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근로자의 직업능력개발을 위한 사내자격 활성화 방안

A Scheme to Improve In-Firm Qualification Systems Enhancing Worker's Vocational Competency
저자
이동임 김덕기
분류정보
기본연구(2002-12)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02.07.31
등록일
2002.07.31
연구요약
I.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의 내용 2
  3. 연구의 방법 4
  4. 용어정의 9
Ⅱ. 사내자격과 기업내 인적자원개발 11
  1. 자격·사내자격의 의미 11
  2. 기업내 인적자원개발과 사내자격 활성화의 배경 16
  3. 사내자격의 활성화 영향요인 21
Ⅲ. 사내자격과 인적자원개발체계 25
  1. 사내자격 운영기업의 특성 25
  2. 인적자원개발(HRD) 26
  3. 인적자원관리(HRM) 32
  4. 노사협력 37
  5. 소결 38
IV. 일본의 사내자격 운영현황 41
  1. 일본 기업의 자격활용 현황 41
  2. 사내검정인정제도 44
  3. 사내검정 사례조사 47
  4. 일본 기업의 사내검정 현황 50
  5. 일본 사내검정제도의 시사점 54
Ⅴ. 사내자격 운영현황 및 사례조사 57
  1. 사내자격의 관리·운영실태 및 요구조사 57
  2. 사내자격 종목현황과 검정체계 79
  3. 사례연구(case study) 84
  4. 사내자격 운영 및 체계의 특성 92
Ⅵ. 사내자격 지원(질관리)의 현황 97
  1. 사업내자격 검정사업 지원규정 97
  2. 사내자격 인정 및 지원 현황 100
  3. 사업내자격 검정지원규정상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103
Ⅶ. 사내자격 활성화 방안 107
  1. 기업의 사내자격 활성화 노력 107
  2. 정부의 지원책 109
Ⅷ. 요약 및 제언 121
  1. 요약 121
  2. 제언 123
참고문헌 127
Abstract 129
부 록 135
  본 연구의 목적은 사내자격 활성화 요인과 사내자격 운영현황을 파악하고, 사내자격을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기업차원의 방안, 정부차원의 방안)을 도출하는 것이다.
 In face of rapid changes in the new corporate environment, the significance of human resources development within a company is growing more than ever as the means to acquire competitive edge and to outlast its competitors. The Korean companies, however, show signs of evading human resources development with the recent increase of flexibility within the labor market. Although in-firm qualification system has low common usage within the society due to its varying features compared to the existing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it allows companies to create their own skill training. Therefore, in-firm qualification system is important in that it makes up for the problems immanent in the existing qualification system, and above all, in that it can continuously develop workers vocational competency on the spot. Despite this, there has never been a study on in-firm qualification, so there is little information on its administration . Hence, this study conducted surveys, case studies and interviews in order to understand the administration of in-firm qualification system, qualification items, qualification testing and its application .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s the weak points in the Ministry of Labors methods of controlling the quality of in-firm qualifications, and makes suggestions for promoting in-firm qualification systems.
...
<표 Ⅰ- 1> 설문조사 영역별 조사내용 5
<표 Ⅰ- 2> 통계자료 영역별 분석내용 8
<표 Ⅲ- 1> 사내자격 운영 여부 26
<표 Ⅲ- 2> 교육훈련 담당 부서 현황 27
<표 Ⅲ- 3> 사내자격 유무별 교육훈련 담당 부서 활용 실태 27
<표 Ⅲ- 4> 교육훈련 내용 선정시 의견 반영자. 28
<표 Ⅲ- 5> 교육훈련 대상자 선정시 의견 반영자 29
<표 Ⅲ- 6> 교육훈련의 내실화 29
<표 Ⅲ- 7> 정부의 고용보험 지원금이 없을 시 교육훈련실시 여부 30
<표 Ⅲ- 8> 교육훈련에 대한 평가 실시 여부 31
<표 Ⅲ- 9> 교육훈련 평가를 하지 않는 이유 31
<표 Ⅲ-10> 학습조직 체계 32
<표 Ⅲ-11> 사업장 규모별 인력충원방법 33
<표 Ⅲ-12> 인력충원방법 34
<표 Ⅲ-13> 경력개발제도 도입여부 35
<표 Ⅲ-14> 학력/ 경력 동일시 자격증 취득자의 직무수행능력 36
<표 Ⅲ-15> 학력/ 경력 동일시 자격소지여부가 인사관리제도에 미치는 영향 36
<표 Ⅲ-16> 교육훈련 이수결과가 인사제도에 미치는 영향(4점척도) 37
<표 Ⅲ-17> 노동조합 유무 38
<표 Ⅲ-18> 노동조합의 인력개발 참여형태 38
<표 Ⅲ-19> 인력개발 추진시 문제점 39
<표 Ⅲ-20> 월평균 이직률 비교 40
<표 Ⅳ- 1> 기업규모별 의무 또는 장려하고 있는 자격·검정의 유무 41
<표 Ⅳ- 2> 업종별 의무 또는 장려하고 있는 자격·검정의 유무 42
<표 Ⅳ- 3> 자격취득에 소요되는 비용 지원 및 지급 현황 42
<표 Ⅳ- 4> 일본 기업의 자격·검정에 대한 평가 43
<표 Ⅳ- 5> 일본의 사내검정인정 개요 46
<표 Ⅳ- 6> 사내검정 실시 및 업계·단체의 검정·자격의 이용 51
<표 Ⅳ- 7> 사내검정 및 업계단체검정·자격의 수준 52
<표 Ⅳ- 8> 일본 기업에서 중시하는 자격·검정 현황 53
<표 Ⅳ- 9> 사내자격 및 민간·업계의 자격·검정의 활용 54
<표 Ⅴ- 1> 설문조사 대상 기업의 업종별·규모별 분포 58
<표 Ⅴ- 2> 사내자격 운영여부 58
<표 Ⅴ- 3> 사내자격 운영 기업의 업종별·규모별 분포 59
<표 Ⅴ- 4> 사내자격 도입계획 및 필요성 60
<표 Ⅴ- 5> 사내자격 운영이유 61
<표 Ⅴ- 6> 사내자격과 유사한 자격 존재 유무 61
<표 Ⅴ- 7> 사내자격이 기업의 매출에 미치는 정도 62
<표 Ⅴ- 8> 사내자격 검정내용과 교육훈련과의 관계 63
<표 Ⅴ- 9> 사내자격의 유효기간 및 보수교육 유무 63
<표 Ⅴ-10> 사내자격 개발을 위한 직무분석 유무 64
<표 Ⅴ-11> 사내자격 운영규정 보유 65
<표 Ⅴ-12> 사내자격 검정관련 직원 수 65
<표 Ⅴ-13> 사내자격 평가인정 지표(안)에 대한 만족도 67
<표 Ⅴ-14> 사내자격에 대한 우대사항 68
<표 Ⅴ-15> 자격의 인사관리 활용도 68
<표 Ⅴ-16> 자격관련 비용 지급주체 70
<표 Ⅴ-17> 노동부 사내자격 인정 및 지원사업 인지도 70
<표 Ⅴ-18> 사내자격 인정신청 경험 및 신청의향 71
<표 Ⅴ-19> 노동부 지원의 만족도 72
<표 Ⅴ-20> 기업 간 사내자격의 상호인정 필요성 73
<표 Ⅴ-21> 사내자격의 타 기업에서 활용도 73
<표 Ⅴ-22> 타사의 사내자격 소지자에 대한 처우보상 가능성 74
<표 Ⅴ-23> 사내자격의 성과 75
<표 Ⅴ-24> 사내자격 관리·운영상 어려움 75
<표 Ⅴ-25> 사내자격 운영상 노동조합의 역할 76
<표 Ⅴ-26> 동일 업종의 타사 사내자격 운영에 대한 관심도 77
<표 Ⅴ-27> 사내자격 운영의 컨소시엄 가능 77
<표 Ⅴ-28 > 사내자격 운영 컨소시엄 긍정적 이유 78
<표 Ⅴ-29> 사내자격 운영 컨소시엄 부정적 이유 78
<표 Ⅴ-30> 사내자격의 학점은행제 79
<표 Ⅴ-31> 사내자격 분야 80
<표 Ⅴ-32> 사내자격의 검정시행 기간 81
<표 Ⅴ-33> 업체별 운영 사내자격 수 82
<표 Ⅴ-34> 사내자격의 검정방법 83
<표 Ⅴ-35> 사내자격의 등급현황 84
<표 Ⅴ-36> 사내자격과 국가기술자격의 비교 94
<표 Ⅵ- 1> 사내자격검정 인정현황 101
<표 Ⅵ- 2> 연도별 사내자격 지원금 지급현황 102
<표 Ⅵ- 3> 지원항목별 사내자격 지원금 지급현황 103
<표 Ⅶ- 1> 사내자격 노동부 인정평가 기준 119
[그림 Ⅰ-1]연구 접근 절차 4
[그림 Ⅱ-1]면허성 자격과 노동시장의 비효율성 12
[그림 Ⅱ-2]우리나라의 자격체계 14
[그림 Ⅱ-3]인적자원개발과 인적자원관리와의 관계 16
[그림 Ⅱ-4]사내자격과 국가(기술)자격과의 관계 20
[그림 Ⅱ-5]사내자격 활성화를 위한 기업내 인적자원개발체계 22
[그림 Ⅱ-6]사내자격 활성화 영향요인 24
[그림 Ⅳ-1]일본의 사내검정 인정 절차 47
[그림 Ⅶ-1]인사관리제도의 변화 108
[그림 Ⅶ-2]공동운영 사내자격의 통용성 110
[그림 Ⅶ-3]사내자격 검정의 인정절차 118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근로자 직업능력개발을 위한 사내자격 활성화 방안 2002.01.11~2002.07.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