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고등학교 중도탈락생을 위한 대안교육기관의 직업교육기능 강화방안
A Study on the Reinforcement Strategies of Vocational Education at Alternative Schools for Dropout Students at Secondary Level
- 저자
- 박태준 오은진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02-13)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02.09.30
- 등록일
- 2002.09.30
연구요약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내용 3 3. 연구 문제의 틀 4 4. 연구 방법 5 II. 중·고등학교 중도 탈락생 발생 현황 7 1. 중·고등학교에서의 탈락 실태 7 2. 중·고등학교 학생들이 탈락되는 과정에서 발견되는 제도적 문제점 21 Ⅲ. 대안교육기관의 개요 25 1. 대안교육기관의 정의 25 2. 대안교육기관의 분류 29 3. 대안교육기관의 역사 31 4. 대안교육에 관한 정책과 법적 근거 34 5. 대안교육의 필요성 및 목적 39 Ⅳ. 주요 국가의 대안교육 현황과 시사점 43 1. 미국의 대안교육 43 2. 영국의 대안교육 64 3. 프랑스의 대안교육 70 4. 시사점 84 Ⅴ. 대안교육기관의 분류별 현황 89 1. 특성화 고등학교(대안교육 분야) 89 2. 평생 교육시설 104 3. 도시형 대안학교 119 4. 야학 146 5. 공부방 152 Ⅵ. 대안교육기관의 직업교육 프로그램의 유형과 실태 165 1. 청소년 직업체험 프로그램 165 2. 중도 탈락생을 위한 직업프로그램 167 3. 서울시 위탁 직업교육 프로그램 170 4. 학력인정 학교형태 평생교육시설의 직업교육프로그램 173 5. 산업정보학교(구 직업학교)의 위탁 직업교육 프로그램 174 6. 특성화고등학교(대안교육 분야)의 직업교육 프로그램 179 7. 인턴쉽 직업교육 프로그램 181 Ⅶ. 대안교육기관의 직업교육 기능강화를 위한 정책방안 183 1. 방향 183 2. 방안 186 참 고 문 헌 193 Abstract 196 부록 199
본 연구의 목적은 개인적, 가정적, 사회적, 환경적 제약 등 각종 이유로 교육의 기회를 상실한 중·고등학교 중도 탈락생들이 대안교육체제를 통해 직업교육의 기회를 획득할 수 있도록 체제를 재구성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첫째, 중도 탈락생의 특수성을 고려한 직업교육과정을 운영하기 위한 여건 조성의 가능성을 탐색하며, 둘째, 대안교육기관의 직업교육과정 운영 실태를 분석하고, 셋째, 국가의 지원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법적·제도적 장치를 개발 또는 개선하려고 한다.
According to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there are about 70,000 dropout students in the middle and high school. Especially, around 50,000 dropout students not adapted for formal education . It is too hard to keep up working their study, because most of these students have a disadvantaged family circumstances. For dropout students, socially many kinds of alternative schools are provided, such as institutions for life-long learning and the specialized high schools. Actually, there are more than 10 kinds of alternative institutions and certified schools give high school diploma. However, these alternative schools are not enough for the dropout students with the disadvantaged family circumstances. Accordingly, our study explored the possibility for performing vocational education, analyzed the curriculum of the vocational education of alternative institutions and proposed the national strategies for supporting the alternatives institutions.
<표 Ⅱ-1> 학교에서 학업을 중단하는 이유의 유형 8 <표 Ⅱ-2> 시·도별 학업중단 학생수 (단위 : 명, %) 11 <표 Ⅱ-3> 남·여별 학업중단 학생수 13 <표 Ⅱ-4> 학교 생활에 어려움을 겪는 학생의 학교별 규모 14 <표 Ⅱ-5> 학교생활에 어려움을 겪는 학생에 대한 지도방식 16 <표 Ⅱ-6> 상담실 이용 실태 (단위 : 명, %) 18 <표 Ⅳ-1> 특수노동계약 71 <표 Ⅳ-2> 도제계약 보수 73 <표 Ⅳ-3> 직장탐색 지원금과 훈련지원금 74 <표 Ⅳ-4> 체결 일자에 따른 지원금 75 <표 Ⅳ-5> 도제계약 분담금 내역 76 <표 Ⅳ-6> 진로지도계약 대상자별 계약 기간 78 <표 Ⅳ-7> 진로지도계약 대상자별 진로지도 활동의 기간 79 <표 Ⅳ-8> 자격계약가능 대상자 81 <표 Ⅳ-9> 자격계약 보수 82 <표 Ⅳ-10> 적응계약 보수 83 <표 V-1> 특성화 고등학교(대안교육분야)의 현황(1999년) 90 <표 V-2> 교육과정 이수단위 비교(1998/ 1999년) 96 <표 V-3> 직업과 관련된 특성화교과 100 <표 V-4> 평생교육시설의 유형 105 <표 V-5> 학력인정 평생교육시설의 유형 106 <표 V-6> 학력인정 학교형태 평생교육시설의 역사적 변천 108 <표 V-7> 학력인정 학교형태 평생교육시설 현황 113 <표 V-8> 학력인정 학교형태 평생교육시설의 학생현황 114 <표 V-9> 학력인정 학교형태 평생교육시설의 졸업생 진로현황(2000년도) 115 <표 V-10> 학력인정 학교형태 평생교육시설의 교직원현황 116 <표 V-11> 학력인정 학교형태 평생교육시설의 학교건물·부지보유현황 117 <표 V-12> 학력인정 학교형태 평생교육시설의 재원구성(17개 학교종합) 118 <표 V-13> 학력인정 학교형태 평생교육시설의 재원중 학습비 비율 118 <표 Ⅴ-14> 하자작업장학교의 프로젝트 이수단위표 124 <표 Ⅴ-15> 수서디딤돌 학교의 교육과정 127 <표 Ⅴ-16> 난나 공연예술학교의 교육과정 130 <표 Ⅴ-17> 스스로넷 미디어학교의 프로그램 132 <표 Ⅴ-18> 도시 속 작은 학교 교육과정 137 <표 V-19> 은평야학의 연혁 151 <표 V-20> 시설의 소재 161 <표 V-21> 창립연도 161 <표 V-22> 시설의 성격 162 <표 V-23> 재정(대략) 162 <표 V-24> 재정조달 163 <표 V-25> 현재 사용하고 있는 시설 163 <표 Ⅵ-1> 하자센터의 프로젝트 프로그램 166 <표 Ⅵ-2> 한림실업고등학교의 학급 및 학생현황 171 <표 Ⅵ-3> 한림실업고등학교의 대안교육교과 편성표(2001학년도 2학기) 172 <표 Ⅵ-4> 학력인정 학교형태 평생교육시설의 직업교육전공 개설현황 174 <표 Ⅵ-5> 서울특별시 산업정보학교 현황 175 <표 Ⅵ-6> 서울산업정보학교의 직업교육과정 176 <표 Ⅵ-7> 종로산업정보학교 직업교육현황 177 <표 Ⅵ-8> 아현산업정보학교의 직업교육현황 178 <표 Ⅵ-9> 한빛고등학교의 생활기술 학습내용 180 <표 Ⅶ-1> 산학협동 도제학습 보수(안) 190 [그림Ⅰ-1] 중·고등학교 중도 탈락생을 중심으로 본 교육적 상황의 조성과 대안직업교육 연결망 구축 4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중·고등학교 중도 탈락생을 위한 대안교육기관의 직업교육기능 강화 방안 | 2002.01.11~2002.09.30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