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기술계 학원의 평가체제 구축방안

A Study to Establish an Evaluation System for Private Technical Institutes in Korea
저자
최지희 홍선이 박동열
분류정보
기본연구(2002-24)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02.12.31
등록일
2002.12.31
I.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4
II. 기술계 학원의 현황과 쟁점 9
  1. 기술계 학원의 특성과 환경변화 9
  2. 기술계 학원의 현황 12
  3. 기술계 학원의 제도적 환경 25
  4. 기술계 학원의 쟁점 및 시사점 39
III. 해외 학원 평가 동향 고찰 43
  1. 미국의 학교 및 기관 평가체계 43
  2. 호주의 직업교육훈련기관 평가제도 53
  3. 일본의 학원 평가제도(전수학교 중심) 60
IV. 평가체제 구축을 위한 이론적 고찰 69
  1. 기술계 학원 평가의 기본 틀 69
  2. 평가도구 개발에 관한 이론적 고찰 77
V. 평가 도구의 개발 95
  1. 기술계 학원의 평가도구 모형 개발 95
  2. 평가 도구 모델의 검증 및 활용 방안 124
VI. 기술계 학원의 평가체제 운영 방안 173
  1. 기술계 학원 평가의 목적 173
  2. 평가의 주체 177
  3. 평가의 대상 178
  4. 평가 시기의 문제 182
  5. 평가 결과의 공개 184
  6. 평가결과에 따른 지원 방식 187
  7. 기타 평가와 관련 고려할 사항 188
  8 . 평가체제 구축을 위한 종합적 과제 191
참고문헌 193
Abstract 201
부 표 205
부 록 213
<부록 1> 기술계 학원의 평가도구(안) 검토를 위한 설문조사 213
<부록 2> 기술계 학원의 평가운영 방안에 대한 의견 조사(전문가용) 225
<부록 3> 기술계 학원의 평가운영 방안에 대한 설문조사(전문가, 학원 공용) 232
  본 연구는 기술계 학원에 대해 효율적인 정책적 지원이 이뤄질 수 있는 근거로서 기술계 학원에 대한 평가도구를 마련하고, 평가도구의 실제적 활용 및 운영 방안, 그리고 기술계 학원 평가의 전체적 틀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 기술계 학원 평가체제 구축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는 동시에 기술계 학원에 대한 합리적인 평가의 기준과 정부지원의 효율적 근거를 마련하고자 한다.
From 1970s through 1990s, private technical institutes in Korea have played a considerable role in developing technical and job-related skills of individuals who needed such skills to get a job. Also, the number of private technical institutes in Korea have increased enormously during the same period, currently exceeding 6000 institutions.
Regardless their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of skills of the workforce in the private sector, private technical institutes have been rather excluded from various kinds of government supports toward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institutions. Changing environment of private technical institutes such as the prospective influx of foreign educational institutions, the decrease of prospective students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institutions are also asking for brand-new policies of the government to protect and promote the positive function of the private technical institutes as private-sector vocational competency developing institutes.
A review of the history and current settings of private technical institutes shows that legal supports and other supporting policies are needed for private technical institutes to be able to maintain their important role in developing vocational competencies of individuals in the private sector.
...
<표 Ⅱ- 1> 학원수의 연도별 증감 현황(1997-2001) 13
<표 Ⅱ- 2> 연도별·계열별 학원수 현황 13
<표 Ⅱ- 3> 사설학원 계열별 현황(2001현재) 14
<표 Ⅱ- 4> 정원규모별 기술계 학원 분포 16
<표 Ⅱ- 5> 기술계 학원의 분야별 개설과정 및 교육기간 17
<표 Ⅱ- 6> 기술계 학원의 교습과정 19
<표 Ⅱ- 7> 교습과정별 기술계 학원 현황(1999) 20
<표 Ⅱ- 8> 노동부실업자 재취직 훈련기관 및 훈련과정현황(2002) 21
<표 Ⅱ- 9> 학점은행제 현황 36
<표 Ⅲ- 1> 간호평가인정위원회의 평가 시기 48
<표 Ⅳ- 1> 대상기관별 주요 평가영역 78
<표 Ⅳ- 2> 조직 효과성에 대한 정의들 88
<표 Ⅴ- 1> Hoy와 Miskel의 조직 효과성 통합 모형 107
<표 Ⅴ- 2> 기술계 학원의 효과성 평가를 위한 패러다임들 109
<표 Ⅴ- 3> 통합 모형에 따른 기술계 학원의 평가 지표 110
<표 Ⅴ- 4> 통합 모형의 재구조화된 평가지표 111
<표 Ⅴ- 5> 기술계 학원의 평가 항목, 지표, 배점에 관한 검토의견 종합 128
<표 Ⅴ- 6> 기술계 학원 평가 모델(수정안) 135
<표 Ⅴ- 7> 대영역간 국지적 가중치 139
<표 Ⅴ- 8> 교육훈련 목적의 중영역 평가지표의 국지적 가중치 139
<표 Ⅴ- 9> 교육훈련과정의 중영역 평가지표의 가중치 140
<표 Ⅴ-10> 교원 영역의 중영역 평가지표의 국지적 가중치 140
<표 Ⅴ-11> 교육훈련결과 영역의 중영역 평가지표의 국지적 가중치 141
<표 Ⅴ-12> 기관 운영 영역의 중영역 평가지표의 국지적 가중치 141
<표 Ⅴ-13> 시설·설비 영역의 중영역 평가지표의 국지적 가중치 141
<표 Ⅴ-14> 전체 평가지표의 가중치 142
<표 Ⅴ-15> 영역·지표별 평가척도에 대한 실제적 기준 고찰(전문가 및 학원 실무자 의견수렴 결과) 152
<표 Ⅴ-16> 기술계 학원 평가 모델(최종안) 170
<부표 Ⅱ- 1> 사설학원 현황 205
<부표 Ⅴ- 1> 기술계 학원의 분야(계열)별 실제적 기준 평균치 206
[그림 II- 1] 계열별 기술계 학원의 정원 분포 15
[그림 Ⅳ-1] 평가모형의 구성요소 69
[그림 Ⅴ-1] Price의 목적달성모형 100
[그림 Ⅴ-2] Katz와 Kahn의 체제자원모형 104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기술계 학원의 평가체제 구축 방안 2002.05.15~2002.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