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사업체 HRD 조사(2002)

Year 2002 Survey of HRD in Enterprises
저자
오영훈 주용국 김수원 홍선이
분류정보
기본연구(2002-20)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02.10.31
등록일
2002.10.31
연구 요약
Ⅰ. 연구 개요 1
  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내용 2
 3. 연구 방법 3
Ⅱ. 실태 조사를 위한 조사의 설계 5
  1. 모집단 및 표본 설계 5
  2. 실사 진행 결과 12
  3. 설문조사지의 개발 15
Ⅲ. 사업장의 인력 수급 현황 23
  1. 사업장의 일반적 특성 23
  2. 인력 수급 현황 23
Ⅳ. 사업장의 인적자원개발 37
  1. 인력자원 관리제도 37
  2. 인력개발 운영 체제 39
  3. 교육훈련 투자 43
  4. 노동조합의 교육훈련 참여 형태 48
  5. 인력개발제도 운영 실태 49
  6. 종업원 경력개발 52
  7. 자격 제도의 운영 56
  8. 인력개발 추진상의 문제점 59
Ⅴ. 교육훈련 운영 실태 62
  1. 교육훈련의 운영 62
  2. 2001년 교육훈련 실시 실태 66
  3. 직업능력개발훈련 실태 69
Ⅵ. 인적자원개발(HRD) 파트너십 89
  1. 사업장 HRD 파트너십 실태 89
  2. 대학생 취업 능력 제고 프로그램 운영 실태 94
Ⅶ. 연구 결과 요약 및 제언 99
  1. 연구결과 요약 및 시사점 99
  2. 사업체 인적자원개발 DB의 컨텐츠 108
  3. 제언 109
참고 문헌 111
ABSTRACT 113
[부록 1] 독일의 사업체 HRD 조사 119
[부록 2] 설문조사지 129
  본 연구는 2001년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서 수행한 기업의 인적자원개발 실태 조사에 관한 기초 연구의 후속 연구로서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가진다.
  첫째, 사업체의 인적자원개발 실태 조사를 위해서 선행 연구의 조사지를 수정·보완하여 조사지를 개발한다.
  둘째, 개발된 조사지를 이용하여 우리 나라 사업체의 인적자원개발 실태 파악을 위한 조사를 실시한다.
  셋째, 사업체의 인적자원개발 DB 구축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한다.
  넷째, 인적자원개발의 정책 방향 수립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한다.
The human resource development (HRD) policy should be based on the comprehensive data that are acquired through scientific and systematic research considering the radical changes of industrial structure and labor markets, and the firms' responses to the challenges of the changes.
However, the actual states of HRD in enterprises has not yet been accurately or concretely grasped, which works as an obstacle to the establishment and implementation of an effective HRD policy. This means that the basic data on HRD in enterprises should be collected and constructed in advance.
This study was a annually continuous study to "A Preliminary Study on the Current State of HRD in Enterprises", conducted in 2001. The purpose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
<표 Ⅱ-1> 사업장 규모별, 지역별 모집단 분포 7
<표 Ⅱ-2> 표본 수 조정 8
<표 Ⅱ-3> 사업장 규모별, 지역별 표본 분포 8
<표 Ⅱ-4> 사업장 규모별, 업종별 표본 분포 9
<표 Ⅱ-5> 사업장 규모별, 업종별 모집단 분포 10
<표 Ⅱ-6> 설문지 회수 성공률 13
<표 Ⅱ-7> 사업장 종업원 규모별 실사 결과 14
<표 Ⅱ-8> 조사 불능 사유 14
<표 Ⅱ-9> 설문조사지 조사 항목 및 조사 내용 20
<표 Ⅲ-1> 분석 대상 사업장의 특성 24
<표 Ⅲ-2> 사업장 규모별 인력 수급 현황 25
<표 Ⅲ-3> 업종별 인력수급 현황 26
<표 Ⅲ-4> 사업장 규모별 인력 충원 방법 27
<표 Ⅲ-5> 업종별 인력 충원 방법 28
<표 Ⅲ-6> 인력 선발 때 고려 요소 29
<표 Ⅲ-7> 사업장 규모별 기술·생산 공정의 변화에 따른 인력 수요 전망 30
<표 Ⅲ-8> 업종별 기술·생산 공정의 변화에 따른 인력 수요 전망 31
<표 Ⅲ-9> 사업장 규모별 향후 인력수요 증가시 충원방법 32
<표 Ⅲ-10> 업종별 향후 인력 수요 증가 때 충원 방법 33
<표 Ⅲ-11> 사업장 규모별 인력 충원이 어려운 이유 34
<표 Ⅲ-12> 업종별 인력 충원이 어려운 이유 35
<표 Ⅲ-13> 1999, 2000, 2001년 신규 졸업자, 경력자 채용 인원 36
<표 Ⅳ-1> 사업장 규모별 인력자원 관리제도 38
<표 Ⅳ-2> 업종별 인력자원 관리제도 39
<표 Ⅳ-3> 인력개발 담당 부서 현황 40
<표 Ⅳ-4> 인력개발 담당자 수 및 평균 근속 연수 40
<표 Ⅳ-5> 인력개발 담당자의 위상 41
<표 Ⅳ-6> 인력개발 담당 부서의 운영 형태 41
<표 Ⅳ-7> 교육훈련 프로그램 제공 여부 42
<표 Ⅳ-8> 교육훈련과정 이수 43
<표 Ⅳ-9> 교육예산 편성기준 44
<표 Ⅳ-10> 2001년 교육훈련 투자비용 45
<표 Ⅳ-11> 신입사원 교육훈련비 지출 실태 45
<표 Ⅳ-12> 1999∼2001년도 신입사원 교육훈련비 비교 46
<표 Ⅳ-13> 인력개발 체계 정도 47
<표 Ⅳ-14> 노동조합 또는 노사협의회 운영 여부 48
<표 Ⅳ-15> 직원의 인력개발에 대한 노조와 노사협의회의 참여 형태 49
<표 Ⅳ-16> 사업장의 인력개발제도 50
<표 Ⅳ-17> 노동부 직업능력개발 지원제도의 활용 51
<표 Ⅳ-18> 정부의 교육훈련비 제도가 없을 경우 교육훈련 변화 예상 52
<표 Ⅳ-19> 경력개발제도 도입 여부 53
<표 Ⅳ-20> 경력개발제도 도입 목적 53
<표 Ⅳ-21> 경력개발 방법 54
<표 Ⅳ-22> 향후 종업원 경력개발 프로그램 도입 계획 여부 55
<표 Ⅳ-23> 경력개발제도 도입·운영상의 문제점 56
<표 Ⅳ-24> 사업장의 사내 자격 운영 여부 57
<표 Ⅳ-25> 사업장의 사내 자격제도 운영 종류 57
<표 Ⅳ-26> 사내자격 도입 계획 여부 57
<표 Ⅳ-27> 자격증 소지 여부가 인사관리제도에 미치는 영향 58
<표 Ⅳ-28> 인력개발추진의 애로점 60
<표 Ⅳ-29> 인력개발의 개선점 61
<표 Ⅴ-1> 근로자가 갖추어야 할 소양 62
<표 Ⅴ-2> 교육훈련 대상자 선정 때 의견 반영자 63
<표 Ⅴ-3> 중점 교육훈련 대상 1 순위 64
<표 Ⅴ-4> 중점 교육훈련 대상 1 순위자 근무 연수 64
<표 Ⅴ-5> 사업장 규모별 중점 교육훈련 대상 1 순위자 근무 연수 64
<표 Ⅴ-6> 교육훈련 내용 선정 때 의견 반영자 65
<표 Ⅴ-7> 교육훈련 기관 선정 때 고려 사항 66
<표 Ⅴ-8> 지난해(2001년) 교육훈련 실시 여부 67
<표 Ⅴ-9> 2001년 실시한 교육훈련의 종류 68
<표 Ⅴ-10> 2001년 신규 채용 인력에 대한 재교육 실시 여부 68
<표 Ⅴ-11> 2001년 신규 채용 인력의 재교육 소요 기간 69
<표 Ⅴ-12> 사업장 규모별 사업장 및 직업능력개발훈련 실시 사업장 70
<표 Ⅴ-13> '01년도 사업장 규모별 직업능력 개발훈련 과정별 실시 현황 71
<표 Ⅴ-14> '01년도 직업능력 개발훈련 과정별 지원금 지원 현황 72
<표 Ⅴ-15> '01년도 조사대상 모집단 사업장의 직업능력개발훈련 운영실태 73
<표 Ⅴ-16> 2001년 직업능력 개발훈련 실시 현황 74
<표 Ⅴ-17> 양성훈련 훈련 방법 75
<표 Ⅴ-18> 양성훈련 훈련 강사 75
<표 Ⅴ-19> 양성훈련 평균 시간 76
<표 Ⅴ-20> 향상훈련 훈련 방법 77
<표 Ⅴ-21> 향상훈련 훈련 강사 77
<표 Ⅴ-22> 향상훈련 평균 시간 78
<표 Ⅴ-23> 전직훈련 훈련 방법 78
<표 Ⅴ-24> 전직훈련 훈련 강사 79
<표 Ⅴ-25> 전직훈련 평균 시간 79
<표 Ⅴ-26> 회사 자체 교육훈련 실시 현황 80
<표 Ⅴ-27> 회사 자체 교육훈련 방법 81
<표 Ⅴ-28> 회사 자체 훈련 강사 82
<표 Ⅴ-29> 교육훈련 평가 실시 여부 83
<표 Ⅴ-30> 교육훈련 평가 방식 83
<표 Ⅴ-31> 교육훈련 효과 측정 수준 84
<표 Ⅴ-32> 교육훈련 평가 미실시 이유 84
<표 Ⅴ-33> 양성훈련이 생산성 향상에 도움이 되는 정도 85
<표 Ⅴ-34> 향상훈련이 생산성 향상에 도움이 되는 정도 86
<표 Ⅴ-35> 양성훈련이 직무 수행을 위한 숙련 향상에 도움이 된 정도 87
<표 Ⅴ-36> 향상훈련이 직무 수행을 위한 숙련 향상에 도움이 된 정도 87
<표 Ⅴ-37> 교육훈련 이수 결과가 인사관리제도에 미치는 영향 정도 88
<표 Ⅵ-1> 사업장의 산학 연계 여부 90
<표 Ⅵ-2> 사업장의 산학 연계 교육 90
<표 Ⅵ-3> 교육훈련기관별 산학 연계 프로그램 92
<표 Ⅵ-4> 기업 규모별 HRD 협력 프로그램 운영 실태 93
<표 Ⅵ-5> 산학 연계 사업의 이점 93
<표 Ⅵ-6> 산학 연계 사업 참여 의사 여부 94
<표 Ⅵ-7> 산학 연계 사업을 운영할 의사가 없는 이유 94
<표 Ⅵ-8> 대학생 취업 능력 제고 프로그램 참여 실태 95
<표 Ⅵ-9> 대졸(전문대졸) 인턴 사원 취업지원제 참여 실태 97
<표 Ⅵ-10> 취업 능력 제고 지원 프로그램 운영상의 어려움 98
<표 Ⅵ-11> 참여 프로그램별 운영상의 어려움 98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사업체 HRD 조사(2002) 2002.01.11~2002.10.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