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문화콘텐츠 산업 발전을 위한 전문인력 양성 방안

A Study on Strategies for Training Skilled Human Resources in the Cultural Contents Industry
저자
박태준 김해동 이흥재
분류정보
기본연구(2002-25)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02.12.31
등록일
2002.12.31
연구요약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내용 3
  3. 연구 방법 4
Ⅱ. 문화콘텐츠 산업과 전문인력 양성 11
  1. 문화콘텐츠 산업 전문인력 양성 관련 개념 11
  2. 문화콘텐츠 산업 전문인력양성 관련 선행연구 분석 22
  3. 문화콘텐츠 산업 인력양성 체제 36
  4. 문화콘텐츠 산업 전문인력 양성관련 수급전망 43
  5. 문화콘텐츠 산업 인력양성 관련 정책 67
  6. 시사점 72
Ⅲ. 문화콘텐츠 산업 전문인력 양성 인식 및 사례조사 75
  1. 인력양성에 대한 인식조사 75
  2. 전문인력 양성기관 수준별 사례분석 117
  3. 시사점 145
Ⅳ. 문화콘텐츠 산업 전문인력 양성 활성화 방안 147
  1. 전문인력 양성의 기본전제 : 창의성 개발 147
  2. 정부정책 수준 149
  3. 교육훈련기관 수준 159
  4. 산업체 수준 162
참 고 문 헌 165
Abstract 167
부록1- 문화콘텐츠 산업 발전을 위한 전문인력 양성에 관한 설문지 177
부록2- 문화콘텐츠 산업 인력양성 기관 189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의 문화콘텐츠 산업을 발전시키기 위해 관련 전문인력 양성체제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그 해결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먼저 문화콘텐츠 산업의 전문인력 양성과 관련된 개념을 정리하고, 우리나라 문화콘텐츠 산업의 수급전망 및 정부정책에 관하여 살펴보고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다음으로, 문화콘텐츠 산업 인력양성 기관의 체제와 인식조사 및 사례분석을 통해서 문제점 및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문화콘텐츠 산업 전문인력 양성기관에 대한 국가의 지원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행·재정적인 지원장치를 개발하도록 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term cultural contents technology (CT), connecting the cultural industry with the digital industry, is one that has become broadly used.
The CT industry has grown rapidly as a result of its recognition as a high value-added effect industry. The importance of educating skilled human resources in CT related fields has increased alongside the growth of the CT industries economic role. Unlike other industries, human resources are the most important assets in the CT industry, as based on their creative abilities skilled human resources can produce cultural contents from existing culture. Therefore, the necessity for skilled human resources possessing planning ability has increased within the CT industry.
Based on the above-mentioned mentality, this research focused on understanding the CT industry and analyzed the professional occupational structure needed within CT industry related fields, the present state of education of human resources within the CT industry, as well as the present situation concerning the management of education organizations and the problems associated with this process.
This research also strived to search for measures to educate skilled human resources for the CT industry based on the results.
<표 Ⅰ-1> 조사대상 기관의 특성 6
<표 Ⅰ-2> 학생 응답자의 개인적 특성 7
<표 Ⅱ-1> 정규 교육기관의 항목별 평가 27
<표 Ⅱ-2> 문화 산업별 교육과정상 애로사항 31
<표 Ⅱ-3> 산업현장에서 느끼는 대학교육의 불만 정도 32
<표 Ⅱ-4> 세계 주요 문화콘텐츠 산업 전망 43
<표 Ⅱ-5> 주요 인터넷 콘텐츠 시장 전망 44
<표 Ⅱ-6> 영화 수요전망 49
<표 Ⅱ-7> 애니메이션 수요전망 49
<표 Ⅱ-8> 방송 수요전망 50
<표 Ⅱ-9> 음반 수요전망 50
<표 Ⅱ-10> 게임 수요전망 51
<표 Ⅱ-11> 출판 수요전망 52
<표 Ⅱ-12> 추가인력 확보 애로 원인 53
<표 Ⅱ-13> 영화 관련 전공자 2학년 학생 및 졸업생 현황 54
<표 Ⅱ-14> 영화 관련 전공자 2학년 학생 및 졸업생 전망 55
<표 Ⅱ-15> 영화·방송(공통) 관련 전공자 2학년 학생 및 졸업생 현황 56
<표 Ⅱ-16> 영화·방송(공통) 관련 전공자 2학년 학생 및 졸업생 전망 56
<표 Ⅱ-17> 애니메이션 관련 전공자 2학년 학생 및 졸업생 현황 57
<표 Ⅱ-18> 애니메이션 관련 전공자 2학년 학생 및 졸업생 전망 58
<표 Ⅱ-19> 방송 관련 전공자 2학년 학생 및 졸업생 현황 58
<표 Ⅱ-20> 방송 관련 전공자 2학년 학생 및 졸업생 전망 59
<표 Ⅱ-21> 음반 관련 전공자 2학년 학생 및 졸업생 현황 60
<표 Ⅱ-22> 음반 관련 전공자 2학년 학생 및 졸업생 전망 60
<표 Ⅱ-23> 게임 관련 전공자 2학년 학생 및 졸업생 현황 61
<표 Ⅱ-24> 게임 관련 전공자 2학년 학생 및 졸업생 전망 61
<표 Ⅱ-25> 출판 관련 전공자 2학년 학생 및 졸업생 현황 62
<표 Ⅱ-26> 출판 관련 전공자 2학년 학생 및 졸업생 전망 63
<표 Ⅱ-27> 산업별 일반 비정규 교육기관 수강자 현황 64
<표 Ⅱ-28> 산업별 일반 비정규 교육기관 수강자 향후 확대계획 65
<표 Ⅱ-29> 문화산업 분야별 인력수급 전망 요약 66
<표 Ⅱ-30> 정부의 문화콘텐츠 산업 인력양성 대책 70
<표 Ⅲ-1> 기관별 문화콘텐츠 산업 분야의 양성인원 76
<표 Ⅲ-2> 산학협동 활동 여부 77
<표 Ⅲ-3> 인턴십 과정 개설 여부 78
<표 Ⅲ-4> 교육프로그램 개설방법 79
<표 Ⅲ-5> 졸업생의 취업업체 80
<표 Ⅲ-6> 인력양성의 양적인 인력수요 82
<표 Ⅲ-7> 인력의 질적인 수준과 기업체의 요구수준 83
<표 Ⅲ-8> 취업시 가장 중요한 요건 84
<표 Ⅲ-9> 자격증 존재 여부 85
<표 Ⅲ-10> 취업시 임금에 대한 의견 86
<표 Ⅲ-11> 근무환경에 대한 의견 87
<표 Ⅲ-12> 학생들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교육내용 88
<표 Ⅲ-13> 산학연계 활동 여부 90
<표 Ⅲ-14> 산학연계 활동 불참이유 91
<표 Ⅲ-15> 인턴십 과정 참여여부 92
<표 Ⅲ-16> 인턴십 과정의 불참이유 93
<표 Ⅲ-17> 교육과정에 대한 만족도 94
<표 Ⅲ-18> 새과목 개설에 대한 만족도 95
<표 Ⅲ-19> 교육기자재 설비 만족도 96
<표 Ⅲ-20> 취업 관련 서비스 만족도 97
<표 Ⅲ-21> 새로운 교육 프로그램 개설방법 98
<표 Ⅲ-22> 졸업생의 취업업체분야 99
<표 Ⅲ-23> 인력양성의 양적인 인력수요 100
<표 Ⅲ-24> 인력의 질적인 수준 101
<표 Ⅲ-25> 취업시 가장 중요한 것 102
<표 Ⅲ-26> 자격증 유무 103
<표 Ⅲ-27> 학생들의 임금만족도 104
<표 Ⅲ-28> 근무환경 만족도 105
<표 Ⅲ-29> 향후 발전 가능성에 대한 만족도 106
<표 Ⅲ-30> 졸업 후 진로 107
<표 Ⅲ-31> 청강문화산업대학의 애니메이션 계열 학생현황 122
<표 Ⅲ-32> 2003학년도 경기대학교 다중매체영상학부 모집현황 133
<표 Ⅲ-33> 한국 애니메이션 아카데미의 교육과정 136
<표 Ⅲ-34> 서울공연예술전문학교의 모집현황 139
[그림 Ⅱ-1] 방송촬영기술자 직업경로 15
[그림 Ⅱ-2] 음향기술자 직업경로 16
[그림 Ⅱ-3] 게임프로그래머 직업경로 17
[그림 Ⅱ-4] 음반기획자 직업경로 19
[그림 Ⅱ-5] 애니메이터 직업경로 20
[그림 Ⅱ-6] 출판기획자 직업경로 21
[그림 Ⅲ-1] 애니메이션과의 주요 교육내용 123
[그림 Ⅲ-2] 애니메이션과의 3년제 교육과정 소개 124
[그림 Ⅲ-3] 디자인 분야 전문인력 역할의 종류, 수준 및 구조 142
[그림 Ⅲ-4] 디자인 분야 역할구조와 전공의 관계 143
[그림 Ⅲ-5] 디자이너 입직 요건 144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문화콘텐츠산업 발전을 위한 전문인력 양성 방안 2002.05.15~2002.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