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전문대학 교원의 직무능력 향상을 위한 연수 프로그램 개발(Ⅱ)

Junior College Professor Upgrade Training Program Development(Ⅱ)
저자
장명희 박은희
분류정보
기본연구(2002-10)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02.07.31
등록일
2002.07.31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문제 3
  3. 연구 방법 5
  4. 연구의 제한점 9
Ⅱ. 전문대학 교원 현황과 역할 변화 11
  1. 전문대학 교원의 현황 및 관리 11
  2. 전문대학 교육 환경 및 교원의 역할 변화 21
Ⅲ. 전문대학 교원의 연수 프로그램 동향 45
  1. 외국의 전문대학 교원 연수 프로그램 운영 동향 45
  2. 국내 전문대학 교원 연수 프로그램 운영 동향 55
Ⅳ. 전문대학 교원의 직무수행 기준 개발 61
  1. 전문대학 교원의 직무분석 61
  2. 전문대학 교원의 직무 인식 및 직무수행 기준(안) 개발을 위한 요구 조사 76
  3. 전문대학 교원의 직무수행 기준(안) 개발 99
Ⅴ. 전문대학 교원의 직무능력 신장을 위한 연수 프로그램(안) 117
  1. 연수 프로그램 개발의 전제 117
  2. 연수 프로그램 개발의 기본 방향 120
  3. 연수 프로그램(안) 개발 124
  4. 연수 프로그램 이수 모형(안) 및 운영 방안 131
참 고 문 헌 141
ABSTRACT 145
부 록 155
  본 연구는 전문대학 교원이 수행해야 하는 직무를 규명하고, 현장 교원들의 직무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여 체계적인 교육 기회를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며, 이를 통해 교원 관리의 지침이 될 수 있는 직무수행 기준(안)을 개발·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은 개발된 전문대학 교원의 직무수행 기준을 기초로 전문대학 교원의 직무능력 향상을 위한 연수 프로그램 개발 (Ⅰ) 연구에서 개발된 교원 연수 프로그램의 적정성을 검토하여 교원들의 경력 및 교육 특성을 고려한 연수 이수 모형 및 연수 운영 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This study intends to define the duties of Junior College professors in relation to study (Ⅰ), analyze their understanding of their current duties,
and finally suggest improvements in the work performance standards designed to provide systematic educational opportunities. Based on this,
the main objectives of this study include a review of the feasibility of the professor training programs suggested in study (Ⅰ) and the formulation of suggestions as to how these training models can be adjusted to professors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operation methods.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ives mentioned above, this study defined, based o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of junior colleges, potential
professors duties apt to be changed. Furthermore, this study analyzed the current status of junior college professors, as well as the actual
management conditions. Also defined were junior college professors duties based on their actual work duties. An analysis of professors understanding of their duties, utilization of work performance standards, and training demands was also carried out.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d how appropriate the training programs developed in study (I) are, and presented a professors training program as well as models to
improve professors professional lives. These models are based on teaching skills related to the training demands made by junior college professors and on teaching standar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involved only full-time professors and excluded deans and teaching assistants. Of special importance is the fact
that these professors training programs were developed in a non- course specific manner, focusing rather on work requirements common to all
subjects.
 This study used such methods as: analysis of documents and data, group interviews, work analysis along with Delphi studies, expert committees, interviews and surveys.
...
<표 Ⅰ-1> 설문 조사지 회수율 6
<표 Ⅰ-2> 전문대학 교원의 직무 인식 조사를 위한 설문 조사 내용 7
<표 Ⅱ-1> 전문대학 교원의 직위별 교원 수 12
<표 Ⅱ-2> 전문대학 교원의 주당 수업시간별 교원 수 13
<표 Ⅱ-3> 전문대학 교원의 전공계열별 교원 수 14
<표 Ⅱ-4> 전문대학 교원의 학위별 교원 수 15
<표 Ⅱ-5> 전문대학 교원의 경력 년수별 교원 수 16
<표 Ⅱ-6> 전문대학 교원의 연령별 교원 수 17
<표 Ⅱ-7> 대학 교원의 자격 기준 18
<표 Ⅱ-8> 고등단계 교원의 직급별 임용 기간 19
<표 Ⅱ-9> 지식기반사회에서 요구되는 핵심 직업능력 26
<표 Ⅱ-10> 고등교육의 두 모형 29
<표 Ⅱ-11> 사이버 교육 체제의 구성요소 31
<표 Ⅱ-12> 대학 교수의 역할 비교 35
<표 Ⅱ-13> 전문대학 교수의 역할 내용별 인식 37
<표 Ⅱ-14> 전문대학 교원의 역할 내용별 주당 소비 시간 38
<표 Ⅱ-15> 전문대학 교원의 직무에 대한 재정의 40
<표 Ⅲ-1> 전문대학 교원의 교수-학습 관련 자료 안내 50
<표 Ⅲ-2> 외국의 전문대학 교수 개발 프로그램의 예 52
<표 Ⅲ-3> 교육부/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 주관 2000년도 전문대학 교직원 직무연수 프로그램 55
<표 Ⅲ-4> 교육인적자원부 지원 2001년도 전문대학 교원 산업체 연수 계획 56
<표 Ⅲ-5> 국가전문행정연수원 국제특허연수부 주관 2000년도 대학 교수 연수 프로그램 56
<표 Ⅲ-6> 한국대학교육협의회 주관 2000년도 대학 교직원 연수 프로그램 57
<표 Ⅲ-7>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 주관 2002년도 전문대학 신임 교수 대상연수 프로그램 59
<표 Ⅲ-8> 능력개발교육원 주관 2000년도 기술 직무 연수과정 60
<표 Ⅳ-1> 전문대학 현장에서 제시한 교원의 직무 영역별 역할 및 자질 63
<표 Ⅳ-2> 전문대학 교원의 직무 영역 규명을 위한 선행 연구 65
<표 Ⅳ-3> 전문대학 교원의 책무영역 66
<표 Ⅳ-4> 교육과정 개발 영역의 과업 내용 67
<표 Ⅳ-5> 수업 계획 및 준비 영역의 과업 내용 68
<표 Ⅳ-6> 수업 영역의 과업 내용 69
<표 Ⅳ-7> 학생 평가 영역의 과업 내용 69
<표 Ⅳ-8> 학생 지도 영역의 과업 내용 70
<표 Ⅳ-9> 연구·개발·창작 영역의 과업 내용 70
<표 Ⅳ-10> 산학협동 영역의 과업 내용 71
<표 Ⅳ-11> 대학 운영 영역의 과업 내용 72
<표 Ⅳ-12> 사회 봉사 영역의 과업 내용 72
<표 Ⅳ-13> 자기 개발 영역의 과업 내용 73
<표 Ⅳ-14> 전문대학 교원 직무 흐름도 (Job model) 73
<표 Ⅳ-15> 설문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 76
<표 Ⅳ-16> 전문대학 교원의 직무 영역별 인식 및 연수 요구도 80
<표 Ⅳ-17> 전문대학 교원 및 학장의 직무 영역별 인식에 관한 평균 비교 81
<표 Ⅳ-18> 전문대학 교수 및 학장의 연수 요구도 82
<표 Ⅳ-19> 전문대학 교원의 전공계열에 따른 인식 차이 84
<표 Ⅳ-20> 전문대학 교원의 전공계열에 따른 연수 요구도 85
<표 Ⅳ-21> 전문대학 교원의 교직 경력에 따른 인식 차이 86
<표 Ⅳ-22> 전문대학 교원의 교직경력에 따른 연수 요구도 87
<표 Ⅳ-23> 전문대학 교원 이전 경력에 따른 인식 차이 88
<표 Ⅳ-24> 전문대학 교원 이전 경력에 따른 연수 요구도 89
<표 Ⅳ-25> 전문대학 교원의 교직과목 이수 여부에 따른 인식 차이 90
<표 Ⅳ-26> 전문대학 교원의 교직과목 이수 여부에 따른 연수 요구도 91
<표 Ⅳ-27> 전문대학 교원의 보직 여부에 따른 인식 차이 92
<표 Ⅳ-28> 전문대학 교원의 보직 여부에 따른 연수 요구도 93
<표 Ⅳ-29> 전문대학 교원의 직무수행 기준 개발의 필요성 94
<표 Ⅳ-30> 전문대학 교원의 직무수행 기준의 개발 방법 94
<표 Ⅳ-31> 직무수행 기준의 활용 방안에 관한 의견 95
<표 Ⅳ-32> 전문대학 교원의 영역별 직무수행 비중에 관한 교수 및 학장의 인식 95
<표 Ⅳ-33> 전문대학 교원의 주당 수업시간에 대한 교수 및 학장의 인식 96
<표 Ⅳ-34> 직무수행 기준(안)의 구성 특징 107
<표 Ⅳ-35> 전문대학 교원의 직무수행 기준(안) 110
<표 Ⅴ-1> 전문대학 교원 연수 프로그램(안) 128
[그림 Ⅳ-1] 전문대학 교원의 직무수행 기준(안) 개발방법 및 절차 104
[그림 Ⅴ-1] 연수 프로그램 개발 모형 124
[그림 Ⅴ-2] 전문대학 교원의 연수 이수 모형(안) 132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전문대학 교원의 직무능력 향상을 위한 연수교육 프로그램 개발(Ⅱ) 2002.01.11~2002.07.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