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직업적성검사 효과 분석 연구

The Effects of The Vocational Aptitude Inventory for Secondary School Students
저자
임언 정윤경
분류정보
기본연구(2002-17)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02.11.30
등록일
2002.11.30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방법 6
Ⅱ. 검사의 효과에 관한 선행 연구 15
  1. 검사의 사용 목적 15
  2. 적성검사의 타당도 17
  3. 직업적성검사의 타당도 21
  4. 진로관련 검사의 효과에 관한 선행연구 28
Ⅲ. 직업적성검사의 효과 31
  1. 검사를 치르는 과정의 효과 31
  2. 검사 결과표의 효과 34
  3. 자아이해 및 진로탐색 동기의 변화 38
  4 . 검사에 대한 기대 및 검사 결과 반영 의지의 변화 45
  5.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진로관련 특성 변화 차이 52
  6. 전문 상담원에 의한 집단 상담 상황에서의 검사의 효과 53
  7. 단원 요약 56
Ⅳ. 적성검사에 따른 진로결정의 변화 61
  1. 진로결정 상태의 변화 61
  2. 진로결정 내용의 변화 63
  3. 검사 결과의 기억 68
  4. 단원 요약 74
Ⅴ. 시험방식과 결과 안내의 효과 및 검사에 대한 인식 77
  1. 인터넷 검사와 지필검사의 기본 특성 비교 77
  2. 시험방식과 안내 유무에 따른 효과 차이 82
  3. 직업적성검사 및 검사 결과표에 대한 인식 88
  4. 단원 요약 96
Ⅵ. 결론 및 제언 99
  1. 요약 및 결론 99
  2. 제언 및 후속 연구 과제 103
참 고 문 헌 107
부록 1. 기술통계치 117
부록 2. 설문 1: 적성검사 실시 전 125
부록 3. 설문 2: 검사 실시 직후 129
부록 4. 설문 3: 결과 받은 직후 131
부록 5. 설문 4: 검사 결과 받은 지 1개월 후 135
  본 연구는 직업적성검사가 학생들에게 어떠한 교육적 효과가 있는가를 알아보고자 한다. 즉, 검사를 치르는 과정 및 검사 결과표를 받는 것에서 학생들은 무엇을 학습하고 인식하게 되는가, 또한 이 모든 과정들이 학생들의 진로관련 특성들을 어떻게 변화시키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표 Ⅰ-1> 학교급별 지역규모별 참가 학교 수 및 학생 수 7
<표 Ⅰ-2> 성별, 처치별 표본 크기 7
<표 Ⅰ-3> 조사 대상 집단별 설문 내용 및 순서 8
<표 Ⅰ-4> 설문 내용 및 해당 문항 9
<표 Ⅰ-5> 측정도구의 신뢰도 12
<표 Ⅰ-6> 지필검사와 인터넷검사를 동시에 실시한 학생 수 13
<표 Ⅱ-1> 직업적성검사의 타 적성검사와의 상관 23
<표 Ⅱ-2> 직업적성검사와 학업성적과의 상관 24
<표 Ⅱ-3> 직업적성검사 하위영역간 상관계수 25
<표 Ⅲ-1> 다양한 능력의 중요성 인식 관련 문항별 반응 비율 32
<표 Ⅲ-2> 다양한 능력의 중요성 인식에 대한 중다회귀분석 결과 33
<표 Ⅲ-3> 자아성찰 관련 문항별 반응 비율 33
<표 Ⅲ-4> 자아성찰의 기회로 인식하는 정도에 대한 중다회귀분석 결과 34
<표 Ⅲ-5> 능력에 대한 자신감 관련 문항별 반응 비율 35
<표 Ⅲ-6> 능력에 대한 자신감에 대한 중다회귀분석 결과 36
<표 Ⅲ-7> 검사 결과 반영 관련 문항별 반응 비율 37
<표 Ⅲ-8> 검사 결과 반영 의지에 대한 중다회귀분석 결과 38
<표 Ⅲ-9> 자아이해와 진로탐색 동기 변화 반복측정분석 결과 39
<표 Ⅲ-10> 검사 실시집단과 통제집단의 1개월 후 자아이해 및 진로탐색 동기 차이 비교 ANCOVA 결과 40
<표 Ⅲ-11> 초기 기대 수준별 자아이해 및 진로탐색 동기의 변화 2원 반복측정분석 결과 40
<표 Ⅲ-12> 초기 자아이해 수준에 따른 자아이해 및 진로탐색 동기 변화 42
<표 Ⅲ-13> 초기 진로탐색 동기 수준에 따른 자아이해 및 진로탐색 동기 변화 2원 반복측정분석 결과 43
<표 Ⅲ-14> 학업성적 수준에 따른 자아이해 및 진로탐색 동기 변화 2원 반복측정분석 결과 44
<표 Ⅲ-15> 검사 결과 이해 수준에 따른 자아이해 및 진로탐색 동기 변화 2원 반복측정분석 결과 45
<표 Ⅲ-16> 기대 및 결과 반영 의지 변화 2원 반복측정 분석 결과 46
<표 Ⅲ-17> 검사 실시 집단과 통제 집단의 1개월 후 차이 비교 ANCOVA 결과 47
<표 Ⅲ-18> 초기 기대 수준에 따른 검사에 대한 기대 및 결과 반영 의지 변화 2원 반복측정분석 결과 48
<표 Ⅲ-19> 초기 자아이해 수준에 따른 검사에 대한 기대 및 결과 반영 의지 변화 2원 반복측정분석 결과 49
<표 Ⅲ-20> 초기 진로탐색 수준에 따른 검사에 대한 기대 및 결과 반영 의지 변화 2원 반복측정 분석 결과 50
<표 Ⅲ-21> 성적 수준에 따른 검사에 대한 기대 및 결과 반영 의지 변화 2원 반복측정 분석 결과 51
<표 Ⅲ-22> 검사 결과 이해 수준별 검사에 대한 기대 및 결과 반영 의지 변화 2원 반복 측정 분석 결과 52
<표 Ⅲ-23>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 및 검사 결과 받은 지 1개월 후 평균 및 공변량 분석 결과 53
<표 Ⅲ-24> 검사과정 및 검사 결과표의 교육적 효과 문항 평균 54
<표 Ⅲ-25> 전문상담원 해석 소집단 자아이해 및 진로탐색 동기변화 반복측정 분석 결과 55
<표 Ⅲ-26> 전문상담원 해석 소집단의 검사에 대한 기대 및 결과 반영 의지 변화 반복측정 분석 결과 56
<표 Ⅲ-27> 검사과정 및 검사 결과표의 교육적 효과에 관한 조사 요약 58
<표 Ⅲ-28> 적성검사 실시 전후의 진로관련 특성 변화 요약 59
<표 Ⅵ-1> 시간의 흐름에 따른 진로결정의 변화 양상에 따른 빈도 62
<표 Ⅳ-2> 사전과 1개월 후의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진로미결정 비율 63
<표 Ⅳ-3> 진로결정 내용의 변화 유형별 빈도 및 비율 65
<표 Ⅳ-4> 진로선택이 변함없는 학생과 지속적으로 미결정인 학생의 특성 비교 67
<표 Ⅳ-5> 검사 결과를 받은 후 직업명의 변화 내용 68
<표 Ⅳ-6> 적성검사 하위영역별 수준을 정확하게 기억하는 비율 70
<표 Ⅳ-7> 직업군별로 적합한 것으로 판정된 학생 비율 및 그 적합성을 정확하게 기억하는 학생 비율 72
<표 Ⅴ-1> 지필검사와 인터넷 검사 평균 78
<표 Ⅴ-2> 처치유형별, 시험방식별, 하위영역별 적성검사 평균점수 차이비교 80
<표 Ⅴ-3> 지필검사와 인터넷 검사의 상관 81
<표 Ⅴ-4> 검사과정의 교육적 효과에 대한 이원변량분석 결과 83
<표 Ⅴ-5> 검사 결과표의 교육적 효과에 대한 이원변량분석 결과 84
<표 Ⅴ-6> 시험방식과 안내유무, 시점에 따른 기술통계 85
<표 Ⅴ-7> 시험방식, 안내 유무, 시점에 따른 반복측정 분석 결과 86
<표 Ⅴ-8> 시험방식과 안내유무, 시점에 따른 기술통계 87
<표 Ⅴ-9> 시험방식, 안내 유무, 시점에 따른 반복측정 분석 87
<표 Ⅴ-10> 검사에 대한 호감도 문항별 비율 88
<표 Ⅴ-11> 직업적성검사 호감도에 대한 중다회귀분석 결과 89
<표 Ⅴ-12> 객관적으로 응답한 것 관련 문항별 비율 89
<표 Ⅴ-13> 객관적으로 평가하려고 노력한 정도에 대한 중다회귀분석 결과 90
<표 Ⅴ-14> 검사 결과 이해 관련 문항별 반응 비율 91
<표 Ⅴ-15> 검사 결과 이해에 대한 중다회귀분석 결과 92
<표 Ⅴ-16> 검사 결과 신뢰와 관련된 문항별 비율 93
<표 Ⅴ-17> 결과 신뢰에 대한 중다회귀분석 결과 94
<표 Ⅴ-18> 시험방식과 안내유무에 따른 직업적성검사 및 결과표에 대한 인식 차이 이원변량분석 결과 95
<표 Ⅴ-19> 직업적성검사 및 검사 결과표에 대한 인식에 관한 조사 결과 98
[그림 Ⅲ-1] 적성검사에 대한 기대 수준별, 시점에 따른 특성 변화 41
[그림 Ⅲ-2] 자아이해의 수준에 따른 제 특성의 변화 42
[그림 Ⅲ-3] 진로탐색 수준별 시점에 따른 변화 43
[그림 Ⅲ-4] 학업 성적 수준별 시점에 따른 변화 44
[그림 Ⅲ-5] 검사 결과이해 수준별 시점에 따른 변화 45
[그림 Ⅲ--6] 초기 기대 수준별 시점에 따른 변화 48
[그림 Ⅲ-7] 자아이해 수준별 시점에 따른 변화 49
[그림 Ⅲ-8] 초기 진로탐색 동기 수준별 시점에 따른 변화 50
[그림 Ⅲ-9] 학업 성적 수준별 시점에 따른 변화 51
[그림 Ⅲ-10] 검사 결과 이해 수준별 시점에 따른 변화 52
[그림 Ⅳ-1] 직업군별 적합 여부를 정확하게 기억하고 있는 비율 73
[그림 Ⅴ-1] 시험방식과 안내유무에 따른 자아성찰 정도 83
[그림 Ⅴ-2] 시험방식과 안내유무에 따른 객관적으로 응답한 정도 95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적성검사 효과 분석 연구 2002.01.11~2002.10.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