 사례 125
   1. 프랑스의 과학계열 기피현상 125
   2. 과학계열 기피현상 개선을 위한 프랑스의 정책 방안과 시사점 141
Ⅶ. 이공계 기피현상의 개선 방향 및 대책 155
   1. 이공계 기피현상의 진단을 위한 개념틀 155
   2. 고등학교 자연계열 진학 촉진을 위한 방안 156
   3. 교차지원제도의 득과 실에 대한 분석을 통한 교차지원제도 개선 164
   4. 이공계 인력 양성체계의 개선 165
   5. 이공계 직업인들의 사회경제적 처우 개선 168
   6. 과학기술인에 대한 사회적 이미지 제고를 위한 노력 170
Ⅷ. 요약 및 제언 173
   1. 요약 173
   2. 제언 178
참고문헌 181
ABSTRACT 187
부록 1. 부표 193
부록 2. 학생용 설문지 200
부록 3. 교사용 설문지 210
  본 연구에서는 다루고자 하는 주된 문제는, 고등학생들의 이공계 대학 진학 기피현상은 어떻게 진전되고 있는가? 학생들의 이공계열 기피현상은 어떤 측면에서 문제를 가질 수 있는가? 그리고 이공계열 기피현상은 어느 정도로 우려스러운 것인가? 즉, 현재의 추세에 비추어 볼 때, 향후 이공계 인력 수급에 어느 정도로 심각한 결과를 낳을 것인가? 학생들은 이공계 진학을 기피하는 요인은 무엇인가? 등과 같이 현상의 실태와 관련된 문제들이다. 그리고 현상에 대한 보다 명확한 분석을 시도하고, 분석 결과에 입각하여 정책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Recently, in Korea, the avoidance of science and engineering academic fields of Korean high school students has become one of the most important public issues since the high-quality manpower in these fields has been emphasized as one of the essential elements for strengthening the competitive power of the Korean economy. The stake holders in these issue such as policy makers( in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Ministry of Science and Technology, Ministry of Industry and Resources, etc.), professors and teachers, professionals, etc., have shown enormous interest in developing the policies and strategies for improving the current situation. However, surprisingly, there is scanty empirical research related to this issue. There has been very weak evidence for the phenomenon itself of the avoidance of science and engineering fields. It is necessary to try thorough research on the phenomenon itself in order to develop the feasible and efficient policies. Thus, in this study, we tried, first of all, to understand the current situation of avoidance of science and engineering fields of high school students. We tried to figure out
  1) whether there is a remarkable tendency to avoid these fields or not
  2) if so, why?
  3) is the tendency shown stronger for students of high academic achievement? 
  In order to answer these questions, we analyzed the primary data. One set of the data is the educational statistics related to these issues during 1980-2001 years. The other data source is the statistics on the majors at colleges of the students of high achievement(top 4%) in Korean scholastic aptitude test(KSAT) during 1998-2001. In addition, we administered the survey on the educational plan and the opinions about the current phenomenon of avoidance of science and engineering fields to 6,383 students and 346 teachers in 88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Besides, in order to draw policy implication, we benchmarked other countries' cases, especially the French case.
  Based on these works, we suggested policies and strategies to improve  the avoidance of the science and engineering fields of high school students.
...
<표 Ⅰ- 1> 고등학교 진로선택에 관한 조사	7
<표 Ⅰ- 2> 표집된 일반계 고등학교 및 학생 수	8
<표 Ⅰ- 3> 응답 학교 및 학생 수 및 교사 수	8
<표 Ⅰ- 4> 응답 학생들의 특성	9
<표 Ⅰ- 5> 전문가 협의회 참석자 명단	10
<표 Ⅱ- 1> 이공계 진학률 감소 억제를 위한 주체별 대책	15
<표 Ⅱ- 2> 이공계 기피 개선을 위한 정책 방향	21
<표 Ⅱ- 3> 청소년의 자연계 기피현상에 대한 개선 방안	25
<표 Ⅱ- 4> 청소년들의 이공계 기피 해소를 위한 주체별 대처방안	27
<표 Ⅱ- 5> 전공별 산업기술인력 수급 전망(2002년 기준)	36
<표 Ⅱ- 6> 2010 업종별 산업기술 인력 수급 전망	39
<표 Ⅲ- 1> 일반계 고등학교 계열별 학생(2, 3학년) 규모 및 비율 변화	41
<표 Ⅲ- 2> 수능 응시자의 규모 및 계열별 비중의 변화(1994~2002년)	44
<표 Ⅲ- 3> 계열별 재학생 수와 수능 응시계열의 비교 추세(1994~2002년)	46
<표 Ⅲ- 4> 실업계 고등학생들의 대학 진학자 수(1991~2001년도)	49
<표 Ⅲ- 5> 예체능계열 지원자와 입학자의 비율	51
<표 Ⅲ- 6> 계열별 수능 응시자 비중 전년 대비 증감률 평균 변화	52
<표 Ⅲ- 7> 주요 계열의 입학자 및 지원자 입학률의 변화 추이	54
<표 Ⅲ- 8> 이학ㆍ공학ㆍ의약학계열별 졸업자 배출 현황(1981~2001년)	58
<표 Ⅲ- 9> 주요국의 전공계열별 인력 배출 규모 비교	59
<표 Ⅲ-10> 4년제 대학 졸업자들의 계열별 분포(2001년도)	59
<표 Ⅳ- 1> 우수 학생의 수능 응시 현황	63
<표 Ⅳ- 2> 우수 학생의 대학 진학 계열 현황	64
<표 Ⅳ- 3> 4년제 대학 입학자들의 계열별 분포(2001년도)	66
<표 Ⅳ- 4> 우수 학생의 교차지원 규모	69
<표 Ⅳ- 5> 자연계열 내 세부전공별 우수 학생 진학자 수	71
<표 Ⅳ- 6> 자연계 전공별 비중과 우수 진학자 비중 비교(2001년)	72
<표 Ⅳ- 7> 자연계열 내 전공별 정원 및 비중(2001년)	73
<표 Ⅳ- 8> 우수 학생의 의약학계열 점유율 변화	74
<표 Ⅳ- 9> 우수 학생들이 진학한 이공계열 전공 변화 추이	75
<표 Ⅳ-10> 성별ㆍ계열별 우수 학생 진학자 수	77
<표 Ⅳ-11> 성별 자연계열 내 세부전공별 진학자 수 및 비율의 변화	81
<표 Ⅴ- 1> 계열별ㆍ성별 분포	86
<표 Ⅴ- 2> 계열별 본인의 성적 수준	88
<표 Ⅴ- 3> 계열별 주요 교과목 학업 성취도	89
<표 Ⅴ- 4> 현 계열 선택에 대한 만족도	89
<표 Ⅴ- 5> 일반고 학생들의 계열선택 요인에 대한 로지스틱 회귀분석	90
<표 Ⅴ- 6> 고등학생(2, 3학년)의 계열선택 이유	91
<표 Ⅴ- 7> 학생들의 관련 교과목에 대한 태도와 계열선택	92
<표 Ⅴ- 8> 고교생의 자연계열 선택 기피현상에 대한 평가(학생)	93
<표 Ⅴ- 9> 고교생의 자연계열 선택 기피현상에 대한 평가(교사)	95
<표 Ⅴ-10> 고등학교 자연계 선택자 전망에 대한 견해(교사)	96
<표 Ⅴ-11> 고3 학생의 현 계열별, 수능 지원계열별, 대학 지원계열별 분포	97
<표 Ⅴ-12> 고등학교 계열별 수능 지원계열 및 대학 지원계열 분포	99
<표 Ⅴ-13> 외국어 고등학생들의 수능 및 대학 진학 지원	100
<표 Ⅴ-14> 교차지원 집단과 전체 집단 비교(학업성적, 계열선택 고려 요인)	101
<표 Ⅴ-15> 문과계열-문과 응시-이과 지원자, 이과계열-문과 응시-이과 지원자의 진학학과 계열 분포	102
<표 Ⅴ-16> 2001학년도 계열별 입학자 분포 및 설문 응답자의 희망대학 진학계열별 분포	103
<표 Ⅴ-17> 고교생들의 진학 희망학과	105
<표 Ⅴ-18> 자연계 및 인문계 성적 상위자(상위 10%)의 선호학과 10위	106
<표 Ⅴ-19> 과학고등학생들의 진학 희망학과	107
<표 Ⅴ-20> 외국어 고교생의 진학희망 학과	108
<표 Ⅴ-21> 우수 자원의 이공계 기피와 의약학 선호현상에 대한 진단(학생)	109
<표 Ⅴ-22> 우수 자원의 이공계 기피와 의약학 선호현상에 대한 진단(교사)	110
<표 Ⅴ-23> 고교생이 평가한 좋은 직업 상위 10개(수입, 안정성, 인정)	111
<표 Ⅴ-24> 고교생이 평가한 좋은 직업 상위 10개(즐거움, 사회기여, 종합)	111
<표 Ⅴ-25> 과학고생이 평가한 좋은 직업 상위 10개(수입, 안정성, 인정)	112
<표 Ⅴ-26> 과학고생이 평가한 좋은 직업 상위 10개(즐거움, 사회기여, 종합)	112
<표 Ⅴ-27> 이공계 진출 촉진 방안들에 대한 의견(학생)	115
<표 Ⅴ-28> 이공계 진출 촉진 방안들에 대한 의견(과학고생)	116
<표 Ⅴ-29> 이공계 진출 촉진 방안들에 대한 의견(교사)	117
<표 Ⅶ- 1> EYH 워크숍의 주제	161
<표 Ⅶ- 2> WIST의 워크숍 주제	162
[그림 Ⅰ- 1] 단계별 이공계 기피현상	4
[그림 Ⅱ- 1] 이공계 교육 위기의 요인	19
[그림 Ⅲ- 1] 일반계 고교 자연계반 및 인문계반 학생 수 규모 변화	42
[그림 Ⅲ- 2] 계열별 비율의 전년 대비 증감율 변화 추이(1992~2001년)	43
[그림 Ⅲ- 3] 수능 지원자 계열별 비중 변화의 추이(1994~2002년)	45
[그림 Ⅲ- 4] 일반고 계열별 학생 수와 수능 계열별 응시생 수  (1994~2002년)	46
[그림 Ⅲ- 5] 성별ㆍ계열별 수능 지원자 수의 변화 추이	48
[그림 Ⅲ- 6] 실업계 고등학교 졸업자의 진학자 수(1991~2001년)	49
[그림 Ⅲ- 7] 계열별 수능 지원자 비중의 변화 추이(1995~2002년)	50
[그림 Ⅲ- 8] 계열별 수능 응시자 비중 전년 대비 증감률 평균 변화	52
[그림 Ⅲ- 9] 대학 지원자 대 입학자 비율의 변화(1980~2001년)	55
[그림 Ⅲ-10] 이학․공학․의약학 계열별 입학자 수의 변화	56
[그림 Ⅲ-11] 4년제 대학 입학자 중 이공계열 비율의 변화(1980~2001년)	57
[그림 Ⅲ-12] 계열별 졸업자 증감 변화 추세(1981~2001년)	60
[그림 Ⅳ- 1] 성적 우수 학생의 대학 진학 현황 및 수능 응시 현황 분석	64
[그림 Ⅳ- 2] 우수 학생의 전공별 진학자 변화	65
[그림 Ⅳ- 3] 우수 학생 진학계열 분포(2001학년도)	66
[그림 Ⅳ- 4] 우수 학생 진학계열 분포(1998학년도)	67
[그림 Ⅳ- 5] 우수 남녀 학생의 진학계열 분포 비교(2001년)	67
[그림 Ⅳ- 6] 우수 남학생 진학계열 변화 추이(1998~2001년)	68
[그림 Ⅳ- 7] 우수 여학생 진학계열 변화 추이(1998~2001년)	69
[그림 Ⅳ- 8] 자연계열 내 우수 학생의 세부전공별 진학자 변화	71
[그림 Ⅳ- 9] 우수 학생의 의학 분야 및 공학 전공 진학 비율의 변화	73
[그림 Ⅳ-10] 성별 우수 학생 규모의 변화	77
[그림 Ⅳ-11] 성별 우수 학생 자연계열 진학률 변화	78
[그림 Ⅳ-12] 성별ㆍ계열별 우수 학생 진학자 수	79
[그림 Ⅳ-13] 남녀별 자연계-인문계 진학자 수의 규모 비교(1998~2001년)	80
[그림 Ⅳ-14] 성별 우수 학생의 자연계열 세부전공 분포 비교(2001학년도)	81
[그림 Ⅳ-15] 우수 남학생의 자연계열 주요 전공별 진학 비율의 변화	82
[그림 Ⅳ-16] 우수 여학생의 자연계열 주요 전공별 진학 비율의 변화	82
[그림 Ⅴ- 1] 직업흥미 영역별 중앙값 비교(남녀 중학생)	87
[그림 Ⅴ- 2] 직업흥미 영역별 중앙값 비교(남녀 고등학생)	87
[그림 Ⅴ- 3] 현재의 계열별 수능 지원계열 및 대학 지원계열 분포	97
[그림 Ⅴ- 4] 2001학년 입학생 비율, 전체 표집 및 성적 상위자 표집집단의 학과별 선호 비율 비교	104
[그림 Ⅴ- 5] 일반고 및 과학고 학생들의 의사 직업에 대한 평가 비교	113
[그림 Ⅴ- 6] 일반고 및 과학고 학생들의 교사 직업에 대한 평가 비교	114
[그림 Ⅴ- 7] 계열별 취업률 변화 추세(1981-2001)	118
[그림 Ⅵ- 1] 전체 바깔로레아 합격자 수의 변화	128
[그림 Ⅵ- 2] 하위계열별 바깔로레아 합격자 수	129
[그림 Ⅵ- 3] 일반계열 중 과학 하위계열 합격자 비율	130
[그림 Ⅵ- 4] 기술계열 중 공업 및 실험 하위계열 합격자 비율	130
[그림 Ⅵ- 5] 고등교육기관별 전체 재학생수의 변화	132
[그림 Ⅵ- 6]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학생 수의 변화	133
[그림 Ⅵ- 7] 그랑제꼴 준비반, IUT, STS의 과학계열 학생 수	134
[그림 Ⅵ- 8] 그랑제꼴 준비반, IUT, STS의 과학계열 학생 비율	134
[그림 Ⅵ- 9] 대학 1기 과정 과학계열 전공 분야별 학생 수의 변화	135
[그림 Ⅵ-10] 과학바깔로레아 합격자들의 진학 상황	136
[그림 Ⅵ-11] 대학 2기(학사 및 석사) 과정 전공별 과학계열 학생 수	138
[그림 Ⅶ- 1] 이공계 기피현상에 대한 단계별 진단	155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고교졸업생의 대학교 이공계 입학기피 현상 해소 대책 2002.01.11~2002.07.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