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업계 고등학교의 직업기초능력 신장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방안
Developing and Implementing Vocational High School Programs to Enhance Key Competencies Needed for the Workforce
- 저자
- 이종성 정향진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02-14)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02.09.30
- 등록일
- 2002.09.30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2. 연구 내용 및 범위 3 3. 연구 방법 5 4. 용어의 정의 10 Ⅱ. 직업기초능력의 개념, 영역 및 수준 11 1. 직업기초능력의 개념 11 2. 직업기초능력의 영역 14 3. 직업기초능력의 수준 45 Ⅲ. 직업기초능력의 개발 전략 및 정책 71 1. 미국 71 2. 영국 84 3. 호주 94 4. 뉴질랜드 105 5. 한국 112 6. 시사점 119 Ⅳ. 실업계 고등학교 교육과정 및 교과서 분석 125 1. 제7차 실업계 고등학교 교육과정 분석 125 2. 실업계 고등학교의 전공 교과서 분석 138 Ⅴ.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실업계 고등학교의 195 1. 응답자의 일반적 사항 195 2. 직업기초능력의 영역별 실태 분석 196 3. 직업기초능력 신장을 위한 교육 요구 조사 222 Ⅵ. 실업계 고등학생의 직업기초능력 신장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교육 방안 237 1. 프로그램 개발 방향 및 지침 237 2. 대인관계능력 신장을 위한 프로그램 240 3. 조직이해능력 신장을 위한 프로그램 250 4. 직업기초능력 신장을 위한 영역별 교육 방안 257 Ⅶ. 결론 및 제언 267 1. 결론 267 2. 제언 269 참고문헌 273 ABSTRACT 281 부록. 설문지 285
본 연구는 실업계 고등학교에서 다루어야 할 직업기초능력 신장에 관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이 갖추어야 할 직업기초능력의 영역과 수준 구명한다. 둘째, 실업계 고등학교에서 실시되고 있는 직업기초능력에 관한 교육의 실태와 교육적 요구를 분석한다. 셋째, 실업계 고등학교에서 다루어야 할 직업기초능력 신장 프로그램을 개발한다. 넷째,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직업기초능력 신장을 위한 교육 방안을 모색한다.
Key competencies refer to the capabilities that everyone should be equipped with in maintaining employment and can be fulfilled through general education to some degree. However, in Korea it has been pointed out that our general education system is ineffective in terms of obtaining practical capabilities related to our jobs, as it depends heavily on memorization.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analyze the status of the key competencies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who have received general education and to facilitate the key competencies through vocational high school. This research analyzed the concept and scope of the key competencies and examined the related literatures and materials to determine its level. ...
<표 Ⅰ- 1> 분석 대상 교과서 및 분석자 6 <표 Ⅰ- 2> 설문 조사 내용 8 <표 Ⅰ- 3> 설문 조사지 배부 및 응답 현황 8 <표 Ⅰ- 4> 프로그램 초안 작성자 9 <표 Ⅱ- 1> SCANS가 제시한 8가지의 직업기초능력 15 <표 Ⅱ- 2> ASTD의 직업기초능력 16 <표 Ⅱ- 3> Michigan의 직업기초능력 17 <표 Ⅱ- 4> New York의 직업기초능력 19 <표 Ⅱ- 5> NAS의 직업기초능력 21 <표 Ⅱ- 6> FEU의 직업기초능력 분류 24 <표 Ⅱ- 7> CBI의 직업기초능력의 영역 27 <표 Ⅱ- 8> NCC의 직업기초능력의 영역 27 <표 Ⅱ- 9> Key skills의 직업기초능력 영역 및 하위 요소 28 <표 Ⅱ-10> Karmel 위원회의 직업기초능력의 영역 30 <표 Ⅱ-11> Finn 위원회의 직업기초능력의 영역 31 <표 Ⅱ-12> Mayer 위원회의 직업기초능력 33 <표 Ⅱ-13> 이무근의 직업기초능력의 영역 37 <표 Ⅱ-14> 정철영의 직업기초능력의 영역과 하위 요소 39 <표 Ⅱ-15> 국내·외 직업기초능력 영역의 종합 43 <표 Ⅱ-16> 직업기초능력의 영역 설정 44 <표 Ⅱ-17> SCANS 보고서의 직업기초능력 수준 46 <표 Ⅱ-18> SCANS의 직무 현장 능력의 하위 요소별 요구 수준 46 <표 Ⅱ-19> Key Skills의 직업기초능력 수준 51 <표 Ⅱ-20> City & Guilds에서 제시한 직업기초능력 영역의 수준 52 <표 Ⅱ-21> Mayer 위윈회의 직업기초능력 수준 55 <표 Ⅱ-22> Mayer 위원회의 하위 영역별 수준 56 <표 Ⅱ-23> NCES의 영역, 하위 영역 및 세부 영역 60 <표 Ⅱ-24> NCES의 수준에 따른 이수 단위 61 <표 Ⅱ-25> NCEA의 영역, 하위 영역 및 세부 영역 62 <표 Ⅱ-26> 정철영 외(2000b)의 직업기초능력 수준 : 고등학교 단계 63 <표 Ⅱ-27> 의사소통능력 수준별 내용 66 <표 Ⅱ-28> 대인관계능력 수준별 내용 67 <표 Ⅱ-29> 문제해결능력 수준별 내용 68 <표 Ⅱ-30> 국내·외 직업기초능력 수준의 종합 69 <표 Ⅲ- 1> SCANS의 직업기초능력과 교육과정의 통합 79 <표 Ⅲ- 2> 호주의 학교 프로그램에서 VET의 참가 학생 수 101 <표 Ⅲ- 3> VET를 시행하는 학교 수 102 <표 Ⅲ- 4> 교육과정 통합 연구학교의 초점 111 <표 Ⅲ- 5> 제7차 국민공통 기본교육과정에 반영된 직업기초능력 116 <표 Ⅲ- 6> 정보 소양 인증제의 수준별 내용 118 <표 Ⅳ- 1> 계열별 분석 대상 교과서 139 <표 Ⅳ- 2> 농업이해의 교과 내용 분석 141 <표 Ⅳ- 3> 농업기초기술의 교과 내용 분석 146 <표 Ⅳ- 4> 농업정보관리 교과 내용 분석 151 <표 Ⅳ- 5> 공업입문 교과 내용 분석 155 <표 Ⅳ- 6> 기초제도 교과 내용 분석 163 <표 Ⅳ- 7> 정보기술기초 교과 내용 분석 166 <표 Ⅳ- 8> 상업경제 교과 내용 분석 169 <표 Ⅳ- 9> 회계원리 교과 내용 분석 173 <표 Ⅳ-10> 컴퓨터일반의 교과 내용 분석 178 <표 Ⅳ-11> 수산일반 교과 내용 분석 182 <표 Ⅳ-12> 해사일반 교과 내용 분석 186 <표 Ⅳ-13> 수산·해운정보처리 교과 내용 분석 190 <표 Ⅳ-14> 교과서 분석 내용의 종합 194 <표 Ⅴ- 1> 실업계 고등학교 응답 교사의 계열별 및 성별 분포 195 <표 Ⅴ- 2> 실업계 고등학교 응답 교사의 담당 교과별 분포 196 <표 Ⅴ- 3> 실업계 고등학교 응답 교사의 재직 연한별 분포 196 <표 Ⅴ- 4> 실업계 고등학교 재학생의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교사의 인식 197 <표 Ⅴ- 5> 계열별 실업계 고등학교 재학생의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교사의 인식 198 <표 Ⅴ- 6> 실업계 고등학교 교사의 직업기초능력 인식: 영역, 하위 요소별 비교 199 <표 Ⅴ- 7> 의사소통능력의 하위 요소별 계열간 차이 202 <표 Ⅴ- 8> 의사소통능력 하위 요소간 담당 교과 교사간의 차이 203 <표 Ⅴ- 9> 수리능력의 하위 요소별 계열간 차이 204 <표 Ⅴ-10> 수리능력 하위 요소간 담당 교과 교사간의 차이 205 <표 Ⅴ-11> 문제해결능력의 하위 요소별 계열간 차이 206 <표 Ⅴ-12> 문제인식능력 하위 요소간 담당 교과 교사간의 차이 207 <표 Ⅴ-13> 자기관리 및 개발능력의 하위 요소별 계열간 차이 208 <표 Ⅴ-14> 자기관리 및 개발 능력 하위 요소간 담당 교과 교사간의 차이 211 <표 Ⅴ-15> 자원활용능력의 하위 요소별 계열간 차이 213 <표 Ⅴ-16> 자원활용능력 하위 요소간 담당 교과 교사간의 차이 214 <표 Ⅴ-17> 대인관계능력의 하위 요소별 계열간 차이 215 <표 Ⅴ-18> 대인관계능력 하위 요소별 담당 교과 교사간의 차이 216 <표 Ⅴ-19> 정보능력의 하위 영역별 계열간 차이 217 <표 Ⅴ-20> 정보능력 하위 요소별 담당 교과 교사간의 차이 218 <표 Ⅴ-21> 기술능력의 하위 영역별 계열간 차이 219 <표 Ⅴ-22> 기술능력 하위 요소별 담당 교과 교사간의 차이 220 <표 Ⅴ-23> 조직이해능력의 하위 요소별 계열간 차이 221 <표 Ⅴ-24> 조직이해능력 하위 요소간 담당 교과 교사간의 차이 222 <표 Ⅴ-25> 직업기초능력 개발 방법에 대한 교사의 의견 223 <표 Ⅴ-26> 계열별 직업기초능력 개발 경로에 대한 의견 224 <표 Ⅴ-27> 직업기초능력 개발을 위한 교육과정 반영 방식에 대한 의견 225 <표 Ⅴ-28> 계열별 직업기초능력 개발을 위한 교육과정 반영 방식에 대한 의견 226 <표 Ⅴ-29> 실업계 고등학교 수업에서 사용되는 교수-학습 방법 227 <표 Ⅴ-30> 실업계 고등학교 교사들이 활용하는 보조적 교수-학습 방법의 적용 비율 228 <표 Ⅴ-31> 직업기초능력 개발에 적합한 교수-학습방법에 대한 의견 229 <표 Ⅴ-32> 신설 교과의 유형에 대한 교사들의 의견 230 <표 Ⅴ-33> 신설 교과의 유형에 대한 계열별 교사들의 의견 231 <표 Ⅴ-34> 신설 교과의 개설 주기에 대한 교사들의 의견 231 <표 Ⅴ-35> 신설 교과의 개설 주기에 대한 계열별 교사들의 의견 232 <표 Ⅴ-36> 신설 교과의 담당 교사에 대한 교사들의 의견 232 <표 Ⅴ-37> 신설 교과의 담당 교사에 대한 계열별 교사들의 의견 233 <표 Ⅴ-38> 신설 교과의 수업 방법에 대한 교사들의 의견 233 <표 Ⅴ-39> 신설 교과의 수업 방법에 대한 계열별 교사들의 의견 234 <표 Ⅴ-40> 신설 교과의 학급 인원에 대한 교사들의 의견 234 <표 Ⅴ-41> 신설 교과의 학급 인원에 대한 계열별 교사들의 의견 235 <표 Ⅵ- 1> 수리능력과 수학 교과 내용의 비교 258 <표 Ⅵ- 2> 의사소통능력과 국어 및 영어 교과 내용의 비교 259 <표 Ⅵ- 3> 자기관리 및 개발 능력과 직업과 진로 과목의 내용 비교 265 [그림 Ⅲ-1] Learning A Living 체제에서 정보의 흐름도 78 [그림 Ⅲ-2] 학문자격증과 직업자격증과의 관계 94 [그림 Ⅲ-3] 호주 직업기초능력의 변화 과정 97 [그림 Ⅲ-4] VET 계획 수립 과정 104 [그림 Ⅲ-5] 뉴질랜드 교육과정의 틀 110 [그림 Ⅳ-1] 제7차 교육과정의 편제 128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실업계 고등학교의 직업기초능력 신장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방안 | 2002.01.11~2002.09.30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