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의 취업동아리 육성 방안 연구
A Policy Study on University Student Club Activities for Employment
- 저자
- 장석민 김나라 유영미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02-18)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02.11.30
- 등록일
- 2002.11.30
연구요약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의 내용 2 3. 연구의 방법 4 4. 연구의 범위 및 대상 5 Ⅱ. 선행 연구 및 관련 문헌 분석 7 1. 대졸 실업 예방과 대학의 진로지도 7 2. 대학의 진로지도와 대학생의 동아리 활동 8 3. 대학의 동아리 활동 현황 17 4. 대학의 취업동아리 활동 35 Ⅲ. 외국 대학의 동아리 활동 45 1. 미국 대학의 사례 45 2. 일본 대학의 사례 55 3. 전공동아리 활동 조직 구성의 예 : TECA 61 4. 시사점 68 Ⅳ. 대학의 취업동아리 실태 및 육성 방안에 관한 설문 조사 71 1. 설문 조사 방법 및 내용 71 2. 설문지 회수 및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 76 3. 학생들에 대한 설문지 조사 결과 80 4. 동아리 지도 교수들에 대한 설문지 조사 결과 96 5. 취업지도 담당 직원들에 대한 설문지 조사 결과 105 6. 설문지 결과의 전체 의견 종합 비교 분석 116 Ⅴ. 대학의 취업동아리 육성 방안 125 1. 취업동아리의 운영 방식, 활동 내용 및 방법 125 2. 취업동아리 육성을 위한 대학의 지원 방안 128 3. 취업동아리 육성을 위한 정부 및 지역사회의 지원 방안 130 Ⅵ. 요약 및 제안 133 1. 요약 133 2. 대학의 취업동아리 육성 방안 실현을 위한 제안 138 참고문헌 145 ABSTRACT 151 부 록 155 <부록 1> 학생용 설문지 157 <부록 2> 동아리 지도 교수용 설문지 165 <부록 3> 취업지도 담당 직원용 설문지 171
동아리 활동이 취업과 창업을 촉진하는 매개 수단으로 기능할 가능성과 필요성이 높아졌다는 점에서 이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의 필요성이 제고되고있다. 이러한 필요성에 입각하여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취업과 창업을 촉진하는 데 도움이 되는 동아리 활동의 육성 및 지원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This research study is to explore some policy measures on university student club activities for employment. Depending upon IMF economic crisis, the importance of career and vocational guidance is more broadly recognized especially at universities and colleges because of their high graduate unemployment rate. In this research, student club activities were studied as a means of exploring and preparing student's careers. Document analysis including previous research articles was conducted to identify national policy ideas on students club activities being helped for student's career exploration and employment.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current status of university student's club activities and to confirm the feasibility of policy ideas on career club activities. The conference of career guidance specialists and experts was held to formulate policy measures on university students career club activities including career guidance programs, university supporting systems, and national and community supporting systems. This research study have finally identified 3 categories of policy measures on student career club activities which can be utilized in Korean situation . The first category is about career club program contents and activity methods.
<표 Ⅱ-1> 4년제 대학들의 진로과목 개설 현황 12 <표 Ⅱ-2> 대학의 진로지도 관련 조직 및 활동 16 <표 Ⅱ-3> 서울대학교 본부 동아리 등록 현황(2001학년 2학기) 25 <표 Ⅱ-4> 국민대학교 동아리 등록 현황 26 <표 Ⅱ-5> 남부대학교의 동아리 활동 내용 27 <표 Ⅱ-6> 이화여자대학교 동아리 등록 현황 28 <표 Ⅱ-7> 청주교육대학교 동아리 등록 현황(2001학년 2학기) 29 <표 Ⅲ-1> 오하이오 주립대학교(OSU)의 동아리 현황 47 <표 Ⅲ-2> 텍사스 에이엔엠 대학교(Texas A&M)의 동아리 현황 51 <표 Ⅲ-3> 프린스턴(Princeton) 대학교의 동아리 현황 54 <표 Ⅲ-4> 메이지 대학(Meiji University)의 동아리 현황 58 <표 Ⅳ-1> 표집 방법 및 조사 대상자 선정 72 <표 Ⅳ-2> 동아리 활동 실태 조사를 위한 설문지 내용 74 <표 Ⅳ-3> 취업동아리 활동 육성 방안에 관한 설문지 내용 75 <표 Ⅳ-4> 설문지 회수율 76 <표 Ⅳ-5> 설문 조사 대상 및 응답자 수 79 <표 Ⅳ-6> 대학생들의 동아리 활동 참여 현황 80 <표 Ⅳ-7> 대학생들이 참여하고 있는 동아리 수 81 <표 Ⅳ-8> 대학생들의 동아리 소속 분과 81 <표 Ⅳ-9> 대학생들의 동아리 활동 참여 목적 및 동기 82 <표 Ⅳ-10> 대학생들의 동아리 활동 성취 정도 82 <표 Ⅳ-11> 대학생들의 동아리 활동 가입 시기 83 <표 Ⅳ-12> 대학생들의 동아리 활동 참여 기간 84 <표 Ⅳ-13> 대학생들의 동아리 활동 참여 태도 84 <표 Ⅳ-14> 동아리 활동이 취업 준비에 도움이 되는 정도 85 <표 Ⅳ-15> 동아리 활동이 취업 준비에 도움이 되는 측면 85 <표 Ⅳ-16> 학교생활 우선 순위 86 <표 Ⅳ-17> 대학 졸업 후의 계획 87 <표 Ⅳ-18> 대학생들의 취업 준비에의 어려운 점 87 <표 Ⅳ-19> 대학생들의 학생생활연구소/ 취업정보센터 이용 정도 88 <표 Ⅳ-20> 대학생들의 취업정보 수집 방법 우선 순위 89 <표 Ⅳ-21> 대학생들의 진로/ 취업 관련 과목 수강 현황 89 <표 Ⅳ-22> 대학생들의 진로/ 취업 관련 과목 미수강 이유 90 <표 Ⅳ-23> 학과 공부와 취업과의 연관 정도에 대한 대학생들의 의견 91 <표 Ⅳ-24> 대학생들의 취업동아리 참여 의향 91 <표 Ⅳ-25> 취업동아리 운영 방식에 대한 대학생들의 의견 92 <표 Ⅳ-26> 취업동아리의 활동 내용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 및 요구 93 <표 Ⅳ-27> 취업동아리의 활동 방법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 및 요구 94 <표 Ⅳ-28> 대학의 지원 방안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 및 요구 95 <표 Ⅳ-29> 정부 및 지역사회의 지원 방안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 및 요구 96 <표 Ⅳ-30> 동아리 지도 교수들의 담당 동아리 분과 97 <표 Ⅳ-31> 동아리 지도 교수들의 동아리 지도 기간 97 <표 Ⅳ-32> 동아리 지도 방법에 대한 동아리 지도 교수들의 의견 98 <표 Ⅳ-33> 동아리 지도에 대한 교수들의 시간과 노력의 할애 정도 99 <표 Ⅳ-34> 바람직한 동아리 지도 방법에 대한 지도 교수들의 의견 99 <표 Ⅳ-35> 취업동아리 운영 방식에 대한 동아리 지도 교수들의 의견 100 <표 Ⅳ-36> 취업동아리의 활동 내용에 대한 지도 교수들의 인식 및 요구 101 <표 Ⅳ-37> 취업동아리의 활동 방법에 대한 지도 교수들의 인식 및 요구 102 <표 Ⅳ-38> 대학의 지원 방안에 대한 지도 교수들의 인식 및 요구 103 <표 Ⅳ-39> 정부 및 지역사회의 지원 방안에 대한 동아리 지도 교수들의 인식 및 요구 104 <표 Ⅳ-40> 전체 학생 수와 동아리 활동 참여 학생 수 105 <표 Ⅳ-41> 동아리 수 와 동아리방을 확보한 동아리 수 106 <표 Ⅳ-42> 대학의 동아리 활동 지원금과 학생회의 동아리 활동 지원금 106 <표 Ⅳ-43> 동아리 활동 지원금의 적절성에 대한 인식 정도 107 <표 Ⅳ-44> 동아리에 대한 행·재정적 지원 현황 107 <표 Ⅳ-45> 동아리 활동의 운영 형태 108 <표 Ⅳ-46> 대학의 취업지도/ 취업정보실의 운영 실태 109 <표 Ⅳ-47> 대학의 취업상담 서비스 제공 현황 109 <표 Ⅳ-48> 취업정보실의 현장 직업체험 프로그램 정보의 제공 현황 110 <표 Ⅳ-49> 취업동아리 전담 행정기구의 운영 실태 110 <표 Ⅳ-50> 취업동아리 운영 방식에 대한 취업지도 담당 직원들의 의견 111 <표 Ⅳ-51> 취업동아리의 주요 활동 내용에 대한 취업지도 담당 직원들의 인식 및 요구 112 <표 Ⅳ-52> 취업동아리의 주요 활동 방법에 대한 취업지도 담당 직원들의 인식 및 요구 113 <표 Ⅳ-53> 대학의 지원 방안에 대한 취업지도 담당 직원들의 인식 및 요구 114 <표 Ⅳ-54> 정부 및 지역사회의 지원 방안에 대한 취업지도 담당 직원들의 인식 및 요구 115 <표 Ⅳ-55> 취업동아리 운영 방식에 대한 전체 의견 117 <표 Ⅳ-56> 취업동아리의 주요 활동 내용에 대한 전체 인식 및 요구 118 <표 Ⅳ-57> 취업동아리의 주요 활동 방법에 대한 전체 인식 및 요구 120 <표 Ⅳ-58> 대학의 지원 방안에 대한 전체 인식 및 요구 122 <표 Ⅳ-59> 정부 및 지역사회의 지원 방안에 대한 전체 인식 및 요구 124 [그림 Ⅱ-1] 코센과 일반 대학생들의 취업률 비교 34 [그림 Ⅲ-1] TECA의 조직 구성도 62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대학의 취업동아리 육성방안 연구 | 2002.01.11~2002.10.31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