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평생교육훈련(CET)에 관한 국내지표 개발 연구

A Study to Develop a Continuing Education & Training Module in Korea
저자
최지희 임언
분류정보
기본연구(2002-27)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02.11.29
등록일
2002.11.29
연구요약
I. 서 론 1
  1. OECD 평생교육훈련 지표개발 사업 소개 1
  2. 국내 CET 지표개발 연구의 목적 6
  3. 국내 CET 지표개발 연구의 주요내용 6
II. 평생교육훈련(CET) 조사의 국제 동향 15
  1. 주요국의 평생학습 조사 현황 16
  2. 유럽연합(EU)의 평생교육훈련에 관한 연구 및 조사 동향 19
  3. OECD와 UNESCO의 평생교육훈련 조사 동향 38
  4. 국제 연구 및 조사 동향의 시사점 46
III. 평생교육훈련 조사의 국내 현황 49
  1. 국내 평생교육 관련 조사 49
  2. 시사점 60
Ⅳ. OECD 지표개발 사업 결과 63
  1. 종합적 평가 63
  2. 주요 결과 64
V. 평생교육훈련 국내 지표개발 83
  1. 국내 지표개발의 기본 방향 83
  2. 평생교육훈련 조사 내용의 선정 85
  3. 조사대상 및 조사항목의 측정방법 논의 96
  4. CET 국내 지표에 관한 조사지 개발 113
참고문헌 115
Abstract 119
부 표 123
부 록 125
  본 연구는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이 OECD 교육지표 사업 본부가 2001-2002에 걸쳐 추진한 평생교육훈련지표개발사업(International CET Module Development Project)에 참여하면서 축적한 정보와 OECD의 평생교육훈련 지표 개발안을 기초로 이를 국내 평생교육훈련조사로 옮겨보고자 하는 의도에서 시작되었다. 따라서 OECD가 추진하고 있는 평생교육훈련지표 개발사업의 추진상황 소개와 이 사업을 통해 얻은 자료 및 부산물의 소개, 그리고 그러한 자료들이 갖는 시사점을 살펴보는 것은 본 연구의 주요내용을 이룬다. 그리고 이와 함께 평생교육훈련에 관한 국내 연구 및 조사동향을 살펴보고 향후 OECD가 개발한 지표(Module)에 따라 국내 조사가 이뤄질 경우 이 조사에 포함되어야 할 내용들과 그 조사를 시행하는데 있어서 해결되어야 할 중요한 개념적인 문제와 측정의 문제들을 함께 제시하고자 한다.
With the advent of information society where accumulation of knowledge is a key means of survival, learning throughout life becomes an imperative in all the countries.
Lifelong learning is an important issue in public policies. Policy makers in all the countries take interest in promoting lifelong learning. They are also interested in identifying the level of lifelong learning participation of the people, and in knowing their need for lifelong learning.
This study is an attempt to develop an instrument to measure the level of and the need for continuing education and training in Korea. The study is initiated as an effort to take advantage of the output from "the international CET Module development project" by Network B of OECD which has been implemented from May 2001 to November 2002. The OECD project has been launched with the purpose to develop a module on continuing education and training that can be utilized internationally, so that when the data is collected in each country based on the module, the resulting data is internationally comparable. Korea is one of the 14 OECD countries which participated in the OECD project. Thus, this study has tried to utilize the final output as well as the byproducts that was produced throughout the duration of the project by OECD.
...
<표 Ⅱ- 1> 주요국의 평생교육통계 조사현황 17
<표 Ⅱ- 2> EU 평생학습에 관한 조사계획(EU) 19
<표 Ⅱ- 3> 교육 및 학습 형태를 구분하는 기준 23
<표 Ⅱ- 4> 2003 EU 평생학습 조사지(ad hoc module)의 주요 영역과 변수 27
<표 Ⅱ- 5> 학습행위의 공식성에 따른 학습행위의 분류 33
<표 Ⅱ- 6> 학습행위의 구분을 위한 주요 기준의 조합 35
<표 Ⅱ- 7> 학습 행위의 주요 범주에 대한 부가적 기준들 37
<표 Ⅱ- 8> OECD 교육지표(EAG)에 나타난 평생학습(CET) 통계조사의 내용과 세부항목 39
<표 Ⅱ- 9> ALL의 조사영역과 세부내용 42
<표 Ⅱ-10> 국가별 사업의 주요 이슈 44
<표 Ⅱ-11> 국가별 보고서 구성 45
<표 Ⅲ- 1> 평생학습 관련 조사의 범위 및 대상 50
<표 Ⅲ- 2> 기존 조사의 개인에 대한 설문 내용 51
<표 Ⅳ- 1> 교육훈련의 유형들을 구분하기 위한 준거의 틀 67
<표 Ⅴ- 1> OECD 개발 평생교육훈련 지표 영역들 88
<표 Ⅴ- 2> 국내 연구에 나타난 평생교육훈련 지표 영역 90
<표 Ⅴ- 3> OECD와 국내 평생교육훈련 조사의 영역 비교 95
<표 Ⅴ- 4> OECD 평생교육훈련(CET) 지표에 대한 전문가 조사 영역 98
<부표 Ⅴ- 1> 국내 평생교육훈련에 관한 지표 영역(안) 123
[그림 II-1] 교육과 훈련의 범위 23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평생교육훈련(CET)에 관한 국내지표 개발 연구 2002.01.11~2002.11.29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