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Ⅰ-1> 학교급별 지역규모별 참가 학교 수 및 학생 수 7
<표 Ⅰ-2> 성별, 처치별 표본 크기 7
<표 Ⅰ-3> 조사 대상 집단별 설문 내용 및 순서 8
<표 Ⅰ-4> 설문 내용 및 해당 문항 9
<표 Ⅰ-5> 측정도구의 신뢰도 12
<표 Ⅰ-6> 지필검사와 인터넷검사를 동시에 실시한 학생 수 13
<표 Ⅱ-1> 직업적성검사의 타 적성검사와의 상관 23
<표 Ⅱ-2> 직업적성검사와 학업성적과의 상관 24
<표 Ⅱ-3> 직업적성검사 하위영역간 상관계수 25
<표 Ⅲ-1> 다양한 능력의 중요성 인식 관련 문항별 반응 비율 32
<표 Ⅲ-2> 다양한 능력의 중요성 인식에 대한 중다회귀분석 결과 33
<표 Ⅲ-3> 자아성찰 관련 문항별 반응 비율 33
<표 Ⅲ-4> 자아성찰의 기회로 인식하는 정도에 대한 중다회귀분석 결과 34
<표 Ⅲ-5> 능력에 대한 자신감 관련 문항별 반응 비율 35
<표 Ⅲ-6> 능력에 대한 자신감에 대한 중다회귀분석 결과 36
<표 Ⅲ-7> 검사 결과 반영 관련 문항별 반응 비율 37
<표 Ⅲ-8> 검사 결과 반영 의지에 대한 중다회귀분석 결과 38
<표 Ⅲ-9> 자아이해와 진로탐색 동기 변화 반복측정분석 결과 39
<표 Ⅲ-10> 검사 실시집단과 통제집단의 1개월 후 자아이해 및 진로탐색 동기 차이 비교 ANCOVA 결과 40
<표 Ⅲ-11> 초기 기대 수준별 자아이해 및 진로탐색 동기의 변화 2원 반복측정분석 결과 40
<표 Ⅲ-12> 초기 자아이해 수준에 따른 자아이해 및 진로탐색 동기 변화 42
<표 Ⅲ-13> 초기 진로탐색 동기 수준에 따른 자아이해 및 진로탐색 동기 변화 2원 반복측정분석 결과 43
<표 Ⅲ-14> 학업성적 수준에 따른 자아이해 및 진로탐색 동기 변화 2원 반복측정분석 결과 44
<표 Ⅲ-15> 검사 결과 이해 수준에 따른 자아이해 및 진로탐색 동기 변화 2원 반복측정분석 결과 45
<표 Ⅲ-16> 기대 및 결과 반영 의지 변화 2원 반복측정 분석 결과 46
<표 Ⅲ-17> 검사 실시 집단과 통제 집단의 1개월 후 차이 비교 ANCOVA 결과 47
<표 Ⅲ-18> 초기 기대 수준에 따른 검사에 대한 기대 및 결과 반영 의지 변화 2원 반복측정분석 결과 48
<표 Ⅲ-19> 초기 자아이해 수준에 따른 검사에 대한 기대 및 결과 반영 의지 변화 2원 반복측정분석 결과 49
<표 Ⅲ-20> 초기 진로탐색 수준에 따른 검사에 대한 기대 및 결과 반영 의지 변화 2원 반복측정 분석 결과 50
<표 Ⅲ-21> 성적 수준에 따른 검사에 대한 기대 및 결과 반영 의지 변화 2원 반복측정 분석 결과 51
<표 Ⅲ-22> 검사 결과 이해 수준별 검사에 대한 기대 및 결과 반영 의지 변화 2원 반복 측정 분석 결과 52
<표 Ⅲ-23>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 및 검사 결과 받은 지 1개월 후 평균 및 공변량 분석 결과 53
<표 Ⅲ-24> 검사과정 및 검사 결과표의 교육적 효과 문항 평균 54
<표 Ⅲ-25> 전문상담원 해석 소집단 자아이해 및 진로탐색 동기변화 반복측정 분석 결과 55
<표 Ⅲ-26> 전문상담원 해석 소집단의 검사에 대한 기대 및 결과 반영 의지 변화 반복측정 분석 결과 56
<표 Ⅲ-27> 검사과정 및 검사 결과표의 교육적 효과에 관한 조사 요약 58
<표 Ⅲ-28> 적성검사 실시 전후의 진로관련 특성 변화 요약 59
<표 Ⅵ-1> 시간의 흐름에 따른 진로결정의 변화 양상에 따른 빈도 62
<표 Ⅳ-2> 사전과 1개월 후의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진로미결정 비율 63
<표 Ⅳ-3> 진로결정 내용의 변화 유형별 빈도 및 비율 65
<표 Ⅳ-4> 진로선택이 변함없는 학생과 지속적으로 미결정인 학생의 특성 비교 67
<표 Ⅳ-5> 검사 결과를 받은 후 직업명의 변화 내용 68
<표 Ⅳ-6> 적성검사 하위영역별 수준을 정확하게 기억하는 비율 70
<표 Ⅳ-7> 직업군별로 적합한 것으로 판정된 학생 비율 및 그 적합성을 정확하게 기억하는 학생 비율 72
<표 Ⅴ-1> 지필검사와 인터넷 검사 평균 78
<표 Ⅴ-2> 처치유형별, 시험방식별, 하위영역별 적성검사 평균점수 차이비교 80
<표 Ⅴ-3> 지필검사와 인터넷 검사의 상관 81
<표 Ⅴ-4> 검사과정의 교육적 효과에 대한 이원변량분석 결과 83
<표 Ⅴ-5> 검사 결과표의 교육적 효과에 대한 이원변량분석 결과 84
<표 Ⅴ-6> 시험방식과 안내유무, 시점에 따른 기술통계 85
<표 Ⅴ-7> 시험방식, 안내 유무, 시점에 따른 반복측정 분석 결과 86
<표 Ⅴ-8> 시험방식과 안내유무, 시점에 따른 기술통계 87
<표 Ⅴ-9> 시험방식, 안내 유무, 시점에 따른 반복측정 분석 87
<표 Ⅴ-10> 검사에 대한 호감도 문항별 비율 88
<표 Ⅴ-11> 직업적성검사 호감도에 대한 중다회귀분석 결과 89
<표 Ⅴ-12> 객관적으로 응답한 것 관련 문항별 비율 89
<표 Ⅴ-13> 객관적으로 평가하려고 노력한 정도에 대한 중다회귀분석 결과 90
<표 Ⅴ-14> 검사 결과 이해 관련 문항별 반응 비율 91
<표 Ⅴ-15> 검사 결과 이해에 대한 중다회귀분석 결과 92
<표 Ⅴ-16> 검사 결과 신뢰와 관련된 문항별 비율 93
<표 Ⅴ-17> 결과 신뢰에 대한 중다회귀분석 결과 94
<표 Ⅴ-18> 시험방식과 안내유무에 따른 직업적성검사 및 결과표에 대한 인식 차이 이원변량분석 결과 95
<표 Ⅴ-19> 직업적성검사 및 검사 결과표에 대한 인식에 관한 조사 결과 98
[그림 Ⅲ-1] 적성검사에 대한 기대 수준별, 시점에 따른 특성 변화 41
[그림 Ⅲ-2] 자아이해의 수준에 따른 제 특성의 변화 42
[그림 Ⅲ-3] 진로탐색 수준별 시점에 따른 변화 43
[그림 Ⅲ-4] 학업 성적 수준별 시점에 따른 변화 44
[그림 Ⅲ-5] 검사 결과이해 수준별 시점에 따른 변화 45
[그림 Ⅲ--6] 초기 기대 수준별 시점에 따른 변화 48
[그림 Ⅲ-7] 자아이해 수준별 시점에 따른 변화 49
[그림 Ⅲ-8] 초기 진로탐색 동기 수준별 시점에 따른 변화 50
[그림 Ⅲ-9] 학업 성적 수준별 시점에 따른 변화 51
[그림 Ⅲ-10] 검사 결과 이해 수준별 시점에 따른 변화 52
[그림 Ⅳ-1] 직업군별 적합 여부를 정확하게 기억하고 있는 비율 73
[그림 Ⅴ-1] 시험방식과 안내유무에 따른 자아성찰 정도 83
[그림 Ⅴ-2] 시험방식과 안내유무에 따른 객관적으로 응답한 정도 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