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기업윤리 확립을 위한 교육적 과제 탐색

An Exploration of Educational Tasks for Establishing Corporate Ethics
저자
조은상 이장섭
분류정보
기본연구(2002-21)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02.10.31
등록일
2002.10.31
연구요약
Ⅰ. 들어가는 말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의 방법 2
    가. 문헌 및 자료의 수집 분석 2
    나. 설문지 조사 3
    다. 전문가 협의회 5
  3. 연구의 틀 5
  4.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 7
Ⅱ. 기업윤리와 윤리경영의 이론적 배경 9
  1. 기업윤리와 윤리경영 9
    가. 기업윤리의 필요성 9
    나. 기업윤리와 윤리경영의 정의 14
    다. 경영원리 및 인재상의 변화 21
    라. 윤리와 관련된 경영의 유형 30
    마. 윤리기준 단계모형 34
    바. 시사점 35
  2. 기업윤리의 핵심가치 36
    가. 윤리경영의 철학적 기초 36
    나. 기업의 윤리적 경영의 가치 40
    다. 한국의 전통 상업윤리 41
    라. 서구 자본주의 윤리 45
    마. 한국의 근대적 윤리 및 가치 48
    바. 세계화 환경에서 요구되는 윤리경영의 가치 49
    사. 시사점 54
Ⅲ. 한국의 윤리경영 사례 57
  1. 전경련의 기업윤리 활동 방향 57
  2. 대기업의 윤리강령 및 실천 프로그램 59
    가. 신세계 59
    나. 포스코 67
    다. LG전자 71
    라. 롯데제과 76
  3. 시사점 78
Ⅳ. 외국의 윤리경영 사례 81
  1. 미국기업의 윤리경영 81
    가. 미국의 윤리강령 81
    나. Johnson & Johnson 85
    다. IBM 93
    라. International Paper 96
    마. 시사점 100
  2. 독일기업의 윤리경영 101
    가. 독일의 경제체제와 경제윤리 101
    나. 독일 기업윤리의 이론적, 철학적 기조(基調) 103
    다. 독일의 기업윤리와 기업문화 104
    라. 시사점 111
Ⅴ. 기업윤리 관련 교육훈련기관의 사례 113
  1. 국내 사례 113
    가. 가나안 농군학교 113
    나. 새마을 연수원 118
    다. 한국리더십센터 125
    라. 한국인간개발연구원 128
    마. 시사점 131
  2. 외국 사례 133
    가. 벤틀리 칼리지의 기업윤리연구소(CBE) 134
    나. 미국윤리임원협의회(EOA) 140
    다. 시사점 144
Ⅵ. 기업 윤리교육의 실태 및 요구조사 145
  1.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 145
  2. 교육 담당자의 기업윤리교육 실태 및 요구조사 147
    가. 실태조사 147
    나. 요구조사 152
  3. 종업원의 기업윤리 교육 실태 및 요구조사 154
    가. 실태조사 154
    나. 요구조사 155
  4. 요약 158
Ⅶ. 기업윤리 확립을 위한 제언 및 과제 161
  1. 제언 161
    가. 탈윤리적 의식 및 관행으로부터의 탈피 161
    나.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넘어 기업윤리 확립으로 162
    다. 기업윤리 덕목의 개발 및 반영 163
  2. 과제 164
    가. 제도 및 시스템 차원의 과제 164
    나. 교육적 과제 167
참고문헌 175
Abstract 181
부 록 187
  본 연구는 기업윤리확립을 위한 교육적 과제 탐색을 위하여 기업윤리와 윤리경영의 이론적 배경을 검토하고, 국내 대기업의 윤리경영 및 실천 프로그램, 미국 및 독일의 윤리경영 사례, 국내외 기업 윤리관련 교육훈련기관의 사례를 살펴본다. 또한 기업의 윤리교육을 위한 핵심가치를 도출하기 위하여 기업의 교육담당자 및 종업원을 대상으로 현재 중요시되는 윤리덕목 및 앞으로 교육이 요구되는 윤리덕목에 대한 조사를실시한다. 위의 이론적 검토, 사례조사 및 설문조사에 바탕을 두고 기업윤리 확립을 위한 제언 및 과제를 제시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oretical background of ethical management for businesses, ethical management and programs in practice at large corporations, examples of ethical management in the United States and Germany, examples of education and training centers both in and outside of Korea, the importance of moral principles in business ethics, and demand in training and education, for the purpose of establishing a business ethics program.
As a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study, the definitions of business ethics and ethical management were examined; the progress of ethical management through its historical development has been studied by looking at the principles of profit-maximization and maximization of value-creation; how the change in ideal employee types have been influenced by ethical consciousness change is also presented. The types of the ethical management and the model of ethical criteria are presented.
In order to draw the core values for corporate business ethics, the philosophical foundations of ethical management were examined, and then the traditional business ethics, ethics in Western Capitalism, modern ethics of Korea, and the ethics in the current age of globalization were studied in the study.
The study examined the Federation of Korean Industries(FBI), Shinsegae, POSCO, LG Electronics, and Lotte Confectionery to cover ethical management and programs in place at Korean business entities. For comparison, this study also took into account the examples of foreign countries' ethical management. Johnson & Johnson, IBM, and International Paper served for cases of ethical management in the United States. In case of Germany, the study covered the theoretical basis for business ethics and the interplay between business ethics and corporate culture. The study also looked into the philosophy, development, and the curriculum at domestic education and training institutes such as Canaan Farmers School, Saemaul Training Institute, and Korea Leadership Center, and Institute for Human Development. The current state of foreign business ethics institutes was explored, with the Bentley College's Center for Business Ethics(CBE) and Ethics Officer Association (EOA) serving as the two model examples.
...
〈표 Ⅰ-1〉종업원에 대한 설문조사 내용 3
〈표 Ⅰ-2〉교육훈련 담당자에 대한 설문조사 내용 4
〈표 Ⅱ-1〉윤리경영의 필요성 12
〈표 Ⅱ-2〉기업윤리헌장 보유현황 12
〈표 Ⅱ-3〉윤리경영을 둘러싼 국내외적 환경변화 13
〈표 Ⅱ-4〉Keith Davis의 사회적 책임유형 16
〈표 Ⅱ-5〉기업의 사회적 책임의 구분 19
〈표 Ⅱ-6〉삼성, LG 및 SK Telecom의 인재상 29
〈표 Ⅱ-7〉기업윤리와 관련된 경영의 유형 33
〈표 Ⅲ-1〉신세계 윤리경영 6대 테마 61
〈표 Ⅲ-2〉신세계 윤리경영 추진경과 61
〈표 Ⅲ-3〉신세계 윤리경영의 대내적 성과 65
〈표 Ⅲ-4〉신세계 윤리경영 시행 전후 매출 및 세전 이익 비교 65
〈표 Ⅲ-5〉신세계 윤리경영의 대외적 성과 66
〈표 Ⅲ-6〉신세계 윤리경영 시행 전후 주가변동 66
〈표 Ⅲ-7〉LG전자의 윤리경영 추진경과 75
〈표 Ⅲ-8〉윤리강령 및 윤리행동준칙의 제정 경과 76
〈표 Ⅳ-1〉비윤리적 기업의 사례 82
〈표 Ⅳ-2〉통합윤리경영시스템 83
〈표 Ⅳ-3〉윤리적 문화 기업과 그렇지 않은 기업 지표 비교 93
〈표 Ⅳ-4〉IBM의 사업관계에 있어서의 9가지 일반적인 행위지침 94
〈표 Ⅳ-5〉IP의 전 세계 모든 종업원에 적용될 5가지 일반 원칙 98
〈표 Ⅳ-6〉독일의 윤리경영 활동 현황 108
〈표 Ⅴ-1〉가나안 농군학교 수료자 현황 117
〈표 Ⅴ-2〉새마을 지도자과정 교과과정 122
〈표 Ⅴ-3〉일반시민을 위한 새마을 국민정신교육과정 123
〈표 Ⅴ-4〉교육 연인원(1972년-2001년) 및 분야별 주 교육 대상자 124
〈표 Ⅴ-5〉한국인간개발연구원 연혁 131
〈표 Ⅴ-6〉EOA의 BCMSS 표준화 작업 경과 및 전망 141
〈표 Ⅵ-1〉응답자의 일반적인 특성 145
〈표 Ⅵ-2〉기업윤리 관련 교육 실시 여부 147
〈표 Ⅵ-3〉기업윤리교육 담당 조직이 별도로 존재하는지의 여부 147
〈표 Ⅵ-4〉기업윤리관련 교육의 중요성 평가 148
〈표 Ⅵ-5〉기업윤리 관련 교육 실시 방법 149
〈표 Ⅵ-6〉직업능력 향상 및 생산성 제고 효과 평가 149
〈표 Ⅵ-7〉기업윤리교육의 평가 결과 활용 방법 150
〈표 Ⅵ-8〉기업윤리교육에 대한 만족도 151
〈표 Ⅵ-9〉직업생활에 대한 기업윤리교육의 영향 151
〈표 Ⅵ-10〉교육훈련 담당자의 윤리경영 관련 덕목의 요구조사 결과 153
〈표 Ⅵ-11〉기업윤리교육 성과의 평가 여부 154
〈표 Ⅵ-12〉기업윤리교육에 대한 만족도 154
〈표 Ⅵ-13〉직업생활에 대한 기업윤리교육의 영향 155
〈표 Ⅵ-14〉종업원들의 윤리경영 관련 덕목의 요구조사 결과 157
〈표 Ⅵ-15〉교육 담당자와 종업원들이 꼽은 윤리경영 관련 주요 덕목 159
〈표 Ⅶ-1〉기업윤리 교과과정의 예 173
〔그림 Ⅰ-1〕연구의 틀 6
〔그림 Ⅱ-1〕기업윤리와 기업이익 11
〔그림 Ⅱ-2〕기업윤리와 윤리경영의 관계 15
〔그림 Ⅱ-3〕피라미드식 사회적 책임모델 18
〔그림 Ⅱ-4〕기업윤리와 사회적 책임의 통합을 위한 개념적 틀 20
〔그림 Ⅱ-5〕기업가치영역과 사회적 역할의 확대 24
〔그림 Ⅱ-6〕기업의 다가치 모델 25
〔그림 Ⅱ-7〕윤리기준 단계모형 34
〔그림 Ⅱ-8〕기업윤리덕목 VennDiagram 53
〔그림 Ⅲ-1〕기업윤리 시스템의 관리체계 59
〔그림 Ⅲ-2〕신세계의 윤리경영 관련 내부규정 62
〔그림 Ⅲ-3〕신세계의 윤리규범 64
〔그림 Ⅲ-4〕종업원의 외부활동과 회사의 관계 68
〔그림 Ⅲ-5〕포스코의 윤리경영 및 기업윤리 실천 프로그램 70
〔그림 Ⅳ-1〕J&J의 신조 리더십 모형 86
〔그림 Ⅳ-2〕J&J 리더십의 기준 88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기업윤리 확립을 위한 교육적 과제 탐색 2002.01.11~2002.10.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